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375 Views
조직과 리더십. 2012 후반기. 11 주차 강의.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광운대학교. 순 서. 기대이론 공정성 이론.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과정이론의 초점 (1) 인간은 어떻게 동기 부여 되며 (2) 어떤 단계 를 거쳐서 진행되는가. 사람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욕구를 충족시키고 , 욕구충족을 위해 여러 가지 행동 대안 중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행동을 선택하는가 ?. 기대이론 (expectancy theory). 기대이론의 개념. 기대이론이란
E N D
조직과 리더십 2012 후반기 11주차 강의 •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광운대학교
순 서 • 기대이론 • 공정성 이론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 과정이론의 초점 (1) 인간은 어떻게 동기 부여되며 (2) 어떤 단계를 거쳐서 진행되는가. 사람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욕구를 충족시키고, 욕구충족을 위해 여러 가지 행동 대안 중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행동을 선택하는가?
기대이론 (expectancy theory)
기대이론의 개념 • 기대이론이란 “조직 구성원이 조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도록 조직 인지적 이론” • 자신의 노력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 것인가에 대한 기대의 정도에 따라 조직을 위한 행동수준을 결정한다. • 기본개념 (1) 노력: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개인이 투입하는 에너지의 중량(행동의 수준) (2) 성과: 노력(행동)의 결과를 나타나는 조직 목표 달성도(성과) (3) 보상: 개인의 성과에 대해 조직이 부여하는 대가 (4) 기대감: 노력하면 업무성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가능성의 믿음 (5) 수단성: 업무성과를 올리면 보상이 줄 것이라는 믿음 (6) 유이성: 특정한 보상에 대하여 개인에게 부여하는 가치의 정도
V. H. Vroom의 기대이론 M = Σ(Ex* Σ(I *V)
Porter & Lawler 기대이론 확장모형 • 개인의 노력. 능력. 기술. 역할 지각 정도가 성과에영향 을 미친다. • 개인의 성과는 보상의 종류와 보상의 공정성지각에 따라 만족도 결정한다. 보상 보상에 대한 공정성 비교 기대감 노력과 성과에 대한 지각된 확률 내재적 보상 능력 및 기술 수단성 성과와 보상에 대한 지각된 확률 노력 성과 만족감 역할 지각 외재적 보상 선호가(유의성) 보상에 대한 가치
공정성 이론 (equity theory)
공정성이론의 개념 • 공정성 이론(公正性理論)이란 “개인의 행위는 타인과 관계에서 공정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동기부여” • 자신의 투입-산출의 비율이 타인의 투입- 산출의 비율을 비교하는 상대성 개념 1) 대등함을 인지하면 공정성을 느낌: 만족 2) 차등을 인지하면 불공정성을 느낌: 불만. 죄의식 • 불공정성을 느끼면 형평성 유지를 위한 동기유발
Adams의 공정성 이론 모형 비교 B사람 투입/산출 A사람 투입/비율 A<B 불공정 과소보상 A>B 불공정과대보상 투입 하향조정 (기술.학습) 산출 하향조정 (인정. 임금) 투입 상향조정 (기술. 학습) 산출 상향조정 (인정. 임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