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 likes | 488 Views
Understanding of Ubiquitous. 2 장 우리 생활 속의 유비쿼터스 ( 실내편 ). 학습목표. 유비쿼터스의 기술이 정보가전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학습하자 . 유비쿼터스의 기술이 집안 환경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학습하자 . 유비쿼터스 시대의 실내 네트워크 환경을 학습하자 . 유비쿼터스 세상에서의 보안 체계는 어떻게 변모할지 학습하자. 정보 가전. 정보 가전 (IA : Information Appliance)
E N D
Understanding of Ubiquitous 2장 우리 생활 속의 유비쿼터스(실내편)
학습목표 • 유비쿼터스의 기술이 정보가전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학습하자. • 유비쿼터스의 기술이 집안 환경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학습하자. • 유비쿼터스 시대의 실내 네트워크 환경을 학습하자. • 유비쿼터스 세상에서의 보안 체계는 어떻게 변모할지 학습하자. Understanding of Ubiquitous
정보 가전 • 정보 가전(IA : Information Appliance) • 백색 가전(텔레비전, 오디오, 디지털카메라, 냉장고, 전자레인지, 컴퓨터 등) 이후의 차세대 디지털 정보 기기 • 유무선 홈 네트워크에 연결돼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특정용도에 특화된 non-PC 계열의 차세대 정보기기를 총칭 디지털 정보가전 Understanding of Ubiquitous
광역의 정보 가전 분류 Understanding of Ubiquitous
정보 가전의 산업과 기술 동향 • 정보 가전의 산업과 기술 동향 • 인터넷과 인터넷 상의 콘텐츠를 가정 내의 모든 사람과 기기에 유통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없애고자 대두됨 • 홈 서버, 착용형 지능정보 단말과 홈네트워크 분야 등 시장규모가 크고 지속적 수익과 수요 창출이 가능한 신 산업 분야 • 통신망 서비스 사업자에게 가입자 확보의 좋은 기회 • 백색 가전 업체들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Understanding of Ubiquitous
정보 가전의 발전 전망 • 정보 가전의 발전 전망 • 디지털 시대에는 제품 간의 결합이 쉬워 디지털 기술 기반의 여러 제품이나 서비스가 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나 서비스로 나타나는 현상(디지털 컨버전스)이 두드러지고 있음 • 유무선 홈 네트워크의 기술발전 추세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홈 네트워킹 기술이 국가, 지역, 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 특성에 맞게 진화 발전 • 홈 서버와 홈 게이트웨이, 멀티미디어 미들웨어와 가전기기 제어 미들웨어들이 통합화된 유니버설 홈 서버 기반의 스마트 홈이 가시화 • 인간화를 추구하는 지능정보 단말로 발전 • 편재형 컴퓨팅 서비스 환경으로 변화 Understanding of Ubiquitous
인텔리전트 주택 • 인텔리전트 주택 • 인텔리전트 아파트 : 초고속 통신망을 갖추고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홈 오토메이션을 구현하는 모습 • 편리함 외에 안전성과 보안성, 경제성도 높여줌 • 친환경적인 주거문화에 대한 관심도 상당히 고조될 것임 인텔리전트 주택 구조 Understanding of Ubiquitous
홈 네트워크 • 홈 네트워크 정의 • PC와 인터넷의 빠른 보급과 통신기술과 지능형 설비의 고속발전에 따라 등장 •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정의 정보 가전 제품을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하나의 통일된 시스템으로 연결 • 대내적으로는 자원을 공유 • 대외적으로는 게이트웨이와 외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동시에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시스템 • 좁은 의미의 홈 네트워크 • 하나의 가정이 두 대 이상의 PC를 보유하고,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를 연결함로써 자원을 공유하는 것 • 넓은 의미의 홈 네트워크 • 홈 네트워크 설비, 네트워크 접속설비 등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초 H/W외에도 각종 통신 프로토콜과 표준, 네트워크 접속방식, 콘텐츠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 운영 등이 포함 Understanding of Ubiquitous
홈 네트워크의 분류 • 주종(Master/Slave) 방식 •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시스템이나 장비 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거나 관리를 위해 중앙에 마스터 제어기능을 두는 방식 • 개별제어(Peer-to-Peer) 방식 • 관리나 제어의 기능이 네트워크 전체에 분산되기 때문에 어느 한 곳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체적인 네트워크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음 • 대부분 가전장비 제어에 지능이 크게 필요하지 않고, 마스터 제어기가 보내주는 명령어를 받아 처리하거나 마스터로 정보를 전달하면 끝나기 때문에 주종 방식이 계속 필요함 Understanding of Ubiquitous
홈 게이트웨이 (1/2) • 홈 게이트웨이 • 홈 네트워크에서는 원격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중앙 기능처럼 동작 • 홈 서비스에 대한 가입/등록/탈퇴 등을 지원해 주거나 집 안에 있는 서버, 장비들 간의 다른 프로토콜을 엮어 주는 교량 역할 • 특성 • 주소관리 :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를 고유하게 판별하고 다른 주소체계를 가졌을 때에는 경우에는 자동적인 주소 변환 • 네트워크 자동구성 : 새로운 장비가 연결되거나 연결이 끊어진 장비를 인지하여 네트워크 자동 구성 • 장비나 서비스에 대한 등록절차 처리와 관리 • 장비나 서비스의 상태변화에 대한 이벤트 처리 • 장비 제어 : 장비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정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 자원의 공유나 서비스 스케줄링을 위한 자원 관리 • 보안문제 처리 Understanding of Ubiquitous
홈 게이트웨이 (2/2) • 홈 게이트웨이 설치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 • 다양한 하드웨어와 운영체계에 대한 상호연동성 : 다양한 운영체제와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다른 기술에 대해서 도 쉽게 연계할 수 있어야 함 • 사용이 편리하고 단순 :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개입이 거의 없이도 자동으로 운영 • 비용의 최소화 : 설치가 쉽고 홈 서비스 개발비용도 최소화하여야 함 • 확장성 : 기존 장비 지원과 기능 향상을 쉽게 하도록 하여 앞으로 추가되거나 새로이 등장하는 장비와 서비스를 지원 • 새로운 배선의 최소화 : 홈 네트워킹을 위해 새로운 배선을 하는 일을 최소화하여야 함. Understanding of Ubiquitous
홈 서버 • 홈 서버 • 장비의 지능이 높아지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서비스에 대한 가입/등록/탈퇴와 같은 복합적인 기능이 추가되면서 서버 수준의 성능이 필요해지고 있음 • 장비의 가격을 낮출 수 있음 • 장비나 서비스 제공자는 쉽게 장비나 서비스를 관리할 방법을 얻게 됨 Understanding of Ubiquitous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킹 •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킹 • 나를 인지하여, 나를 위해, 나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작동하는 시스템 • 기계와 기계가 DB를 통하여 사용자가 귀가 시 별도의 작동을 주지 않아도 상황 변화에 따라 자동인지 및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됨 • 기존의 기본 모드에 홈 주변 환경을 연계시켜 상황변화에 따른 귀가 모드 등을 수정, 보완, 추가, 삭제 가능 Understanding of Ubiquitous
유비쿼터스 시대의 우리 집 보안 (1/2) • 홈 네트워크 보안의 중요성 • 그 어느 것보다 더 강력한 보안이 요구됨 • 여러 가지 예기치 않은 상황을 사전에 예방하려면 서비스 시작되기 전에 먼저 보안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함 • 사례 1, 2 (page 50~51 참조) • 무선을 통한 안전한 홈 네트워크 세상 • 바른 기기로부터 올바른 기기로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암호화해서 보내는 것 • 오고 가는 데이터를 제 삼자가 알지 못하도록 암호화 • 서로 올바른 상대에게 정보를 보내고 있는가의 판단 • 사례 3 (page 53 참조) Understanding of Ubiquitous
유비쿼터스 시대의 우리 집 보안 (2/2) • 홈 오토메이션 보안 • 사례 4 (page 54 참조) • 홈 오토메이션 적용 과정에서의 장벽 • 프로토콜과 통신 방법 • 보안 :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적용될 때에는 간혹 살짝 보이는 숨은 그림자와 같아야 함 • 다양한 가전 스펙으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인증이나 보안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 • 유지보수와 관련한 보안의 어려움 Understanding of Ubiquitous
학습정리 (1/2) • 정보 가전(IA: Information Appliance)이란? • 백색 가전(텔레비전, 오디오, 디지털카메라, 냉장고, 전자레인지, 컴퓨터 등) 이후의 차세대 디지털정보 기기 • 백색 가전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 • 유무선 홈 네트워크에 연결돼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특정 용도에 특화된 non-PC 계열의 차세대 정보기기 • 인텔리전트 주택 • 편리함, 안전성, 보안성, 경제성을 높여줌 • 친환경적인 주거문화 • 홈 게이트웨이 • 원격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중앙 기능처럼 동작 • 홈 서비스에 대한 가입/등록/탈퇴 등을 지원 • 집 안에 있는 서버, 장비들 간의 다른 프로토콜을 엮어 주는 교량 역할 Understanding of Ubiquitous
학습정리 (2/2) • 홈 서버 • 원격 서버 • 가전장비가 완벽한 서버의 기능을 갖지 않아도 됨 • 장비의 가격을 낮출 수 있음 • 쉽게 장비나 서비스를 관리 • 장비용 서버 • 응용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WAN에 접속할 필요가 없음 • 개별적인 LAN만 있으면 가능 • 홈 네트워킹 시장이 성숙될 무렵에는 저렴한 가격으로 폭넓게 사용 가능 •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킹 • 별다른 요청 없이도 인간을 편하게 만들어 주는 시스템 • 나를 인지하여, 나를 위해, 나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작동하는 시스템 • 홈 네트워크에서의 보안은, 그 어느 것보다 더 강력한 보안이 요구된다. Understanding of Ubiquit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