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 likes | 656 Views
Role of Central and 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 Measurement in Perioperative Care Stephen J. Shepherd, M.R.C.P., M.B.B.S.,* Rupert M. Pearse, F.R.C.A., M.B.B.S., M.D.†. 마취통증의학과 R2 신동식. major surgery 후 complication 은 사망률을 올리는 원인이 된다
E N D
Role of Central and 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Measurement in Perioperative CareStephen J. Shepherd, M.R.C.P., M.B.B.S.,* Rupert M. Pearse, F.R.C.A., M.B.B.S., M.D.† 마취통증의학과 R2 신동식
major surgery 후 complication은 사망률을 올리는 원인이 된다 • Complication은 복합원인인데, cardiorepiratory origin은 그중 중요한 요소이다 • 최근 Scvo2, Svo2가 cardiorespiratory 평가에 대한 측정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 본 article의 목적은 Scvo2,Svo2에 대한 생리적 평가, 측정방법, 임상적 사용 등에대한 고찰을 함
Materials and Methods • Scvo2( central venous oxygen saturation) - hemoglobin saturation of blood in the superior vena cava • Svo2( 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 - hemoglobin saturation of blood in proximal pulmonary artery • Normal value에 대한 대중적 data는 없지만 70%-80% 로 잡고 있다
Physiology of Venous Oxygen Saturation • Rearrangement of the Fick equation - venous oxygen content는 arterial oxygen content oxygen consumption cardiac output 에 의해 결정 • Metabolic requirement of oxygen 과 산소 공급량의 관계 - 산소 운반력에 비해 소모량이 많아지거나 - 소모량에 비해 운반력이 떨어진다면 - venous oxygen content는 감소하게 됨
Oxygen Delivery as a Determinant of VenousOxygen Saturation • Oxygen Delivery(DO)는 - CO - Hb - arterial saturation
Oxygen Consumption as a Determinant of VenousOxygen Saturation • Oxygen consumption(Vo2) 와 venous saturation의 관계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안되어 있다 • 이는 Vo2가 venous saturation 의 중요 결정요소임을 인식 못하고 있음 • Vo2 변화 요인(증가) : pain, anxiety, shivering, 전신마취의 종료, 체온증가, 근이완의 해재 등 - venous saturation의 감소 원인이 됨
Relationship between SvO2 And ScvO2 • 결론적으로 Scvo2 와 Svo2는 매우 유사하지만 같은값으로 써서는 안됨 • Svo2 : 몸전체의 balance between oxygen supply and demand • Scvo2 : upper body • 건강한 성인의 경우 Scvo2 가 Svo2보다 2-5% 낮다 - kidney 가 high oxygen content of effluent venous blood 때문 • 하지만 shock 상태에서는 kidney가 정상작용을 못해 Scvo2>Svo2 된다 ( 20%이상 Scvo2가 높게 됨) • Pulmonary catheter의 삽입이 점점 감소하면서 Svo2를 측정못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됨 : Scvo2와 Svo2가 다름을 알고 사용
Measurement of venous oxygen saturation • 1929 cardiac catheterization – Svo2 측정 • 1970 balloontipped pulmonary artery catheter • Spectrophotometry 의 사용 • Optical fiber technology (비쌈)
Observational Studies of Perioperative Changes inScvO2 and SvO2 • Major Op후 venous saturation의 abnormality는 수술후 complication의 원인이 됨 • Scvo2 & Svo2의 reduction에 대한 여러 상황의 observational study를 시행
Noncardiac surgery • 2개의 observational study • 117명의 스터디에서 - 수술후 첫 1시간동안 Scvo2 감소 (64.4%) - 이는 complication생긴 환자에 관계없이 생긴 것 - 저자는 전신마취후 증가된 Vo2로 봄 • 60명의 스터디 에서는 - complication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수술중 Scvo2의 감소가 보임 - 이 스터디에서는 최적의 Scvo2는 73%라고 봄 (complication이 없는 수치? )
Cariothoracic surgery • 어떤 연구에서도 Scvo2의 변화는 없었고, Svo2의 변화만 관찰 됨 • Svo2의 변화는 MAP와 HR의 변화 전에 이미 감소가 되었고 이는 cardiac index의 변화에 의한것이라고 봄 • 심,폐 수술받는 환자에 대한 연구중 Svo2가 65%이하로 지속 된 환자의 경우 더 높은 complication의 발생을 갖게 됨 - postoperative organ failure , prolonged ICU stay • 폐이식 수술중에도 Svo2의 감소는 adverse clinical events가 생김 • 심폐 bypass 동안에도 Svo2가 더욱 specific indicator였다
Trauma • 동물과 사람의 hypovolemia의 venous saturation에 대한 study • Penetrating trauma study에서 대량의 blood loss에 대한 HR,MAP,CVP로 보는 것보다 Svo2가 더욱 유용함 • Normal value of Svo2를 유지한경우 survival benefit이 있다고 저자들은 제안
Interventional Trials Utilizing ScvO2 and SvO2 asTherapeutic Targets in the Perioperative Period- noncardiac surgery • 135환자 major abdominal surgery 대상 • 모든환자는 적절한 fluid therapy , dobutamine 사용, Hb 수치에 따른 수혈, 적절한 혈압 HR 유지, O/I의 조절, CVP 측정을 함 • Scvo2 군 에서는 - dobutamine의 더욱 빈번한 사용과 더욱 많은 양의 사용 - fluid therapy와 수혈은 비슷 ( Scvo2군에서 더 먼저 시작) - 더 적은환자에서 organ failure가 옴 ( 8/68명 , 20/67명) - hospital stay 기간 감소 ( 11.3 +- 3.8days , 13.4 +- 6.1 days) - mortality는 비슷 ( 2.9% . 3.0% ) • 연구 data가 적어서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
-cardiothoracic surgery • 196명의 환자를 대상 ( Svo2군 과 control 군으로 나누고 두군다 svo2는 측정) • Svo2군 - 70% 유지 위해 IV fluid & inotropic therapy 사용 (수술후에도) • Control group - pulmonary artery occlusion pressure, cardiac index, arterial pressure, Hct 를 고려 하며 IV fluid & inotropic therapy 사용 • 수술전 Svo2의 수치는 두군이 같음 ( 67 +- 6% ) • Svo2군은 지속적으로 71+- 4% vs control군은 69+-5% 됨
-cardiothoracic surgery • Hospital say는 6일 vs 7일 • Complication 발생수는 2명 vs 11명 • 저자들은 Svo2의 2%차이가 임상적 향상을 시킨다는것에 불확신함 - 더 많은 연구가 필요 • High risk pt or cardiac surgery 환자의 경우 수술중후 ICU에서 지속적 Svo2의 monitoring & 조절의 치료적 접근은 가능하다고 봄
Conclusions • ScvO2 and SvO2는 수술중 산소운반.소모에 대한 병태생리적 상태를 반영함 • Supplemental oxygen,respiratorysupport,bloodproducts,intravenousfluid,inotropictherapy,anesthesia,analgesia,sedation,andrewarming are all commonly used perioperative interventions that affect venous oxygen saturation • 적은 임상적 고찰 및 스터디에서Svo2,Scvo2의 치료적 접근, 사용이 이루어 졌고 이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