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759 Views
TLD, Surveymeter 를 이용한 혈관조영실 관계종사자들의 피폭선량에 대한 연구. 고인범 강병삼 하명진 홍광표. 목적. 혈관조영실내의 공간선량 및 피폭선량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고 생물학적으로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봄으로써 혈관조영실 관계종사자들의 피폭에 대한 관심과 방사선 방어관리의 방향을 제시하여 좀 더 나은 환경을 구축하기 위함. 대상 및 방법 (TLD 측정 ). 측정기간 : 2003.4.1~8.31 장소 :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12 곳 )
E N D
TLD, Surveymeter를 이용한 혈관조영실 관계종사자들의 피폭선량에 대한 연구 고인범 강병삼 하명진 홍광표
목적 • 혈관조영실내의 공간선량 및 피폭선량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고 생물학적으로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봄으로써 혈관조영실 관계종사자들의 피폭에 대한 관심과 방사선 방어관리의 방향을 제시하여 좀 더 나은 환경을 구축하기 위함.
대상 및 방법(TLD측정) • 측정기간 : 2003.4.1~8.31 • 장소 :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12곳) • 측정건수 : 150건 TACE(120),PTA(6),PTBD(7),TFCA(17) • 측정부위 : LT. Hand, Thyroid(in), Thyroid(out), Eye, abdomen(in)
대상 및 방법(Surveymeter측정) • 대상장비 : Philips(v 3000), GE advantx(LCA, LCN+) • 측정장비 : Ion chamber, Radiation monitor controller • 거리에 따른 선량변화 측정(Fluoro,single spot,Dynimic angio) • 조건에 따른 선량변화 측정(Magnification, I.I의 높이,조사야의 크기,Protection)
방사선 Monitoring • 개인피폭 Monotoring : 최외피폭 Monitoring, 체내피폭 Monitoring(개인이 받는 방사선량등을 정기적으로 측정) • 환경 Monitoring : 작업환경 Monitoring, 시설주변 Monitoring(방사선원과 사람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환경을 관리)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급성과 만성, 신체적과 유전적,확정적과 확률적 영향등으로 나누어 설명 할 수 있으며 급성 영향은 한번에 다량의 방사선을 받게되는 원폭이나 원자로 사고 등에서만 가능하다.
<만성영향> • 가) 암(10~30년) • 나) 백내장(수년~수십년) • 다) 유전적 영향(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일본의 원폭 후유증)
<확정적 영향> 1)방사선 피폭은 DNA를 손상시켜 세포분열을 방해하고 결국에는 빠른 세포 분열이 일어 나는 조직에 피해를 준다.(백혈구 감소,불임증,태아,백내장등) 2)세포분열이 빠른 암조직의 성장을 정지(방사선 치료가 가능하다.) 3)일정량 이상의 방사선을 받은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고 선량에 비례하여 더욱 더 심한 변화를 일으킨다. 4)얼마 이상에서 발생된다는 발단선량(Threshold dose)이 있으며 그 이하에서는 피해를 입지 않는다.
<확률적 영향> 1)방사선을 받는 사람들중 일부에서만 발생되고 받은 선량에 비례하여 발생확률도 증가한다. 2)얼마 이상에서 발생된다는 발단선량이 없다. 3)선량을 많이 받았다고 변화가 심하지 않으며 아무리 많은 양을 받아도 발생되지 않으면 아무 이상이 없는 변화(암,유전적 영향)
방사선(외부피폭) 방호원칙 • 거리 : 시술시 거리 확보 • 시간 : 시술시간 단축(Fluoro) • 차폐 : 적절한 차폐체를 이용하여 방사선의세기(양)를 감소시킴(납유리,납조끼,납안경,Thyroid protector,납장갑등)
결론 및 고찰 • 혈관조영실에 근무하는 시술의사, 방사선사,간호사는 물론 환자에게 있어 피폭선량을 감소하려면 장치의 특성을 파악하여 최소의 조사선량을 인식하고 시술상황에 따라 어렵기는 하겠지만 가능한 활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이용하여 방사선 방어에 최선을 다하는 노력만이방사선의 영향으로 부터 보호 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