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739 Views
컨벤션. 중국지역통상학과 20091283 최윤영. 컨벤션 발표 - 최윤영. 목차. 컨벤션 역사적 배경 컨벤션 개념 및 특성 컨벤션 유형별 분류 컨벤션 구성요소 컨벤션 기획과정 컨벤션 산업현황 컨벤션 관련 국제기구 컨벤션 산업의 파급효과 및 중요성 컨벤션 관련 사진. 컨벤션의 역사적 배경. 컨벤션의 역사적 배경 - 국제회의측면. 사람이 존재하는 순간부터 존재한 회의 . 마을 , 도시의 공동회합장소→상업 및 교역장소 필요로 도시등장→지역 , 나라간의 교통수단 발단→하나의 산업으로 정착 .
E N D
컨벤션 중국지역통상학과 20091283 최윤영
컨벤션 발표 - 최윤영 목차 • 컨벤션 역사적 배경 • 컨벤션 개념 및 특성 • 컨벤션 유형별 분류 • 컨벤션 구성요소 • 컨벤션 기획과정 • 컨벤션 산업현황 • 컨벤션 관련 국제기구 • 컨벤션 산업의 파급효과 및 중요성 • 컨벤션 관련 사진
컨벤션의 역사적 배경 컨벤션의 역사적 배경-국제회의측면 • 사람이 존재하는 순간부터 존재한 회의. • 마을,도시의 공동회합장소→상업 및 교역장소 필요로 도시등장→지역,나라간의 교통수단 발단→하나의 산업으로 정착. • 유럽이 중심지 각종 국제기구 및 본부65% 전세계의 약 57%
컨벤션의 역사적 배경 컨벤션의 발전 과정 • 국제회의와 컨벤션의 정의 동일사용 • 처음엔 컨벤션이 국내회의를 의미함 →국제간의 교류 증진으로 국제간 회의 포함 • 유럽에서 하나의 산업으로 먼저 시작되었으나 개념적 측면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1950년대 이래 성립 • 영국과 프랑스 중심으로 발달한 엑스포(Expo), 페어(Fair)독일 중심의 메세(Messe) • 컨벤션의 효시 1964년 ‘웨스트 파렌 회의’ • 실제적인 회의 개최 1815년 오스트리아 ‘빈’ 회의
컨벤션의 역사적 배경 컨벤션의 역사적 배경-전시회측면 • 상품이나 서비스를 대중이나 개인에게 보여주기 위해 진열하고 전시하는 것을 의미 • 예전부터 시장, 장날 등으로 존재함 • 세계 최초의 국제만국박람회: 1851년 영국 런던 하이드파크 런던 만국 박람회
컨벤션의 개념 및 특성 컨벤션(Convention)의 개념 • 컨벤션의 어원 Con은 라틴어 Cum (together) Vene 라틴어 Venire (to come)의 합성어 • 회의나 모임을 위해 ‘함께 와서 모이고 참가한다’ 는 의미 • 원래 미국에서 집회를 가리키는 용어. • 국제회의를 비롯해 각종 희이 등에 사람들이 모여 서로 이야기하는 것 • 사람을 중심으로 상품․지식 ․정보 ․등의 교류를 위한 모임 • 회합의 장을 갖춘 각종 이벤트 ․전시회 • 유럽에서는 컨그레스(Congress), 메세(Messe)로 표현.
컨벤션의 개념 및 특성 컨벤션의 의의 • 글로벌 시대의 지식과 정보교류를 제도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 사회, 경제, 문화, 과학기술 등 모든 영역에서 인적, 물적 교류 추진 • 세계 발전과 평화증진, 국가위상 제고에 기여 • 컨벤션 주최기구, 개최국가, 지역에 직접적인 이익 발생 • 유치 국가, 조직에 다양하고 막대한 파급효과 초래 • 각국이나 도시는 컨벤션을 지식집약형, 고부가가치의 전략산업으로 인식, 경쟁적으로 발전전략 추진
컨벤션의 유형별 분류 컨벤션의 유형별 분류
컨벤션의 유형별 분류 형태별 분류 • 컨벤션 회의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어 정보전달을 주목적으로 하는 정기집회에 많이 사용, 전시회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음. 총회, 휴회 기간 중 개최되는 각종 소규모 회의, 위원회 회의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 • 컨퍼런스 (Conference)컨벤션과 거의 같은 의미를 가진 용어, 토론회가 많이 열리고 회의 참가자들에게 토론 참여기회도 많이 주어짐.주로 과학, 기술, 학문 분야의 새로운 지식 습득 및 특정 문제점 연구를 위한 회의에 사용 • 컨그레스 (Congress)컨벤션과 같은 의미를 가진 용어, 유럽지역에서 빈번히 사용, 국제규모의 회의를 의미하나. 컨벤션이나 컨그레스는 본 회의와 사교행사 그리고 관광행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편성, 수 천명에 이르는 참가인원. • 포럼 (Forum)제시된 한가지의 주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가진 동일 분야의 전문가들이 사회자의 주도하에 청중앞에서 벌이는 공개 토론회로서, 청중이 자유롭게 질의에 참여할 수 있으며, 사회자가 의견을 종합한다. • 심포지움 (Symposium)제시된 안건에 대해 전문가들이 다수의 청중앞에서 벌이는 공개토론회로서, 포럼에 비해 다소의 형식을 갖추며, 청중의 질의 기회는 적게 주어진다.
컨벤션의 유형별 분류 목적별 분류
컨벤션의 유형별 분류 진행상 분류 • 개회식 본회의 시작 전 공식적 개최 개회사를 포함 일정한 형식, 의례 및 연예행사 정식회원 및 수행원 정부유관인사, 지방유지 등 본회의 관련 없는 자도 초청됨. • 총회 모든 회원들이 참가할 수 있는 회의 제출된 의제에 대한 발표 및 표결권한 을 가짐 모든 전 회원 참가 가능. • 실무자회의 위원회에서 임명된 특정 전문가들로 구성, 의제는 단일 주체, 특정전문가들 참가(10명 이내) • 폐회식 회의를 종결하는 최종회의 회의성과,채택사항 요약보고, 폐회사 및 회의주최자에대한 감사표시.
컨벤션 산업의 구성요소 컨벤션산업의 구성요소 회의의 주최조직과 회의기획가 개최시설 부문 서비스부문 (Service) 컨벤션 뷰로 (CVB) 전시자 (Exhibitior)
컨벤션산업의 기획 과정 컨벤션 기획(준비)과정 • 개최지선정~행사개최 1년,5~6년 소요 • 국내관련 정부부처 및 협회/학회 등 단체에서 컨벤션 국내 개최 가능성, 파급효과 검토 • 컨벤션 국제 본부에 유치신청서와 제안서 제출 • 국제본부의 서류 심사, 현장 실시 • 경쟁국가/도시와의 유치 경쟁과정 거친 후 국내 확정 • 해당지역, 국내주관부처/단체들의 컨벤션 개최를 위한 프로그램 기획, 연사섭외, 참가자 유치 홍보, 회의장 조성, 등록, 숙박, 사교행사, 관광 준비.
컨벤션산업의 기획 과정 회의기획 • 참가자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해야 함 • 참가자들이 자신들의 생활터로 돌아가 듣고 배운 것을 실행할 동기를 심어 줘야 함 • 회의장 배치도, 시설물 준비 • 프로그램 내용 기획
컨벤션산업의 기획 과정 PCO(국제회의 기획업체)PEO(국제전시기획업체) • PCO(Professional Congress Organizer) • PCO는 국제회의 개최와 관련한 다양한 업무를 행사 주최측으로부터 위임받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대행해주는 영리업체 • PCO는 여러 형태의 회의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회의장,숙박시설, 여행사 등 회의관련업체와 평소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모든 업무를 종합적으로 조정/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최측의 시간과 경비를 상당히 절감해 줄 수 있다. • 대규모 관광수요를 유발하는 국제회의의 계획, 준비, 진행 등 필요한 업무와 행사를 주관하는 자로부터 위탁받아 대행하는 업 • 효율적인 회의준비와 운영을 위해 회의전문기획사, 속기사, 통역사 등을 고용하여 각종의 전문용역을 제공하는 관광사 (각종 국제회의 및 전시회 등의 국내유치를 위한 촉진활동을 전개함과 더불어 회의개최 관련업무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대행해 주는 조직체)
컨벤션산업의 기획 과정 PCO의 업무 • -> 주최측 및 참가자와의 연락관계 유지-> 주요위원회 회의의 준비 및 참가-> 회의장 준비 및 임차 회의관련자료발송-> 참가자 등록업무-> 호텔 계약-> 사교행사 준비 -> 각종 문서의 준비 -> 전시장 및 전시회 참가자와의 연락관계 유지 -> 기술부문 행사의 협조 -> 홍보업무 정식직원 및 임시고용원에 대한 통제 -> 회계업무 등
컨벤션산업의 기획 과정 PEO(국제전시기획업체) • PEO(Professional Exhibition Organizer) • PEO는 전시회는 산업사회가 도래하면서 탄생된 '신생산업' 형태는 산업전시회 • 전시회의 목적이 무역의 장, 기술비교의 장, 정보교류의장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역 전시회라고 함. • '산업 전시회‘, '전문 전시회', 또는 '무역 전시회'라고 모두 동일한 의미 • 개별전시회 주최자, 각 산업분야 진흥협회·단체, 쇼프로듀서, 매니저등이 있으며 전시회를 기획, 운영 역할
컨벤션산업의 기획 과정 PEO의 업무 • 기본계획단계(2년 - 1년 5개월 전) →사업계획 →시장조사 →부대행사 준비 • 준비단계(1년 5개월 - 1년 전) →출품료 결정 →인쇄, 홍보물 제작 →운영위원회 구성 • 유치단계(1년 - 5개월 전)→간접유치 →참가신청 홍보, 설명회 →출품사 마감 • 전시회개최(3개월 - 종료)→개최전 준비사항→관광객유치 홍보 →전시회 개막, 운영 • 종료단계(종료 - 2개월후)→결산 →결과보고 →차기 전시회 안내
컨벤션산업의 기획 과정 개최지 선정 • 1개 이상의 국제공항, 대형 전시 ․컨벤션 센터, 객실 1000실 이상의 호텔, 풍부한 관광자원, 충분한 인적자원, 다양한 식음료 시설 갖춘 도시 = 일급도시(First-tier City) • 90%이상이 서울에서 개최. • 부산, 대구, 경주, 제주 등 지방 분산개최
컨벤션산업의 기획 과정 회의장 선정 • 회의실 수 규모 • 방의 배치기능 • 회의장 비용 • 전시회장 • 사용규정 • 접근성 • 서비스 종사원의 수준
컨벤션산업현황 세계개최현황(2009, UIA) • 국제협회연합(UIA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기준 세계국제회의 개최건수 지속성장. • 2009년 경우, 전년대비 약 3.8%증가 총 11,503건의 국제회의 개최 • 2004년 이후 최근 5년간의 경우 25.6%증가 꾸준한 성장추세
컨벤션산업현황 세계개최현황(2009, UIA) • 유럽과 미주지역 개최→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 • 유럽 2004에서 2009년 약 3%감소 • 미주지역 개최비중2위, 2007년 아시아보다 낮은 점유율 • 아시아 지역 꾸준한 성장 2004년 대비 51%증가 전세계시장 22.6%차지
컨벤션산업현황 국내 개최 현황(2009, 한국관광공사) • 2009년 우리나라 개최된 국제회의 총 1,057건 전년대비 66.72% 증가 외국인참가자수 전년대비 27.41%증가
컨벤션 관련 국제 기구 • 아시아 컨벤션 협회(AACVB) • 국제회의 전문 협회(ICCA) • 국제협회연맹(UIA) • 국제컨벤션뷰로협회(IACVB) • 한국컨벤션협의회
컨벤션산업의 파급효과 컨벤션 파급 효과
컨벤션 산업의 중요성 • 미래형 고부가가치 첨단 산업으로서 종합서비스산업 ,관광산업의 꽃. • 국제회의산업과 같은 아이디어 중심의 서비스산업은 향후 자원중심적 제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을 지닌 산업
참고 문헌 • 컨벤션 경영론 –주현식 • 전시 ․컨벤션 마케팅- 주현식 ․이창호 • http://blog.naver.com/anducm?Redirect=Log&logNo=80128489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