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작업의 생체역학

작업의 생체역학. “ 육체적인 작업이 수행될 때의 근육과 골격 및 피부의 기계적 행동에 대한 과학이며 , 이를 통해 산업체에서일어나는 수작업 활동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  인간의 근골격 체계를 물리학적 법칙들을 따르는 물리적 체계로서 분석한다 .  MMH 환경에서 인간수행과 근골격 문제를 연구분석  육체작업을 인간공학적으로 분석하는데 근본적이고 과학적인 기초를 제공.  개요.  근골격 체계 : 뼈 , 근육 , 연결조직으로 구성

Download Presentation

작업의 생체역학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작업의 생체역학

  2. “육체적인 작업이 수행될 때의 근육과 골격 및 피부의 기계적 행동에 대한 과학이며, 이를 통해 산업체에서일어나는 수작업 활동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인간의 근골격 체계를 물리학적 법칙들을 따르는 물리적 체계로서 분석한다.  MMH 환경에서 인간수행과 근골격 문제를 연구분석  육체작업을 인간공학적으로 분석하는데 근본적이고 과학적인 기초를 제공  개요

  3. 근골격 체계 : 뼈,근육,연결조직으로 구성  connective tissues : tendons, ligaments, fascia,cartilage  주요기능 : 신체 및 신체 가 부위들을 지탱보호, 자세유지, 신체운동을 만들어 내며 열을 생성하고 체온 유지  뼈와 연결조직  건 : 근육을 뼈에 부착시키고 있는 조밀한 섬유 연결조직으로 근육에 의해 발휘된 힘을 뼈에 전달해주는 기능  인대 : 뼈의 관절을 연결, 관절부위에서 뼈들이 협응토록 함  근막 : 근육과 다른 신체구조물을 둘러싸서 서로 분리 시키는 역할  연골 : 반투명 탄력조직  근육  약 400개 근육으로 구성, 체중의 40~50% 차지  신체에너지의 반 정도를 소비 1. 근골격 체계

  4.  신체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수학적 모델로서 근골격체계들은 기계적인 링크 구조로 분석되며 뼈나 근육은 지레로 작용한다. 특정 근골격 요소에 부과되는 스트레스 수준의 수량적인 예언과 직무의 분석적 도구로 사용  뉴-튼의 3가지 물리학적 법칙에 기초 - 물체는 불균형적인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일정한 운동상태로 혹은 정지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 힘은 물체의 가속도에 비례한다. - 작용은 이와 같은 힘의 크기를 갖는 반작용을 받는다. 정적평형상태 : 신체나 체절이 움직이지 않을 때 - 모든 외부 힘의 합은 0 - 모든 외부 모멘트의 합은 0 2. 생체역학 모델

  5. 많은 힘 + 반복 + 불편한 자세  근골격계 질환 자연스럽지 않은 관절 부위의 자세 고장 허리 무리한 힘을 사용 근골격계 오랜 시간 반복적인 동작 신경계 부분적인 압력 localized pressure 손상 - 힘줄 - 신경 - 근육 엉덩이 진동 및 저온에 노출 개인적 요소 근골격계 질환 –누적외상병 CTD

  6. 206개 몸통 골격: 80개 팔/다리 골격: 126개 관절 목/허리/무릎/발목 어깨/팔꿈치/손목/손가락 근육 약 650개의 근육 - 남자: 몸무게의 42% - 여자: 몸무게의 36% 힘줄/건(腱)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부분 인대 관절에서 뼈를 연결해 주는 부분 근육 힘줄 인간의 신체 이해

  7. 골격 및 근육 체계

  8. 신체와 텐트 • 골격: 텐트의 기둥pole • 근육: 로프rope • 힘줄: 기둥에 연결되는 로프의 끝부분 • 인대: 텐트의 기둥을 안정화 시키는 데 필요한 스프링/고무

  9. 7.9% 48.6% 2.7% 1.4% 0.6% 9.7% 4.6% 1.4% 신체 부위의 무게 –왈톤 Walton • 머리/목 -------- 7.9% • 몸통 ---------- 48.6% • 팔 ------------- 4.1% • 상완 --- 2.7% • 하완 --- 1.4% • 손 -------------- 0.6% • 다리 -----------14.3% • 상지 --- 9.7% • 하지 --- 4.6% • 발 ------------- 1.4% 합계 97.3%

  10. 신체 부위의 상대적 크기

  11. 손으로 물체 다루기manual material handling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2. 물리학 F = ma, M = F*d ΣF = 0, ΣM = 0 지렛대의 원리 기준점: L5/S1 (5번 척추와 1번 천추 사이의 디스크) 무게 중심Center of Gravity 일(W) = 에너지(E) 일 = 힘 * 거리 (W = F * d) 일률(P) = 일/시간 = 에너지/시간 = 마력(HP) 1 마력 = 33,000 ft-lbs./min. = 550 ft-lbs./sec. 마력 1 Kg 의 근육  0.3 마력을 발휘 70 Kg 남자의 경우 - (근육의 무게) * 0.3 = (70 Kg * 0.45) * 0.3 마력/Kg = 10 마력 - 지속적인 일의 경우: 0.5 마력 어떤 일에 필요한 마력은? - 예: 200 lb의 무게를 4.5 ft 들어야 한다면, 200*4.5 = 900 ft-lb - 900 ft-lb/time = 0.5 HP = 275 ft-lb  3.3초간 들어올려야 한다 Biomechanics

  13. ΣM = 0 ΣMcw = ΣMccw 1.5 * 15 + 10 * 33 = 4 * Fm Fm = 352.5/4 = 88.125 Kg중 Physics

  14.  단일 체절에 대한 평면적/정적 모델  작업관절,근육에 부과되는 신체적 스트레스를 규명할 목적으로 역학적 법칙을 사용, 특정 체절을 분석

  15.  20kg 의 무게가 나가는 물체를 두 손으로 잡아 전완을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할 때, 하중은 두 손에 동등하게 분배되어 있고 물체와 팔꿈치 사이의 거리는 36cm, 전완의 무게 16N 라고 한다. 외부의 하중에 의해 팔꿈치에 야기된 힘과 회전모멘트는 - 평형상태의 첫 번째조건을 사용하여 팔꿈치에 작용하는 힘을 구해보면 - 팔꿈치에서의 힘의 총합 = 0 -16N – 98N + Relbow = 0 Relbow = 114N - 두 번째 조건을 사용, 팔꿈치 모멘트를 구해보면 팔꿈치에서의 모멘트의 총합 = 0 (-16N)(0.18m) + (-98N)(0.36) + Melbow =0 Melbow = 38.16N-m

  16.  두 개의 체절들에 대한 평면적/정적 모델  단일 체절 모델 확장한 형태로 어깨나 척추같이 외부 하중에서 떨어진 신체 관절 부위들을 연결된 링크로 간주하여 신체적 스트레스를 결정

  17.  결론적으로 보면  2-체절 모델과 단일-체절 모델의 계산결과를 비교해보면 - 동일한 20kg 의 물체를 다룰 때 Mshoulder 는 Melbow 보다 2배 이상 크다. - 이것은 어깨관절이 하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상완과 전완 무게가 어깨에 스트레스를 더 주기 때문이다.

  18.  요추부하  직립시 몸의 균형과 요추에 대한 부하 x y 요추 추체 W P 허리 요추부에 실제 걸리는 부하 W : 물건 무게(여기서는 체중의 60%) X : 무게중심에서의 거리 Y : 무게중심에서 근육까지의 거리 P :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긴장) - 실제 lifting 무게 : (W + P)

  19.  허리를 반쯤 구부렸을 때 요추에 걸리는 부하 - 30도 구부림 : 상체의 중심선까지 거리가 3배 멀어지고 후방 배근까지는 안 변함. - 따라서 요추에는 체중의 60%인 전방모멘트와 이의 3배인후방모멘트가 부과된다. 즉, 전체 부하는 (체중의 60%) x 4배로 똑 바로 선 자세의 2배 부하임.

  20.  상체무게 Wtorso를 갖는 사람이 Wload의 무게를 갖는 하중을 들어 올린 경우  L5/S1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구해보면(모멘트 총합 = 0) h 5 b L5/S1 Fmusc Wtorso (MGbw:상체) Wload (MGl:물체) Fmusc x 5 = MGl x h + MGbw x b Fmusc = MGl x h/5 + MGbw x b/5 여기서 b와 h는 항상 5(모멘트 암을 가진 등근육) 보다 크기 때문에 Fmusc(등근육의 힘으로 하요부의 근력을 의미함.) 는 하중과 상반신 무게를 合한 것보다 항상 크다.

  21. 자세에 관한 원칙 Posture P1: 팔꿈치를 낮게 유지하라. Keep elbows down. P2: 척추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라. Minimize torque acting on spine. P3: 남녀의 차이를 고려하라. (여자는 보통 남자의 75% 정도) P4: 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라. Avoid head movement. 공학적 원칙 Engineering E1: 국소 빈혈을 피하라. Avoid compression ischemia. E2: 진동을 피하라. E3: 개인에 맞는 의자 디자인을 사용하라. E4: Avoid finger groove tools. E5: 손목을 곧게 유지하라. Keep wrist straight. 근운동학에 관한 원칙 Kinesiology K1: 직선 운동을 피하라. Avoid straight line motion. (간단하게 보이지만, 어깨/팔꿈치/손목의 움직임이 모두 요구된다.) 작업에 관한 생체역학적 원칙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