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경기민요

늴리리야. 경기민요. 늴리리야. ‘ 늴리리야’는 다른 지방의 민요에 비해 맑고 깨끗한 음색을 띠며 , 경쾌하고 부드러운 가락이 특징이다 . ‘ 늴리리야’라는 제목은 피리나 대금 악기의 소리를 입으로 부르는 구음창에서 비롯되었다 . 경기 민요 : ‘ 베틀가 ’ , ‘ 군밤 타령’ , ‘ 한강수 타령 ’, ‘ 경복궁 타령’ , ‘ 아리랑’ , ‘ 도라지 타령’ 등 이 있으며 , 평조가 많으며 , 계면조도 있다 . 가락의 특징은 부드럽고 서정적이며 경쾌하다 . ( 경토리 ).

sidone
Download Presentation

경기민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늴리리야 경기민요

  2. 늴리리야 ‘늴리리야’는 다른 지방의 민요에 비해 맑고 깨끗한 음색을 띠며, 경쾌하고 부드러운 가락이 특징이다. ‘늴리리야’라는 제목은 피리나 대금 악기의 소리를 입으로 부르는 구음창에서 비롯되었다. 경기 민요:‘베틀가’, ‘군밤 타령’, ‘한강수 타령’, ‘경복궁 타령’, ‘아리랑’, ‘도라지 타령’ 등 이 있으며, 평조가 많으며, 계면조도 있다. 가락의 특징은 부드럽고 서정적이며 경쾌하다.(경토리)

  3. 경기 민요에 많이 쓰이는 장단 - 굿거리장단, 세마치장단, 자진모리장단 등이 많이 쓰인다. 늴리리야는 굿거리장단에 맞춤

  4. 메기고 받는 형식 • 메기는 소리(한 사람이 독창으로 메김) 예) 목동이 소 몰고 밭둑 길로 온다 • 받는 소리(여러 사람이 제창으로 받음) 예) 늴리리야 늴리리야 • 시김새 • 전통음악에서 주된 음의 앞이나 뒤에서 그 음을 꾸며주는장식음 또는 잔가락 • 각 악기의 주법이나정악·민속악 등 각 악곡에 따른독특한 시김새가 있다. • 연주자에 따라 다르거나, 연주실력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 시김새의 종류 • 농현: 서양의 비브라토(Vibrato)와 같이 음을 잘게 또는 굵게 떠는 것 • 전성: 순간적으로 굴려주는 것 • 추성: 밀어 올리는 것 • 퇴성: 밀어 올린 것을 흘려 내리는 것

  5. 정간보 읽기 쉼표

  6. 형 성 평 가 1. 다음 중 경기 민요의 특징은? 1) 떠는 소리, 꺾는 소리가 주로 쓰인다. 2) 가락이 부드럽고 서정적이다.. 3)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내려오는 가락이 자주 쓰인다 2. 늴리리야에 어울리는 장단의 구음으로 바른 것은? 1) 덩 덩 덕 쿵 덕 2) 덩 덩 덩 더 쿵 3) 덩 기덕 쿵 더러러러 쿵 기덕 쿵 더러러러 4) 덩 덕 쿵 덕 덕 쿵 쿵 덕 쿵 쿵

  7. 형 성 평 가 3. 다음 정간보에 해당하는 리듬은? (한 칸을 로 할 때) 1) 2) 3) 4. 정간보의 표시를 바르게 읽은 것은? 1) 2) 쉼표 = = 3) =

  8. 한강수타령 노랫가락, 창부 타령, 방아 타령, 자진 방아 타령, 양산도, 매화 타령, 경복궁 타령, 청개구리 타령, 도라지 타령, 양류가, 는실 타령, 군밤 타령, 청춘가, 아리랑, 이별가, 사발가, 베틀가, 태평가, 도화 타령 등이 있다. 이 중 노랫가락과 창부 타령은 서울 지방의 무속 음악에서 나온 것이고, 방아 타령, 자진 방아 타령, 개구리 타령, 경복궁 타령은 산 타령 뒤에 이어서 부르던 민요이다. 경기 민요는 서울 사람을 중심으로 발달되었기 때문에 노래에 농업을 배경으로 하는 내용이 별로 없으며, 대개창으로 부르기 위한 민요이기 때문에 음악적 구성미가 있다.

  9. 한강수타령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부르며 당김음리듬음이있어 박진감 있고 경쾌하다. 한강수타령도 굿거리장단에 맞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