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388 Views
영화 산업개괄 그리고 영화인이되기 위한 자질과 요건. 1. 영화산업의 특성. (1) 흥행산업 기획의도와 투자 액수 대비 변수가 가장 큰 산업 중 하나 변수의 이유 – 트랜드의 유동성 , 사회적 이슈 , 시즌에 따른 변수 일반적인 기획 - 익숙한 장르 + 스타급 배우 캐스팅 + 규모있는 제작비 + 배급 Ex) 액션 , 코미디 , 멜로 , 스릴러 , 공포 일반적 기획 + 차별화 요소 - 익숙한 장르에 새로움을 가미 , 친근함 속의 새로움으로 접근
E N D
영화 산업개괄그리고 영화인이되기 위한 자질과 요건
1.영화산업의 특성 (1) 흥행산업 기획의도와 투자 액수 대비 변수가 가장 큰 산업 중 하나 변수의 이유 – 트랜드의 유동성, 사회적 이슈, 시즌에 따른 변수 일반적인 기획- 익숙한 장르+ 스타급 배우 캐스팅 + 규모있는 제작비+ 배급 Ex) 액션, 코미디, 멜로, 스릴러, 공포 일반적 기획 + 차별화 요소 - 익숙한 장르에 새로움을 가미, 친근함 속의 새로움으로 접근 Ex) 스캔들, 음란서생 (사극) 결혼은 미친 짓이다. 싱글즈, 연애의 목적 (멜로), 범죄의 재구성(추리, 스릴러) 친절한 금자씨, 올드보이(스릴러) 등 색다른 기획과 의외의 결과 성공사례- 최근 트렌드에서 벗어났던 사극 + 비 스타급 캐스팅+ Ex) 왕의 남자, 웰컴투 동막골, 말아톤, 집으로 (집으로, 말아톤 포스터) 실패사례-스타급 캐스팅+ 막대한 제작비+ 탄탄한 배급 ex) 태풍,역도산, (태풍 포스터)
(2). 대중문화 산업 영화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문화산업 중의 하나로 가장 대중적인 문화이다. 문화예술 시설 입장률을 살펴 봤을 때 영화관은 26.6%로 다른 시설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숫자를 기록하고 있음. 현재 극장 사업은 CGV, 메가 박스, 롯데 등이 파죽지세로 사업을 펼치고 있는 중 영화가 대중문화 산업일 수 밖에 없는 이유 -저렴한 관람비로 문화 생활, 데이트 등 다양한 욕구 충족 가능 -영화의 속성 상 다양한 장르, 색다른 스토리, 급변하는 테크놀러지의 반영 등으로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취향을 소구할 수 있음 - 문화에 있어서 특정 취향을 가진 부류의 한계를 뛰어넘는 대중성 확보
(3).원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multi use) 산업 영화는 다양한 창구(WINDOW)를 통한 가치확대 가능 방송, 비디오, DVD,OST음반, 캐릭터, 게임, 소설 출판, 테마 파크 등 EX) 해리 포터 –도서: 1억 7천만권 판매, 영화: 9억 6천달러 수입 (해리포터 시리즈 포스터) EX) 태극기 휘날리며 - 국내 최초 영화 콘텐츠를 테마파크로 조성 부산 벡스코 ‘전쟁 체험관’을 테마파크로 조성, 관광객 유치,영화상영 기간 동안 주말 이용자 1,500여명에 달해.
(4) 프로젝트형 시스템 산업 영화산업의 구성: 투자, 제작, 배급 영화의 흥행성을 매개로 단일 프로젝트 사업과 같이 사업 구성 주체들이결합과 해체를 반복. Ex) 쇼박스 투자, 태원 엔터테인먼트 제작, 000 배급 5. 고위험-고수익형 산업(high risk-high return) 헐리우드 메이저사의 경우도 10여편을 제작할 경우, 그 중 2-3편 정도만이 흥행에 성공한다. 하지만 한편의 블록버스터의 거대한 성공만으로도 모든 실패를 상쇄할 만큼 엄청난 이익을 창출한다. Ex) <타이타닉>, <왕의 남자>, <집으로> (타이타닉 포스터)
2. 영화산업 관련 주요 직종 • [기획] 시나리오 개발, 감독 선정, 배우 캐스팅, 투자 및 배급사 유치 • [제작] 총괄 프로듀서,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라인 프로듀서 • [감독 및 스탭] 실제 현장에서 직접 영화 크리에이티브 작업 • [마케팅] 영화 컨셉 제안, 광고 크리에이티브, 프로모션, 광고 전반 컨트롤 • [홍보] 미디어 노출 및 관리 • [디자이너] 영화 포스터 디자인 등 비주얼 크리에이티브 제안 • [수입/배급] 국내/ 해외 • [기술] 촬영,편집, CG, 음악, 음향, • [투자] • >> 상기의 어떤 분야든 전문인이 되었을 때 얻을 수 있는 benefit는 고수익의 전문 오너 비즈니스 직업으로 전환 될 소지 다분.
3.영화제작 배급 프로세스 기획- 소재 개발,시나리오 개발, 영화화권 취득 제작 준비-감독,주연캐스팅 파이낸싱,촬영대본 완성, 스탭 고용 제작-촬영 전반 완성-편집에서 녹음,특수효과 배급-극장,TV, 비디오, 해외배급 라이센스
4.영화 마케팅이란 • 영화가 제작되는 단계부터 극장에서 내리는 시점까지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행하는 일련의 PR, 홍보 활동 • 영화마케팅이란? >> 영화 자체의 강점을 부각,약점을 감추고, 관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매력적인 컨셉과 함께 셀링 포인트를 노출하는 과정
5. 마케팅 성공 사례 • 태극기 휘날리며(남북 분단을 다룬 블록버스터) • 공동경비구역 JSA(남북 분단을 다른 휴먼 드라마/ 액션) • 집으로(어린시절 향수를 소박하게 터치한 휴먼드라마) • 조폭마누라(조폭영화로서 최초,여성이 조폭보스로 등장) • 색즉시공(B급 스타,조연급 포진한 섹스 코미디) • 가문의영광(조폭을 통해 한국사회에 숨어있는 출신 콤플렉스 자극한 코믹 액션) • 올드보이- 엽기적 스토리와 스타일리쉬한 연출의 절묘한 조화 • 말아톤-장애 다룬 휴먼 드라마 • 웰컴 투 동막골-분단 문제 다룬 휴먼 드라마 • 왕의 남자-(사회비판과 트렌드가 잘 녹아들어간 휴먼 사극 ) • 괴물(블록버스터/휴먼/사회) • 올드보이. 가문의 영광, 괴물 포스터
6.한국영화, 외화 마케팅의 차이 • 한국영화 • 미국 직배영화 • 개인수입업자 영화 • 수익 분배 비율 한국영화-영화사:극장=5:5 외국영화- 영화사:극장=6:4 손익분기점; 영화사 3500원(세금, 배급 수수료 제외하면 3,000원 미만) 1인당 3,000원으로 잡고 100만 관객이 들면 30억 정도 수익 기대/부가판권 수익은 별도
7.영화인이 되기 위한 기본 자질영화 일에 매력을 느낄지라도 타 직업보다 산업의 기복이 많은 편이라 직업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를 늘 염두하고 있어야 하고, 앞서가는 감각 즉, 적어도 트랜드를 포착하거나 나아가서는 트랜드를 창조할 줄 아는 감각과 자질이 필요하다. 하지만 크리에이티브 못지 않게 강도 높은 일의 속성을 즐길 줄 아는 근성도 이 못지 않게 필요하다.
8.영화인이 되기 위한 필요 덕목 독창성, 강한 체력, 인내심, 근성, 다양한 파트의 전문 직종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사회성, 인문과학과 예술 전반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상식, 어떤 장르의 영화도 소화낼 수 있는 유연성과 폭 넓은 지식, 트렌드를 포착할 줄 아는 안목.
9.영화산업 취업을 위한 준비 • 1)영화사 기획실 –기획서 작성 능력, 크리에이티브, 문장력, 영화 지식, 연예계 정보 민감 • 2)기타 스탭 –각 분야별 전공에 맞는 지원(포트폴리오 유용) • 3)직배사 /수입사 –외국어 능력 • 4)지원서에 간혹 간한 인상을 주기 위해 지나치게 장난스럽거나 감각적인 표현보다는 신뢰감을 주는 방향으로 작성하는 편이 좋다. • 5)면접 때는 자신감 있고 똑똑해보일 것, 하지만 그 어떤 직업보다 협업을 필요로 하므로 편협해 보이거나 사회성에 문제가 있어보이는 인상을 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