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0 likes | 720 Views
주식투자: 가치투자에 대하여. May 2004. 목 차. 각종 투자에 대한 토론 주식투자: 어떤 기업을 얼마에 살 것인가 ? 1. 주식투자의 기본 2. 기업의 적정가치는 ? 3. 어떤 기업을 살 것인가 ? 결론. 각종 투자에 대한 토론. 탐욕과 공포. 투자유형. Day trader 기술적 분석 투자자 모멘텀 투자자 가치투자자 Warren Buffet. 각종 투자의 종류. 가격 형성 - 생산원가 + 이윤 - 수요/공급 투자 이유 - 효용가치
E N D
주식투자: 가치투자에 대하여 May 2004
목 차 • 각종 투자에 대한 토론 • 주식투자: 어떤 기업을 얼마에 살 것인가 ? 1. 주식투자의 기본 2. 기업의 적정가치는 ? 3. 어떤 기업을 살 것인가 ? • 결론
투자유형 • Day trader • 기술적 분석 투자자 • 모멘텀 투자자 • 가치투자자 • Warren Buffet
각종 투자의 종류 • 가격 형성 • - 생산원가 + 이윤 • - 수요/공급 • 투자 이유 • - 효용가치 • 투자시 고려사항 • - 투자기간 • - 예산
각종 투자의 종류 • 가격 형성 • - 수익 창출력 효용/편의 • - 수요/공급 • 투자 이유 • - 임대/주거/시세차익 • 투자시 고려사항 • - 투자기간 • - 예산 • - RISK
각종 투자의 종류 • 가격 형성(금리) • - 물가상승률 + GDP 성장률 • - 수요/공급 • 투자 이유 • - 이자수입 / 시세차익 • 투자시 고려사항 • - 투자기간 - RISK
각종 투자의 종류 • 가격 형성 • - ? • - 수요/공급 • 투자 이유 • - 기업지배 • - 시세차익 • - 배당수입 • 투자시 고려사항 • - 투자기간 • - RISK
주식투자 : 어떤 기업을 얼마에 살 것인가 ? 1. 주식투자의 기본 2. 기업의 적정가치는 ? 3. 어떤 기업을 살 것인가 ?
주식투자의 기본 • 싼가격에 사서 비싼 가격에 판다. • 싼가격과 비싼 가격에 대한 판단은 각 투자자의투자방법 및 투자기간에 따라 달라진다.
가치투자자는 어떻게 주식의 적정가치를 파단하는가 ?
주주가 된다는 의미 • 주주 = 기업의 주인 • 주주의 가치가 크진다는 것은 회사가 수익을 많이 내어서 배당을 많이 주고 이익잉여금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함.
이런 채권은 얼마에 사겠습니까? • 만약 매년 1천만원의 이자를 영원히 주는 채권이 있다면, 얼마를 지불하고 이 채권을 사시겠습니까? • 기대수익률을 10%로 하면, 1천만원 / 10% = 1억원에 사고자 할 것입니다. * 이 경우 10년만에 원금을 회수하고, 그 후 영원히 10%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 기대수익률을 5%로 하면, 1천만원 / 5% = 2억원에 사고자 할 것입니다. * 이 경우 20년만에 원금을 회수하고, 그 후 영원히 5%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이 회사는얼마에 사겠습니까? • 매년 5억원의 순이익이 나오는 회사가 있습니다. 얼마에 사시겠습니까? • 기대수익률을 10%로 하면, • 5억 / 10% = 50억원에 사고자 할 것입니다. * 이 경우 10년만에 원금을 회수하고, 그 후 영원히 10%의 수익을 받게됩니다. • 기대수익률을 5%로 하면, • 5억 / 5% = 100억원에 사고자 할 것입니다. * 이 경우 20년만에 원금을 회수하고, 그 후 영원히 5%의 이자를 받음.
이 회사는 얼마에 사시겠습니까? * 발행주식수: 80만주 • 50억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 (주식 한 주당 6,250원) • - 현재 이 회사의 자산가치를 100% 인정하는 경우 • 이 경우 PBR은 ? * PBR = 주식가격 / 자기자본 • PBR = 50억 / 50억 = 1배 • 경우에 따라서 50억 미만 혹은 50억 이상을 지불 할 것임. • - 이 회사의 실질자산 가치 • - 이 회사의 향후 수익성
이 회사를 50억원에 사면 ? ROE = 순이익/자기자본 = 5억/50억 = 10% • 투자 기대수익률은 ? • = 5억 / 50억 = 10% • 이 회사가 영원히 매년 5억원의 이익을 낼 수만 있으면, 이 투자자는 매년 10%의 이자를 지급하는 영구채권을 사는 것과 같음.
이 회사를 50억원에 사면 ? ROE = 순이익/자기자본 = 10억/50억 = 20% • 투자 기대수익률은 ? • = 10억 / 50억 = 20% • 이 회사가 영원히 매년 10억원의 이익을 낼 수만 있으면, 이 투자자는 매년 20%의 이자를 지급하는 영구채권을 사는 것과 같음.
PBR의 의미는? • PBR < 1 인 경우 • - 자산항목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재고의 가치가 거의 없든지 등등) • - 순이익이 낮은 경우 (ROE가 투자기대 수익률보다 낮은 경우) • PBR > 1 인 경우 • - 자산항목에 숨겨진 가치가 있거나 (부동산 가치 등등) • - 순이익이 높거나 (ROE가 투자기대 수익률보다 높거나) • - 무형자산의 가치가 높을 경우 (brand value 등등)
PBR 과 ROE의 관계 • 이 회사가 동일한 50억의 자기자본을 갖고 매년 10억의 이익을 영원히 낼 수 있다고 가정하면, (ROE = 10억/50억 = 20%) • 이 회사를 50억에 사게 되면, [PBR=1] - 투자한 자금을 5년만에 회수하고, 영원히 20%의 이익을 받을 것임. • 이 회사를 100억원에 사게 되면, [PBR=2] - 투자한 자금을 10년만에 회수하고, 영원히 10%의 이익을 받을 것임. • 순이익이 2배가 되면서 (즉, ROE가 2배), 이 회사 100억에 매수 [PBR=2배] = 이전 회사 50억 [PBR=1배] 에 매수 • 즉, ROE가 높으면 PBR기준으로 높은 가격에 사도 됨.
실제 예 (농심) • 농심의PBR 및 ROE는 ? • 시가총액 = 1조 3,000억 (= 주가 225,000원 * 주식수 570만주)PBR = 1조 3,000억 / 6,820억 = 1.9배ROE = 1400억 / 6820억 = 20.53% • 매년 1400억의 이익을 낸다고 가정하면 기대 투자수익률은 ? • 1400억 / 1조 3000억 = 10.77% • 농심은이 가격에 살만한 주식인가 ?
PER이란? • PER = • 주가 / 순이익
PER의 의미 • PER = 8배 라는 의미는, • 주가 / 순이익 = 8배 • 주가 = 순이익 X 8배 • 순이익이 매년 같다면, 현 가격에서 이 주식을 사면 8년 지나면 투자금액을 모두 회수한다는 의미임. • PER = 8배 라는 의미는, • 주가 / 순이익 = 8배 • 순이익 / 주가 = 1/8 = 12.5% • 순이익이 매년 같다면, 현 가격에서 이 주식을 사면 년 12.5%의 이자를 주는 채권투자와 동일하다는 의미임.
적정 PER은? • 채권투자와 비교해 보자 • 매년 이자를 5% 지급하는 국채 (부도 가능성 없는 영구채권)이 있다고 생각해 보자 • 주식투자에는 년 몇%의 수익을 요구하나? • 주식은 통상적으로 채권보다 위험한 투자자산이므로 premium을 7%얹어 12%를 요구한다고 생각하면 (risk-return관점) • 적정 PER = 1 / 12% = 8.3배
PER의 문제점 • 변동성이 큰 영업외 손익이 반영되어 있음 • 회계기준에 따라 회사별로 이익의 질이 다름 • 이익변동성이 큰 기업의 경우 어느 해를 기준으로 삼을 지가 애매함 • 성장성이 큰 기업과 성장성이 다른 기업에 대해 다른 기준의 PER을 부여할 수 있음.
DCF란 • Cash flow를 기준으로 기업의 가치를 판단 • 기업가치 = 매년의 Free cashflow / 할인율 (Wacc) • 주식가치 = 기업가치 - 순부채 • Free Cashflow = EBIT (Earnings Before Interest & Tax) + 감가상각비 - 설비투자 - 운전자본 증가 - tax
실제 예 (농심) • 이 회사가 향후 성장이 없다고 가정하면, 매년 1,400억원의free cashflow가 발생함. • 기업가치 = 1400억 / 10% = 1조 4,000억 • 주식가치 = 1조 4,000억 – 순부채 (순현금) = 1조 4,000억 • 현재 이 회사 시가총액은 1조 3,000억 (주가 225,000원인 경우) • 이 회사는 저평가되어 있는 것일까 ?
어떤 기업을 살 것인가? • Business가 단순하고 이해하기쉬울 것. - Warren Buffet: 이해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만 투자 - Peter Lynch: 한 장의 종이에 business를 설명 • 과거 수년간 안정적인 영업실적을 보여주고 있을 것. • 향후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이익성장이 가능할 것. (시간은 나의 편) - Franchise 기업들 • 경영진은 신뢰할 수 있고 합리적이며 주주들에게 솔직할 것.
장기적인 이익성장이 가능한 기업들 • Franchise 기업 (소비자 독점력을 가진 기업) - 필수품 - 독점 혹은 준독점적 사업 - 정부의 regulation을 받지 않음 * 가격결정력 -> 높은 ROE -> 무형자산 • Brand Power가 높은 경우 • 진입장벽이 높은 기업 - 원가경쟁력 - 기술력의 우위
우량기업 판단 질문들 • 소비자 독점적 사업인가 ? • 수익성이 높고 상승세인가 ? • 보수적으로 자산운용을 하는가 ? • 주주자본에 대해 지속적으로 높은 이익을 내는가 ? • 물가상승시 자유롭게 제품가격을 인상할 수 있는가 ? • 유보수익이 그 기업의 시장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가 ? • 지속적으로 설비투자/연구개발을 하여야 하는가 ?
결론 • 어떤 기업을 (우량한 기업을) • 얼마나 싸게 사서 (내재가치에 비해 싸게) • 얼마에 팔 것인가 (과대평가 되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