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7

지역경제 및 공공재정 9 주차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 (1)

지역경제 및 공공재정 9 주차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 (1).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 (1): 4 대강 사업. 1. 사업의 개요 2. 주요 과제별 추진계획 3. 사업시행계획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1. 4 대강 사업의 개요. 사업의 개요 추진 배경 : 기후변화등으로 가뭄 · 홍수가 빈발함에 따라 근본적인 대책마련 : 유역내 오염원 유입 , 갈수기 수량 부족 등으로 수질 및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악화됨에 따라 근본적인 방지대책 필요

Download Presentation

지역경제 및 공공재정 9 주차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 (1)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지역경제 및 공공재정9주차.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1)

  2.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1): 4대강 사업 • 1. 사업의 개요 • 2. 주요 과제별 추진계획 • 3. 사업시행계획 •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3. 1. 4대강 사업의 개요 • 사업의 개요 • 추진 배경 : 기후변화등으로 가뭄·홍수가 빈발함에 따라 근본적인 대책마련 : 유역내 오염원 유입, 갈수기 수량 부족 등으로 수질 및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악화됨에 따라 근본적인 방지대책 필요 : 저활용되고 있는 수변 공간을 체계적으로 개발·정비하여 쾌적하고 아름다운 국토공간 조성 : 소득증가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수상레저 등 오락·여가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충족할만한 HW및 SW의 부족 : 고용 및 생산 등에 대한 산업연관효과가 큰 건설투자를 통해 침체된 지방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요구

  4. 1. 4대강 사업의 개요 • 사업의 구분 - 본 사업: 수자원 확보 및 홍수조절 등을 위해 4대강 본류에 시행하는 사업 - 직접연계사업: 섬진강과 주요지류 국가하천 정비와 하수처리시설 등의 확충을 위한 사업 - 연계사업: 강살리기로 확보되는 수변경관 등의 인프라를 활용하는 사업으로 해당부처 계획에 따라 연차별 시행 • 공간적 범위 : 4대강 및 섬진강 본류, 그 외 주요 지류 국가하천 - 한강: 본류(남한강)·북한강·섬강 - 낙동강: 본류·남강·금호강·황강·서낙동강·맥도강·평강천 - 금강: 본류·미호천·갑천·유등천 - 영산강: 본류·황룡강·함평천, 섬진강

  5. 2. 주요 과제별 추진계획 • 수자원 확보 - 장래 예상되는 물부족(2011 8억㎥, 2016년 10억㎥)과 가뭄에 대비하여 수자원 13억㎥을 추가확보 - 하도준설과 보를 설치하여 8.0억㎥의 용수를 확보할 계획 - 낙동강 수계에 중소 규모의 다목적댐을 건설하여 용수 공급량을 2.5억㎥ 확대 - 기존의 저수지 총 17,600여개 중에서 추가적으로 용수 확보가 가능하고 환경영향이 작으며, 수몰면적이 좁은 저수지 96개를 증고하여 갈수기에 하천 유지유량으로 공급 보의 설치 위치 수계별 보 설치 및 하도준설에 의한 용수확보 계획

  6. 2. 주요 과제별 추진계획 • 수해 예방 - 지구온난화 등으로 기상이변이 심해짐에 따라 200년 빈도 이상의 홍수에도 견딜 수 있도록 홍수조절 용량 9.2㎥ 증대할 계획 - 홍수조절지와 강변저류지의 설치로 홍수조절 용량을 0.5억㎥ 증대함으로써 하류지역을 수해로부터 보호 - 축조된 지 오래된 노후 제방 620Km를 보강하여 치수 안전도를 증대 - 하구둑 배수 갑문을 증설하여 신속히 홍수를 배제함으로써 수위를 낮춤 - 중소규모의 댐 건설과 농업용 저수지를 증고하여 홍수조절 용량 3.0억㎥ 증가 수해 예방 대책

  7. 2. 주요 과제별 추진계획 • 건전한 수생태계 복원 - 현재 76% 수준인 “수영할 수 있는 좋은 물(Ⅱ급수, BOD 3mg/L)” 달성수준을 2012년에 83~86%로 향상 - 수질오염도가 높은 유역의 체계적 관리 - 생태하천 복원 및 수변생태벨트 조성 • 복합 수변공간 창조 -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여가 인프라 조성 - 수변 접근성 개선: 도시구간에서는 제방도로의 신설을 지양하고, 기존 제방도로는 녹도화하거나 지하화하여 수변접근성을 대폭 향상시킬 계획 - 수변중심의 도시재생모색: 수변공간을 복합생활공간으로 개발, 공공·문화시설을 수변에 배치하여 수변공공성 확대, 지역성·장소성을 반영한 수변 랜드마크 조성 • 지역발전 촉진 - 4대강 살리기와 병행하여 지방하천, 소하천 등도 이수·치수·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비 - 문화가 흐르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추진: 친환경적인 강변 관광문화개발, 녹색관광·지질관광 활성화 및 에코문화관광 빌리지 조성

  8. 3. 사업시행계획 • 직접연계사업: 5.3조원 • 환경부가 추진하는 수질대책사업: 3.4조원(64.4%) • 농업용저수지 증고 사업: 0.15조원(2.8%) • 투자규모 • 본 사업비: 16.9조원 • 준설: 5.2조원(30.4%) • 농업용 저수지 증고와 영산강 하구둑: 2.8조(16.3%) • 생태하천조성: 2.2조원(12.9%) 직접 연계사업 종류별 예산 본사업 종류별 예산

  9. 3. 사업시행계획 • 지역 건설업체 참여확대 유도 - 행정안전부는 광역자치단체가 발주하는 구제입찰 대상공사(299억원 이상)에 대해 지역업체의 참여비율을 40%로 하도록 『지방계약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 - 4대강 상버을 따라 건설업체의 빈번한 이동 등에 따른 폐단을 줄이기 위해 지역의무공동도급 참여가능업체를 ‘입찰공고일 이전 90일 이상 소재한 업체’로 자격제한 • 발주일정 - 본 사업 및 직접연계사업은 6월부터 발주준비를 하여 하반기에 1차·2차로 나누어 단계적 으로 발주 - 4대강 본류 준설, 보 설치, 하천정비 등 대부분의 강 살리기 사업은 2011년 완료 : 지류, 댐·저수지 등은 2012년에 사업완료 : 직접 연계사업 역시 2012년 완료할 예정

  10.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 분석모형 및 자료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권역별 투자액에 따른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2003년도 지역산업연관표』자료(한국은행, 2007)를 활용하여 분석 - 사업내용과 비용이 확정된 본 사업과 직접연계사업의 권역별 투자비 중에서 순수 공사비에 따른 파급효과 분석. - 이를 위해 강별 투자비를 권역별로 배분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는데 정부가 발표한 지점별 사업 내용을 토대로 권역별 공사비를 추정함. - 본 분석은 『2003년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므로 이 자료에서 분류된 6개권역을 기준으로 공사비 배분 추정함. 권역별 4대강 사업의 순 건설공사비

  11.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1) 수도권 • 수도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생산유발효과 수도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수도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수도권 지역 건설공사액:1.6조원X • 수도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권역별 생산유발계수:1.60783 • =2,572,538,000,000 • 기타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34,394,600,000+152,379,200,000+133,785,600,000 • +123,140,800,000+153,513,600,000=597,212,800,000 • 수도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수도권 건설산업생산유발효과 • 수도권 지역 건설공사액:1.6조원X • 수도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수도권 건설산업생산유발계수:1.00523 • =1,608,368,000,000

  12.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1) 수도권 • 수도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취업유발효과 수도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수도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수도권 지역 건설공사액:1.6조원X • 수도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권역별 취업유발계수:17.129084(명/10억원) = 27,406 명 • 기타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326.36 + 1,005.32 + 681.25 + 642.64 + 894.13 = 3,549 • 수도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수도권 건설산업취업유발효과 • 수도권 지역 건설공사액:1.6조원X • 수도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수도권 건설산업취업유발계수:12.2685(10억원당) = 19,629 명

  13.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2) 강원권 • 강원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생산유발효과 강원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강원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강원권 지역 건설공사액:0.5조원X • 강원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강원군 생산유발계수:1.336501 • =668,250,500,000 • 기타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157,273,500,000+40,277,500,000+33,411,500,000 • +42,520,500,000+52,897,500,000=326,380,500,000 • 강원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강원권 건설산업생산유발효과 • 강원권 지역 건설공사액:0.5조원X • 강원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강원권 건설산업생산유발계수:1.0048 • =502,400,000,000

  14.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2) 강원권 • 강원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취업유발효과 강원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강원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강원권 지역 건설공사액:0.5조원X • 강원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강원군 취업유발계수:12.799586(명/10억원) = 6,399 명 • 기타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1,353.60 + 267.86 + 173.99 + 228.13 + 296.97 = 2,320 명 • 강원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강원권 건설산업취업유발효과 • 강원권 지역 건설공사액:0.5조원X • 강원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강원권 건설산업취업유발계수: 10.016526(명/10억원) = 5,008 명

  15.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3) 충청권 • 충청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생산유발효과 충청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충청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충청권 지역 건설공사액:2.9조원X • 충청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충췅권 생산유발계수:1.403719 • =4,070,785,100,000 • 기타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800,388,400,000+47,502,000,000+261,101,500,000 • +277,211,000,000+325,635,200,000=1,711,838,100,000 • 충청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충청권 건설산업생산유발효과 • 충청권 지역 건설공사액:2.9조원X • 추청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충청권 건설산업생산유발계수1.002303 • =2,906,678,700,000

  16.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3) 충청권 • 충청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취업유발효과 충청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충청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충청권 지역 건설공사액:2.9조원X • 충청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충췅권 취업유발계수: 14.282853(명/10억원) = 41,420 명 • 기타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6,723.62 + 439.56 + 1,453.34 + 1,400.79 + 1,877.97 = 11,895 명 • 충청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충청권 건설산업취업유발효과 • 충청권 지역 건설공사액:2.9조원X • 추청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충청권 건설산업취업유발계수 11.42758(명/10억원) = 33,139 명

  17.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4) 전라권 • 전라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생산유발효과 전라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전라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전라권 지역 건설공사액:3.4조원X • 전라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전라권 생산유발계수:1.42108 • =4,831,672,000,000 • 기타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820,001,800,000+42,989,600,000+291,849,200,000 • +257,709,800,000+452,040,200,000=1,864,590,600,000 • 전라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전라권 건설산업생산유발효과 • 전라권 지역 건설공사액:3.4조원X • 전라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전라권 건설산업생산유발계수1.004106 • =3,413,960,400,000

  18.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4) 전라권 • 전라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취업유발효과 전라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전라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전라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전라권 지역 건설공사액:3.4조원X • 전라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전라권 취업유발계수: 13.835397(명/10억원) = 47,040 명 • 기타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7,343.71 + 398.18 + 1,913.52 + 1,513.23 + 2,671.33 = 13,839 명 • 전라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전라권 건설산업취업유발효과 • 전라권 지역 건설공사액:3.4조원X • 전라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전라권 건설산업취업유발계수 10.680407(명/10억원) = 36,313 명

  19.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5) 경북권 • 경북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생산유발효과 경북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경북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경북권 지역 건설공사액:6.4조원X • 경북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경북권 생산유발계수1.432562 • =9,168,396,800,000 • 기타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1,400,576,000,000+86,150,400,000+414,432,000,000 • +428,364,800,000+1,190,822,400,000=3,520,345,600,000 • 경북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경북권 건설산업생산유발효과 • 경북권 지역 건설공사액:6.4조원X • 경북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경북권 건설산업생산유발계수1.00337 • =6,421,568,000,000

  20.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5) 경북권 • 경북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취업유발효과 경북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경북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경북권 지역 건설공사액:6.4조원X • 경북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경북권 취업유발계수 14.110377(명/10억원) = 90,306명 • 기타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12,378.31 + 822.27 + 2,785.20 + 2,837.95 + 7,427.19 = 26,250 명 • 경북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경북권 건설산업취업유발효과 • 경북권 지역 건설공사액:6.4조원X • 경북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경북권 건설산업취업유발계수 11.12118(명/10억원)= 71,175 명

  21.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6) 경남권 • 경남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생산유발효과 경남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경남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경남권 지역 건설공사액:4.6조원X • 경남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경남권 생산유발계수1.479007 • =6,803,432,200,000 • 기타권 지역 생산유발효과 • 969,859,400,000+78,246,000,000+308,963,600,000 • +355,805,400,000+592,125,800,000=2,305,000,200,000 • 경남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경남권 건설산업생산유발효과 • 경남권 지역 건설공사액:6.4조원X • 경남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경남권 건설산업생산유발계수1.003806 • =4,617,507,600,000

  22.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6) 경남권 • 경남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취업유발효과 경남권 지역 사업의 경제파급효과 • 경남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경남권 지역 건설공사액:4.6조원X • 경남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해당 경남권 취업유발계수 15.122698(명/10억원) = 69,564 명 • 기타권 지역 취업유발효과 • 8,410.07 + 622.51 + 1,934.74 + 2,130.36 + 3,534.25 = 16,631 명 • 경남권 지역 사업으로 인한 경남권 건설산업취업유발효과 • 경남권 지역 건설공사액:6.4조원X • 경남권지역 사업으로 인한 경남권 건설산업취업유발계수 11.777926(명/10억원)=54,178 명

  23.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7) 종합: 4대강 사업으로 인한 각 권역별 생산유발효과 - 4대강 사업으로 인한 각 권역별 생산유발액을 보면, 경북권이 10.46조원으로 가장 큰 생산유발효과가 나타남. 강원권은 건설비용이 얼마 들어가지 않아 0.96조원으로 가장 적은 생산유발효과가 나타남. 수도권은 건설비용에 비해 3번째로 큰 생산유발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수도권의 경제 및 산업 집중에 따른 간접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임.

  24. 4. 권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8) 종합: 4대강 사업으로 인한 각 권역별 취업유발효과 - 4대강 사업으로 인한 각 권역별 취업유발효과를 보면, 경북권이 97,625명으로 가장 큰 생산유발효과가 나타남. 강원권은 건설비용이 얼마 들어가지 않아 9,009 명으로 가장 적은 취업유발효과가 나타남 수도권은 건설비용에 비해 3번째로 큰 취업유발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수도권의 경제 및 산업 집중에 따른 간접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임.

  25. 신행정수도 건설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상호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1): 신행정수도 건설 1. 신행정수도 건설투자 계획 개요 2. 건설산업 부문별 투자시기 및 규모 3.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26. 1. 신행정수도 건설투자 계획 개요 • 「신행정수도 건설추진을 위한 기본구상연구」(2003년 12월)에 의하면 2007~2030년까지 신행정수도 건설에 45.6조원이 소요될 전망. • 재원부담주체별로 보면 정부재정은 국회․정부청사․시청 등 공공건축물 건축과 고속도로 등 광역교통시설의 건설 등에 11.3조원이, • 민간으로부터는 주택, 상업․업무시설 건축 등에 34.3조원이 소요될 전망. • 부문별 사업비 - 용지보상비를 제외한 건설투자 지출 규모는 약 41조원 (토지보상비는 이전지출의 성격으로 투자지출 규모에서 제외)

  27. 1. 신행정수도 건설투자 계획 개요 • 신행정수도 건설비 세부내역 • 자료: 『신행정수도건설 추진을 위한 기본구상연구』 • 국토연구원, 2003.

  28. 2. 건설산업 부문별 투자시기 및 규모 • 건설투자지출 부문 분류 - 신행정수도 건설이 건설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신행정수도건설 내역별 투자지출을 4개 건설부문별로 재분류 - 한국은행 전국산업연관표(2000년)상의 통합소부문(168부문) 기준으로 신행정수도 건설 세부내역을 4개 부문으로 재분류 - 앞의 표에서와 같이 조성비중 기본시설, 간선시설, 설계비 등은 기타토목건설부문으로, 공공청사·업무·상업용 건물 등은 비주거용 건물건설로, 주택은 주거용 건물건설로, 광역교통시설(도로, 철도) 및 조성비중 교통시설 건설 성격의 조성비는 교통시설 건설부문으로 4개 부문으로 재분류

  29. 2. 건설산업 부문별 투자시기 및 규모 • 부문별 투자지출 규모 및 시기 - 신행정수도의 건설기간(2007~2030)중 총투자지출 40조 9,702억원을 4개 부문별 · 연도별로 재배분 하였음.

  30. 2. 건설산업 부문별 투자시기 및 규모 계 104,747(억원) 계 176,000(억원) 계 52,718(억원) 계 76,237(억원)

  31. 3.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 분석모형 및 방법 - 한국은행의 2000년 기준 산업연관표 이용 - 생산유발계수는 순수 국내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산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분석 : 즉 국산생산유발계수 를 이용하여 파급효과를 분석 : - 임금유발효과 및 취업(고용)유발효과의 경우 생산유발효과에 총투입 중 임금비중 및 취업(고용)계수를 곱하여 산출하였음. : 다만 건설관련산업중 건축공학서비스부문과 같이 기본부문(404부문)에 해당하는 부문의 경우 취업(고용)계수는 한국은행에서 168부문이하로 세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위분류의 계수를 이용

  32. 3.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투자지출 부문별 투자규모 및 시기 (억원) • 부문별 건설투자액

  33. 3.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국산 생산유발계수표 • 국산 생산유발계수표 (경상표, 168부문) 2000년 통합소분류

  34. 3.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부문별 생산유발효과 (단위:억원) • 부문별 투자액 x 국산생산유발계수 = 부문별 생산유발효과

  35. 3.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도별 생산유발효과 (억원) • 연도별생산유발효과

  36. 3.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 투입계수표 (경상표, 168부문) 2000년 통합소분류 • 투입계수 중 부문별 피용자보수계수 x 부문별 생산유발효과액 = 임금유발

  37. 3.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 산업별 취업계수표 (경상표, 168부문) 2000년 통합소분류 • 취업계수 x 부문별 생산유발액 = 취업유발 • 고용계수 x 부문별 생산유발액 = 고용유발 단위: 명/10억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