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425 Views
케이블 관련 기술 표준화 및 인증 계획. 2006. 6. 13. 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목차. 미국 표준화 및 인증 현황 KLabs 소개 KLabs 표준화 계획 KLabs 장치 인증 현황 및 계획 장치 인증 시스템 운영 (STB, CableCard) OCAP 인증 Test-bed 구축 및 활용. 미국의 표준화 및 인증 현황. CableLabs 소개. CableLabs 소개 미국 케이블 사업자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사업자 표준 . 인증 기관
E N D
케이블 관련 기술 표준화 및 인증 계획 2006. 6. 13 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목차 • 미국 표준화 및 인증 현황 • KLabs 소개 • KLabs 표준화 계획 • KLabs 장치 인증 현황 및 계획 • 장치 인증 시스템 운영(STB, CableCard) • OCAP 인증 • Test-bed 구축 및 활용
미국의 표준화 및 인증 현황 CableLabs 소개 • CableLabs 소개 • 미국 케이블 사업자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사업자 표준.인증 기관 • 신속한 업계 의견 반영 및 사업자 표준 확립으로 (M)SO의 투자 비용 절감 • 1997년 당시 30여종의 기술에 대해서 CableLabs가 하나의 표준으로 제정 • CablaLabs에서 제정한 업계 주도의 표준이 국제 표준으로 인정되면서 FCC로부터 케이블 관련 표준기관으로 인정 ATSC MSO CableLabs • CableLabs 표준반영 • 프로젝트 계획 • 현안 대책 마련 • 장비 업체와의 관계 조율 • 표준 제정 및 인증 시험 • Specification • Interoperability • Certification, Qualification, Validation • 의사 결정 • 제품 구매 SCTE Vendors • CableLabs 표준반영 • 사업자 표준 제정 능동적 참여 • 업계와 제품출시 일정 조율 • 케이블 업계 정보 획득
Requirement Specification Interop Certification Product Shipment 미국의 표준화 및 인증 현황 CableLabs Focus Team • CableLabs Focus Team : 표준화 및 인증 제도 논의 • 해당 업체가 CableLabs와 NDA (Non-Disclosure Agreement)와 IP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greement 체결 • Contributing & Visiting Engineer 파견 Members & Industry Drivers ⇒ Focus Team Members, CableLabs & Vendors Vendors & Members 1주에 1회 이상 F2F, Conference Call을 통해 프로젝트 진행 MSO회원사들(이사회)의 요구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 MSO의 자발적 참여와 해당 분야 전문 Vendor와 제휴 및 공식적 요청 CableLabs와 MSO가 논의를 통해 적합한 업체를 선정하여 Focus Team을 구성 Focus Team 구성 절차
미국의 표준화 및 인증 현황 CableLabs 운영 • 회원 가입 조건 • 1984년 ‘Cable Act The Cable Act’에 의해 규정된 케이블TV방송사업자 (해외 경우 역시 방송사업자에 한함) • 단, open video systems, MMDS (multichannel multipoint distribution service), DBS (direct broadcast satellite)는 제외 • 운영경비 및 회비 • 운영 경비 대부분을 회원사의 회비로 충당 • 2005년 CableLabs 이사회 승인을 통해 회비 규칙 재 정비, 2005년 가입회원부터 적용 • 국내(미국) • 월 회비: 가입자당 $0.03이상 $0.042미만 • 분기별 회비: 분기별 수익의 0.0525% • 해외 • 월 회비: 가입자당 $0.015이상 $0.021미만 • 분기별 회비: 분기별 수익의 0.03675%
KLabs 소개 설립 목적 및 연혁 • KLabs 설립 목적 및 역할 • 한국 케이블TV 방송사업자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사업자 표준.인증 기관 • 케이블 업계 주도 표준 확립과 인증을 통한 시장 활성화 및 투자 비용 절감 • 사업자와의 긴밀한 협조 체제 유지 및 신속한 케이블 업계의 의견 반영 및 정보 공유 • HD STB, DCAS, NGNA 등 디지털케이블TV 방송 기술 선도 및 기술 정보 제공 • KLabs 연혁 • 2002년 12월 : KLabs 설립관련 CableLabs 업무 협의 • 2003년 10월 : 방송위원회 산하 법인 등록 및 SO 공동투자로 KLabs 설립 • 2004년 9월 : TTA, KICA 인증 업무 협력 MOU 체결 및 인증 업무 시행 • 2005년 6월 : 연구 인력 확충 및 조직 체제 정립 • 2005년 11월 : ETRI 업무 협력 MOU 체결 • 2006년 2월 : CableLabs 업무 협력 MOU 체결 • 2006년 6월 :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에 위치한 DMS 빌딩으로 이전 표준화 전담반(FM) 운영 및 시험 인증 수행, Test-bed 구축 확대
KLabs 소개 연구 성과 및 업무 • 2005년도 주요 연구 성과 • 1 단계 케이블 BcN 시범사업(주관사 Tbroad) 수행 : TPS 시범서비스 최초 개시 • 케이블폰 사업 수행 : 인터넷전화역무 기간통신사업면허(KCT) 허가 신청 및 허가 득함 • IPTV 진입에 대한 정책 논리 연구 : IPTV 중복투자 및 산업유발효과 허구성 주장 • ETRI 과제 2건 수행, 산자부 국책과제 1건 수행 및 논문 3 건 발표, 토론회 참석 • 2006년도 주요 연구 업무 • 2 단계 케이블 BcN 시범사업(주관사 C&M, 정부 예산 12.1억) 수행 : HD 방송, DOCSIS 3.0 및 VoIP • OCAP 인증 라이센스 획득 및 인증 시스템 구축 : CableLabs OCAP, MTC GEM, SUN Java • Test-Bed 구축 및 STB, OCAP 인증 업무 개시 : 방송위원회 방송발전기금 7 억 • 표준화 전담반(Focus Meeting-장비업체,SO사업자,Klabs) 구성 및 표준화 추진 : VoIP, OCAP 등 • 해외 케이블 사업자 인증기관과 업무 협력 강화 MOU 체결 : JLabs 및 EuroLabs • 디지털케이블 기술기준 개정 및 정통부 케이블TV정책추진위원회 활동 : 케이블카드 optional 등 • ETRI 과제 1건, 방송위 정책과제 2건 수행
KLabs 표준화 표준화 목표 및 계획 • KLabs 표준화 목표 • (M)SO 및 제조업체와 긴밀한 협조 체지 유지 및 신속한 업계 의견 반영을 통한 케이블TV의 신속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산업 활성화 • 케이블TV 업계 현실에 맞는 업계 주도의 표준화에 따른 투자비 절감 및 시장 활성화 • KLabs 표준화 전담반(FM) 운영을 통한 사업자 표준(단체 규격) 제정 및 시험인증 기준 확립 • 미국 CableLabs등 해외 표준 기관과의 정보 교류를 통한 기술 Upgrade 및 신기술 표준화및 해외 수출용 장비 개발 기준 마련 • 표준화 계획 • 표준화 전담반 (FM: Focus Meeting) 운영 • (M)SO, 제조업체, 학교, 연구소 등 케이블 관련업체 참여 • 케이블사업자 및 KLabs 회원사의 제안에 따른 표준화 과제 선정 및 표준 확립 • 표준화 관련 자료 및 기술 정보 공유(회의록, Specification, CableLabs 기술 문서 등) • 표준화 대상 • 디지털 케이블TV 방송( OpenCable, OCAP, DCAS, NGNA, etc...) • 케이블폰 (PacketCable, etc ...), • 홈네트워크 (CableHome, etc ...) • Cable Modem/DOCSIS, Digital Advertising, etc…
KLabs 표준화 FM 조직 구성 • 구성: SO임원= KLabs이사 • 내용: • 표준(안) 승인, 업계 공동 적용 결의 • 표준화 전담반 가입 업체 승인 SO협의회 임원회의 = KLabs이사회 • 구성: (M)SO의 CTO급 • 내용: • SO의 기술적 필요사항에 대한 논의 • 표준화 대상 발굴 및 선정 • 전담반 구성원 결정 • 전담반을 통해 논의 된 사항(안)결정 • 필요 시 국가 표준 제안 KLabs 기술위원회 시험 인증반 • 상용화 사전인증 • 구성: KLabs(간사), (M)SO의 기술 실무자 장비 업체(특별회원) • 내용: • 업계 요구사항 논의 • 기술표준(안) 및 규격서 작성, 제출 Focus Meeting Focus Meeting Focus Meeting
KLabs 표준화 표준화 절차
₩ ₩ KLabs 표준화 FM 운영 • 표준화 전담반 (FM : Focus Meeting) 운영 • (M)SO, 제조업체, 학교, 연구소 등 케이블 관련업체 참여 • 케이블사업자 및 KLabs 회원사의 제안에 따른 표준화 과제 선정 및 표준 확립 • 표준화 관련 자료 및 기술 정보 공유(회의록, Specification, CableLabs 기술 문서 등) 시장확대/활성화 SO투자/운영 비용최소화 FM 구성 표준 논의 시험/인증 장비구축 SO, KLabs, 장비업체 • 회원사 위주의 표준화 논의 및 정립 • 케이블 업계 의견 조율 케이블 업계 요구 • FM 구성 • 사업자 표준에 따른 상용 장비 시험 인증(성능, 품질 시험서비스)
KLabs 장치 인증 개요 및 계획 • KLabs 인증 개요 • 케이블 사업자가 지정한 최상위 인증기관으로서 컨텐츠의 불법 도용 및 복제 방지를 위한 상용 인증서 발급 및 관리 등 인증 업무 수행 • KLabs FM을 통해서 결정된 업계 주도의 사업자 표준(단체 규격)에 따른 시험인증 수행 • KLabs 중심으로 일원화된 체계로 케이블 업계의 신속한 의견 반영 및 시험인증을 통한 케이블TV 산업 활성화 및 신속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 • 인증 계획 • 디지털 상용화 추진에 따라 HD STB등 신규 모델에 대한 상용 인증서 발급 및 관리 등 인증 업무 확대 • Focus Meeting에서 결정된 사업자 표준(단체 규격)에 따른 적합성 시험 인증 수행 • 케이블TV 방송 관련 장비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시험 인증 대상 확대 • STB(SD/HD), CableCard (single/multi), etc… • OCAP 인증(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 DSG STB용 CM, VoCM, CMTS, etc… • DOCSIS/CableHome/PacketCable Device, etc… • 단계별 Test-Bed 구축 및 시험 인증 확대(’06.6)
KLabs 장치 인증 인증시스템 운영 • 인증시스템 소개 • 컨텐츠의 불법 도용 및 복제 방지를 통한 고부가가치의 컨텐츠 공급 및 원활한 서비스 제공 • 수신기 해킹 보호 및 장비 업체, 컨텐츠 공급자 및 케이블TV 방송 사업자의 사업 권익 보장 • 오픈케이블 규격 내의 주요 기능으로 컨텐츠 복제방지 기술이 정의되어 있음 • 장비 인증서 발급 및 관리를 위한 장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기관 필요 • KLabs (Root-CA) 역할 • 최상위 인증서 발급 체계 구축 및 시스템 운영 • 시험 인증 통과한 장비에 상용 장비 인증서 발급 및 관리 • 불법 수신 장치 리스트 관리 Root CA (Certificate Authority) System KICA(위탁수행) Root-CA KLabs • CRL • 시험인증, ID,Certificate • STB, CableCARD with Certificate System Operator Manufacturer • Digital Cable TV Services Equipments With Certificate Subscriber • Content With Copy protection Content Provider Retail Market Sale & buying
등록 및 정보조회 인증서 • 제조사 ID 등록 • 제조사 담당자 정보 등록 • 각종 통계자료 조회 인증서 발급 Host 제조사 • 인증서 발급 요청 • 인증서 다운로드 • 인증서 발급 상태 조회 부정당업체 케이블모뎀 제조사 KLabs DB CableCard 제조사 운영기능 • 제조사 ID 등록/승인 • 인증서 발급인가 등록 • 인증서 발급 통계 조회 • 보안시스템 모니터링 • 공지사항 게시 • 유틸리티 게시 • 사용자 콜센터 방송사업자 KICA 인터넷 인터넷 운영자 사용자 시스템 KLabs 장치 인증 인증시스템 구성 사용자 인증기관 장치인증 시스템 정보 등록/수정/조회 H T T P H T T P • 업체정보 등록/수정 • 인증서 발급 통계조회 • 신규 게시 정보 조회 인증서비스 위탁 다운로드 • CRL 정보 다운로드 • 유틸리티 다운로드 통합 로그인 • PKI 기반 사용자 인증 • 사용자별 권한부여 • 접속인증 인증서관리 Secure Channel
KLabs 장치 인증 OCAP 소개 및 인증 계획 • OCAP (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 소개 • 미국 사업자 표준인증 기관인 CableLabs에서 SO, 제조업체, 방송 관련 기관 대표들이 참여한 표준반을 운영하여 OCAP 표준 규격 작성 • 현재 미국 케이블 업계에서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케이블TV 데이터방송을 위한 표준 규격 • OCAP 은 그 표준명과 같이 EPG , VOD, Game, SMS(문자 메시지)서비스 , T-commerce, T-Government, T-Learning 등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사업자의 비즈니스와 아주 밀접한 데이터 유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완전 개방형 표준임 • OCAP 인증 계획 • KLabs는 OCAP FM을 구성하여 국내형 OCAP 사업자 표준 규격 제정 • 국내형 OCAP 사업자 표준 규격에 따른 OCAP 기반의 미들웨어 인증 시행 • 단계적으로 미들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인증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임
KLabs 장치 인증 매체별 데이터방송 표준 • 매체별 데이터방송 표준 • 데이터방송 표준 관계 • MHP는 DVB에서 만든 유럽의 양방향 데이터방송 표준 규격임 • GEM (Globally Executable MHP)은 MHP 규격을 전파시키기 위하여 에서 유럽 환경에서만 사용되는 요소를 제거하고 상호 연동성과 확장성에 초점을 두고 개발 된 표준 규격 • OCAP은 GEM 기반에 미국 케이블TV 환경 요소를 추가하여 만든 미국 케이블TV 데이터 방송을 위한 표준 규격임 • ACAP은 GEM에 지상파 방송 환경 요소를 추가하였으며, 케이블 환경을 위해서 OCAP 규격을 수용하고 DASE를 일부 도입한 지상파 데이터 방송을 위한 미들웨어 규격
KLabs 장치 인증 OCAP 인증시스템 구축현황 • 라이센스 확보 • MTC GEM 라이센스 • SUN Java 라이센스 • CableLabs OCAP 라이센스 • OCAP ATE 장비 구성 • ATE Server • CMTS • Modulator • ASI output I/F • Reset box • IR Remote Controller • A/V Capture Board • OCAP SW Engine • Object Carousel Generator • PSIP/SI Generator • Off-line Stream Analyzer • Re-Multiplexer • S/W Development Kit
KLabs 장치 인증 Test-bed 구축 및 활용 계획 • Test-bed 활용 계획 • 디지털 케이블TV 상용 서비스 호환성 검증 및 신규 서비스 개발을 위한 Test-bed로 활용 • 케이블 방송 관련 장비(STB, CableCard, CMTS, VoCM 등)에 대한 시험 인증 수행 • HD STB/PVR, D-CAS, NGNA등 신기술 개발을 위한 Test-bed로 활용 • 디지털 케이블TV 방송 전문기술인력 교육 시설 및 홍보관으로 활용 • Test-bed 구축 계획
Vendors Vendors Vendors Reference Implementations Interop Events Compliance Testing KLabs Test Bed Development KLabs KLabs Vendors KLabs 장치 인증 Test-bed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