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 likes | 368 Views
종 묘. 4-8 박찬진. 종묘란 ?. 사적 제 125 호 . 총면적 5 만 6503 평 . 서울 종로구 훈정동 소재 . 원래는 정전을 가리키며 , 태묘라고도 한다 . 종묘의 정전에는 19 실에 19 위의 왕과 30 위의 왕후 신주를 모셨으며 , 영녕전에는 정전에서 조천된 15 위의 왕과 17 위의 왕후 및 의민황태자의 신주를 모셨다 . 1995 년 유네스코에 의해 팔만대장경 , 석굴암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어숙실이란 ?. 어숙실
E N D
종 묘 4-8 박찬진
종묘란? • 사적 제125호. 총면적 5만 6503평. 서울 종로구 훈정동 소재. 원래는 정전을 가리키며, 태묘라고도 한다. 종묘의 정전에는 19실에 19위의 왕과 30위의 왕후 신주를 모셨으며, 영녕전에는 정전에서 조천된 15위의 왕과 17위의 왕후 및 의민황태자의 신주를 모셨다. • 1995년 유네스코에 의해 팔만대장경, 석굴암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어숙실이란? • 어숙실 재실이라고도 하며 제사 때 왕이 제사를 준비를 하던 곳으로 준비실과 목욕실이 있다. 예전에는 제사모형과 역대 왕의 존호를 새긴 어보, 왕가의 길흉사를 적은 금책,옥책,죽책과 제례악에 쓰인 여러악기가 전시되었었는데 지금은 개방하지 않고 있다.
제정이란? • 제정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 샘이 흐르는 곳에 만든 우물이며,제례 때마다 이곳의 깨끗한 물을 떠서 사용하였다고 한다. 우물의 깊이는 약4m이다.
전사청이란? • 전사청 종묘 제사 때 사용하던 그릇과 물건, 운반기구등을 준비하던 곳이다. 1392년 종묘를 지을 때 함께 지었고, 임진왜란 때 불타 1608년 선조 때 다시 지었다. 전사청 앞에는 검은색 돌을 깐 널따란 단이 있는데 이것을 '천막단'이라 부르며, 이 단에서 제사 지낼 음식과 음식차림을 심사하였다고 함.
공신당이란? • 공신당 조선왕조 때 공로가 큰 신하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던 곳이다. 공신당 앞에는 각 임금 때 공신이었던 신하들의 이름이 적힌 안내판이 놓여 있다.
종묘정전 설경 정전 내부
입구에서 본 정전 영녕전 전경
공신당 유네스코 지정 세계 문화 유산
종묘 제례악이란? • 종묘제례악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왕에게 제사를 지낼 때 연주하는 음악을 말하며 한국의 중요 무형문화재 제1호입니다. 1447년 세종대왕이 조선의 창업을 기리는 내용으로 작곡한 것인데, 서양의 바로크 음악보다 무려 200년이나 앞선 것입니다. 종묘제례악은 우리 나라 음계의 고유한 특성을 잘 살려 악곡 구성이 거의 완벽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보태평 11곡과 정대업 15곡으로 구성된 종묘제례악은 500여 년 동안 전해져 오면서 조금 변하기는 했지만 지금까지 연주되는 귀중한 궁중 음악의 전형입니다
종묘 제례란? • 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 신위는 종묘 정전과 조묘인 영녕전에 나뉘어 봉안되어 있다. 정전의 19실에는 태조~순종의 48위의 신주를, 영녕전의 15실에는 태조의 5대조 목조~장조의, 주로 추존된 왕과 왕비를 중심으로 한 32위의 신주를 각각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의 종묘제향은 왕이 친림하는 대사로서 사직과 함께 길례였다. 제사는 사가와 마찬가지로 밤중에 지냈으며, 임금을 비롯한 왕세자, 여러 제관, 문무백관, 무 ·아악사등 700여 명이 참가하였다. 조선시대의 본전 제향은 4맹삭상순, 즉 1 ·4 ·7 ·10월의 각 10일 이내와 납일, 즉 동지 후 셋째 술일에 대향을 드렸고, 매월 삭망과 5속일에는 소사를 지냈다. 한편, 영녕전의 대향제는 4월과 8월 상순에 행하였다. 그러나 8 ·15광복 후부터 종묘 ·영녕전의 제향은 매년 5월 첫 일요일에 봉행한다. 제례 절차는, ① 선행절차, ② 취위, ③ 영신,④ 행농나례, ⑤ 진찬, ⑥ 초헌, ⑦ 아헌례, ⑧ 종헌례, ⑨ 음복례, ⑩ 철변두, ⑪ 망료, ⑫ 제후처리의 순으로 진행된다. 종묘제향은, 일제 강점기에는 이왕가에서 지냈고, 광복 후에는 전주이씨 종문에서 섭행하고 있다. 또, 종묘제례에는 음악과 무용이 따르는데, 음악은 《보태평)》《정대업)》이 연주되고, 무용은 팔일무:64명이 춤추는 문무와 무무가 연행된다. 음악과 무용은 현재 국립국악원의 악사와 무인들이 대행한다.
종묘 제례를 하는 모습 제관들이 예를 올리는 모습
임금의 종묘 제향 제관들의 행차
개장 시간:3~10월(09:00~18:00). 11월~2월(09:00~17:30) • 5~8월 주말 및 공휴일에는 오후 7시까지 • 매표는 폐관 시간 1시간 전까지. 매주 화요일 휴관 • 입장료:어른 700원/학생 (19~24세)300원/ 18세 이하 무료 • 30인 이상 단체일 경우 어른 550원/ 학생 250원 • 종묘입장권으로 창경궁 무료 입장 가능 • 교통편:<시내버스>5-1, 23, 25, 30, 32, 38, 53, 59, 85,131, 134, 146, 154, 157, 222, 302, 401, 710 • <좌석버스>2, 725 • <지하철>지하철 1,3,5호선 종로3가역 하차 • 위치 • 종로구 훈정동 1(전화: 765-0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