1 / 27

벤처정책의 대두

Lecture Note 3. 벤처정책의 대두. 한국경제의 이해 김종기 교수. IMF 구조조정의 결과. IMF 구조조정. 금융산업구조조정. 재벌구조 개혁. 시장기능 제고. 금리 고금리 저금리 자본시장구조 주식시장 은행중심 중심 코스닥 , 벤처캐피탈의 발달. 노동시장의 유연성 자본이동의 탄력성 효율성 , 투명성 제고. 사업축소 , 투자감소 , 분사 유휴시장 유휴 인력 , 자본. 신경제 ( 벤처산업 ) 의 대두. IMF 이후 벤처붐. IT 기술혁신

Download Presentation

벤처정책의 대두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Lecture Note 3 벤처정책의 대두 한국경제의이해 김종기 교수

  2. IMF 구조조정의 결과 IMF 구조조정 금융산업구조조정 재벌구조 개혁 시장기능 제고 • 금리 • 고금리 저금리 • 자본시장구조 • 주식시장은행중심 중심 • 코스닥, 벤처캐피탈의 발달 • 노동시장의 유연성 • 자본이동의 탄력성 • 효율성, 투명성 제고 • 사업축소, 투자감소, 분사 • 유휴시장 • 유휴 인력, 자본 신경제(벤처산업)의 대두

  3. IMF 이후 벤처붐 • IT 기술혁신 • 정부의 집중적 지원정책 IMF 구조조정 벤처 붐 산업의 구조조정 기술 및 교육투자 성공사례 축적 인터넷 및 IT산업 급성장 정부의 벤처지원정책

  4. 산업구조조정의 결과 벤처기업의 태동과 성장 • 1980년대 산업구조조정과 중층화 •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기술이전 •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생산이양 • 중소기업의 부품생산 참여 • 중소기업 비중 확대  몇몇 성공사례 가시화 • 1990년대 정보통신산업의 성장

  5. 벤처기업의 급속한 증가 벤처기업 등록업체수 (단위: 개) 중소기업청 (2001.1) 1

  6. 창업 고학력, 우수한 공학교육 기술 및 지식획득 • 기업 : 64% • 대학/연구소 : 8% • 근속년수 : 5~10년 • 연구개발 : 50% • 마케팅 : 23% • 대졸이상 76% • (대학원 : 22%) • 기술관련전공 : 60% • 경제, 경영 : 22% 공•사적 교육투자 기술개발 투자와 축적 지속적인 교육 및 기술개발투자의 결과 창업과정 벤처인프라 Social Capital

  7. 벤처기업의 특성 벤처기업 벤처캐피탈 (엔젤) Exit (KOSDAQ, M&A)

  8. 벤처의 개념 • Paradigm Shift • : 대기업 → 소기업, 자본 → 지식 • 경제의 새로운 판이 벤처 위주로 짜여짐 • 벤처는 기본적으로 펀딩 경영( ≠ 차입경영) • 벤처가 역사를 바꾼다. 이사벨라여왕 (벤처캐피탈) 콜롬버스 (벤처기업가)

  9. 벤처의 의의 벤처 경영은 전분야에 필요 • 유연성/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첨단 신산업 육성 • 전통기업의 벤처 경영 필요 : 스피드 경영, 아웃소싱 • 개인, 조직단위의 지식경영을 통한 경쟁력 강화 공룡시대의 종언, “Small is Powerful” • 과거 : Big Business(거함) • → 자금동원, 거대한 플랜트, 대량생산 • 현재 : Small Business(Rafting) • → 다품종 소량생산, 스피드 경영

  10. 벤처의 세계적 흐름 • 140여개 나스닥 상장, 세계 3위 • 정부의 펀드 조성, 실리콘 밸리와 네트워킹 이스라엘의 텔아비브 • 실리콘 밸리 • 스탠포드대, 8천여개의 벤처기업 입주 • 인력공급, 모험자본 발달, 충분한 네트워크 • 인도의 방갈로르 • `91년 정부의 S/W 기술단지 구축이 전환점 • 고급 S/W 인력 매년 6만명 배출 • 대만의 신주단지 • 200여만평의 부지에 1,500여개의 기업입주 • 초기 중앙정부 개발, 현재는 민간주도로 운영 • 독일의 베를린 • 최근의 유행어 : IT와 기업가 정신 • 8만 2천여개 창업

  11. e-비즈니스 추이

  12. 벤처와 국민경제 ◈ 산업구조 구도화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기술집약적 하이테크 분야 ◈ 균형적인 산업발전 대기업과의 관계를 협력적 보완관계로 발전 ◈ 금융시장 발전 자본시장의 질적 구조개선 추구 ◈ 고용창출 아웃소싱을 통한 관련산업 파급효과 급증 ◈ 국가 경쟁력 연구개발력과 기업가정신을 통한 체질개선

  13. 정부의 벤처지원정책과 벤처붐 조성 • 벤처인증제도 • 벤처캐피탈 활성화 및 기술개발투자 유도 • 벤처기업에 대한 세제 및 금융지원 벤처기업특별법(’97) • 엔젤/벤처캐피탈에 대한 세제 혜택 • 벤처캐피탈에 대한 금융지원 • 매칭펀드, 저리 융자 위험자본시장 육성 • ’96년 개설 후 3차에 걸친 지속적인 활성화조치 코스닥시장 육성

  14. 벤처육성정책의 개요 • 정부의 직접지원 자금지원 기타지원 • 정부자원을 벤처기업에 직접 배분 • - 다양한 기술개발지원 사업 • - 경영지원 사업 • - 시설개체 지원 • 창업 지원 • - 대학, 신산업의 지원센터 • 해외진출사업 • 벤처집적시설 정부가 벤처기업에 자원을 배분

  15. 연도별 Venture 기업 수

  16. 벤처육성정책의 평가 • 전반적인 평가 • 벤처확인제도를 기반으로 한 선택적 차별적 지원 • -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벤처부문으로 자원이동 유도 • - 벤처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및 벤처붐 조성에 기여 • 중소기업 지원 정책의 연장선 • - 기술집약적 중소기업 지원의 연장선 • - 기술, 자금, 해외시장 등 망라적 지원 • - 벤처붐에 편승한 정책의 거품 야기 • 벤처기업 육성정책의 철학 부재 • ‘왜 벤처기업을 육성하려 하는가’, • ’벤처기업을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부재

  17. 벤처육성정책의 평가 • 벤처확인제도 : 정책의도

  18. 벤처육성정책의 평가 • 벤처확인제도 : 문제점 •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야기 • - ‘인증 프리미엄’   인증을 위한 자원배분 • - 인증을 위한 기술개발 및 벤처캐피탈 투자 등을 추구할 위험 존재 • 사회적 비용(social cost)초래 • - 역선택 방지를 위한 선별비용(screening cost) • - 도덕적 해이를차단하기 위한 감시비용(monitoring cost) • - 지속적인 벤처기업 인증에 소요되는 집행비용(administrative cost) • 정부의 시장대체로 자생적 시장기능 약화 • 벤처기업 본질(도전성, 창의성)의 퇴색

  19. 벤처육성정책의 평가 • 벤처확인제도 : 벤처인증의 부작용 • •비시장적, 비객관적 평가기관 우수평가형(IV) 비중의 확대 • 시장평가인 벤처캐피탈형과 특허신기술형의 비중은 감소

  20. 벤처관련 시장에 대한 평가 • 시장 규모에 비해 효율성 및 투명성 결여 벤처캐피탈시장 코스닥시장 • 부정거래 및 불투명성으로 신뢰성 상실- 수요 및 공급기반 약화- 시장의 존폐 위기 • 코스닥시장 진입 및 퇴출의 객관성,예측가능성 결여- 등록심사 및 폐지 제도화 미흡 • 코스닥 시장의 구조와 유인체계 • 국제적 규범에 맞는 제도와 관행 부족 • 투자조합운영의 투명성 부족 • 정부출자조합에 의존 • VC의 투자/운용 전문성 부족 • 투자관련 규제가 높음 • 코스닥시장 의존도가 높음

  21. 기술개발 투자 확대 • - 배태조직의 기술축적 • - 기초 및 원천기술 • 인력양상투자 • - 교육개혁 • - 평생교육/재훈련 • - 기술교육 시장의 발전단계와 정부의 역할 시스템 창출 효율적 시스템 • Seed Money 제공 • 벤처특별법 제정 • 세제/금융지원 • 코스닥시장 적극육성 • 공정경쟁 • 투명성 제고 • 도덕적 해이 방지 시장 인프라 형성기 도약기 조정기 발전기

  22. 벤처부문 활성화를 위한 조건 정부 - 세제 - 다양한 지원정책 - 규제 기업경영전문 서비스 시장 벤처기업 & 벤처캐피탈 금융시장 - 연기금 등의 벤처투자 - 주식시장(코스닥) -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 인적자원 기술잠재력 - 기술축적 - 지적재산권 보호 - 우수한 인적자원 - 기업가 정신

  23. 참고 벤처인증제도

  24. 참고 벤처기업 지원제도

  25. 참고

  26. 제도, 법률, 지배구조, 회계, R&D, 자본시장 지식/기술/인력 원천, 네트워크 중심 Silicon Valley 생태계 정부 역할 (기업에 우호 적인 게임 룰) 산학연협동, 인적 교류, 정부/지역사회와 협력 대학 (Stanford University) 상호연계 (네트워크 형성) 변호사, 회계사, 경영/기술 컨설턴트, 헤드헌터 등) Entrepreneurs & High-tech Companies SILICON VALLEY Professional Service Providers 고급인력 양성/유입, 공급자/수요자 기업/지역문화 (위험/실패감수,능력/성과중시) Venture Capitalists, NASDAQ 우수한 생활여건 기후, 자연경관, 소득수준, 전통 등 (문제점도 다수) 실패 용인, 개방성, 능력/성과에 따른 보상 시스템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동태적인 신경제의 중심 자금 + 경영지원 (실리콘밸리 생태계의 파수꾼)

  27. With good habitat With bad habitat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