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로 330 호남대학교 경영대학 문화산업경영학과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로 330 호남대학교 경영대학 문화산업경영학과 입시상담 : 정연철 교수 (ycjeong@honam.ac.kr) / Tel_062.940.5593, C.P_010.3611.3340. Table of Contents. 1. 학과 신설 배경. 2. 학과 개요 및 교육과정. 3. 특성화 프로그램. 4.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문화산업경영학과 는 즐거운 상상과 도전 , 그리고 열정을 바탕으로 여러분과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학과입니다. 5. 진로 및 취업. 1.

santos
Download Presentation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로 330 호남대학교 경영대학 문화산업경영학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로330 호남대학교 경영대학 문화산업경영학과 입시상담 : 정연철 교수 (ycjeong@honam.ac.kr) / Tel_062.940.5593, C.P_010.3611.3340

  2. Table of Contents 1 학과 신설 배경 2 학과 개요 및 교육과정 3 특성화 프로그램 4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문화산업경영학과는 즐거운 상상과 도전, 그리고 열정을 바탕으로여러분과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학과입니다.. 5 진로 및 취업

  3. 1 학과 신설 배경 • 2023년까지 광주광역시에 조성되는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를 선도할 인재의 지속적 수요 발생 • 지역의 문화와 연계한 아시아 문화전당과 연계한 다양한 신시장 창출의 기회 확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 성 사 업 • 문화산업의 주요 핵심인 기획과 제작, 마케팅 과정을 이해하고 상품 판매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 인재 양성이 필요 • 창의적 아이디어 기반의 기획, 스토리텔링분야 인재 수요의 지속적 확대 • 제작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적 CEO 배출을 통한 한국의 “스티브잡스” 육성 필요 창의적 문화산업 • 새로운 산업 트랜드인융복한 산업의 체계화된 학문 영역의 교육 과정 개발 운영 • 문화산업에서 IT 기술과 CT 기술을 접목하고 이를 기획과 마케팅으로 연계하여 문화산업의 전 과정을 이해하는 전문 프로듀서 양성 융복합 산업확산

  4. 3D산업특구 /R&D특구 지역특화산업 1 지역 특화 산업 학과 신설 배경_특화산업 및 지역의 동향 아시아문화중심 도시조성사업 2012 문화산업경영학과 신설 지역 최초 문화산업 융복합 학문영역 Issue & Trend 2011 광주 3D 산업 육성 계획 발표 광주 R&D 특구 지정 2010 녹색성장기반 융복합산업 한국콘텐츠진흥원빛가람혁신도시(나주) 이전 확정 창조산업 2004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 발표 및 사업 시행 학과 신설의 필요성 • 아시아문화전당내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기획및 마케팅 능력을 갖춘 인재가 필요 • 미래 선도형 창조 산업인 문화산업의 “기획, 제작, 마케팅” 전과정을 이해하고 이끌어 갈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이 필요 • 지역 발전을 견인할 창조적“전문 프로듀서 양성”이 필요

  5. 전학년 취업프로그램 운영 • 학생 개인 이력 관리 • 개인별 취업 로드맵 작성 • 산업 현장 인턴쉽강화 2 학과 개요 및 교육과정_교육목표 • 학년별 취업 교육 강화 • 어학능력 향상 • 취업 활동 지원 • 학생 학습 성과 역량 진단 • 학생 교육질 관리 시스템 운영 교육감동 A+실현 • 평생지도 교수제 운영 • 학생-교수 학습공동체 전공학습 강화 • 산업체 현장 전문가 멘토 교육 강화 • 전공 학습 이수체계화 • 재미 있는 전공 학습 • 산업체 연계 동아리 활동 지원 • 봉사와 리더쉽 강화 비교과활동 강화

  6. 2 학과 개요 및 교육과정_주요교육과정구성 ITCT 제작기술 기획,마케팅 스토리텔링 문화산업 선도 인력 콘텐츠 제작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기획 및 문화 상품화를 위한 학생들의 제작 기술 능력을 이해 기술형CEO인스티브잡스와 같은 창의적 문화산업을 선도할 인력을 양성 아이디어의 도출과 이를 상품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획과 스토리텔링 그리고 경영, 마케팅 능력 을 배양

  7. 01_기획 및 스토리텔링 • 기획 및 프리젠테이션 기술 • 픽션 창작 • 신화와 고전 서사 2 문화산업선도 인력 양성 학과 개요 및 교육과정_주요교육과정구성 02_콘텐츠 제작 CTSP 프로그램 운영 • IT 제작기술 • 디자인 제작 기술 03_문화경영 마케팅 • 문화산업 경영, 마케팅 • 문화산업 정책의 이해 04_취업연계 인턴쉽 • 문화산업 기업 CEO 특강 • 산업체 맞춤형 취업 연계 인턴쉽 • 산업체 현장 학습 * ‘CTSP(Culture Technology Special Producer) 프로그램’은 문화산업 전문 프로듀서인력 양성 프로그램으로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인력양성을 위해 문화산업경영학과의 차별적이고 독창적인 교육적 가치 제공

  8. 문화 상품 및 기획을 통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상품화, 스토리텔링기술을 학습 • - 문화 기획, 프리젠테이션 기법 • - 픽션창작, 신화와 고전 서사, 전통문화의 이해 기획 및 스토리텔링 (인문과학) 2 학과 개요 및 교육과정_주요교육과정구성 • 콘텐츠 제작의 기술 요소 기술인 콘텐츠 디자인과 컴퓨터를 이용한 제작 기술을 학습 • - 문화콘텐츠 제작 기술, 에듀테인먼트제작 • - 디자인 기초, 포토샵과2차원 그래픽 제작 콘텐츠 제작기술 (ITCT 기술 ) •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문화상품을 직접 판매, 수익화 하는 경영 마케팅 학습 • - 컨텐츠 마케팅 • - 문화산업 정책의 이해, 문화산업 기업 특강 문화경영 마케팅 (문화 경영 ) • 지역의 관련 분야와의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산업체 현장 교육 실시, 취업과 연계 • - 산업체 현장 실습(방학 중, 2~4주 기간 운영) • - 산업체 취업 연계 인턴쉽 산업체 인턴쉽 (산학연계)

  9. 미래 성공 학습 로드맵 실행 • 학생 역량 진단 시스템 운영 • 성공 로드맵 작성 운영 • 취업 로드맵에 따른 취업 특성화 스타 프로젝트 운영 Success Key Factors : Creative Study and Activity • 기숙형 면학관 운영 • 창의적 전문가 양성 • 어학 및 전공 분야 집중학습 3 특성화 프로그램_취업 연계 특성화 프로그램 밀착형 교수-학생 학습공동체 운영 • 평생지도 교수제 • 전임교수 스터디 그룹 운영 • 창의적 학습 공간 운영 산학연계 프로그램 운영 • 산업체 인턴쉽 • 산업체 전문가 멘토제 • 전문가 특강 상설운영

  10. 학년별 성과 목표 수립 • 학습 활동 결과 관리 학습로드맵 실행 • 평생지도 교수제 • 교수-학생 일대일 지도체계 운영 • 상담 및 교육활동 공동체 운영 • 전임교수 전공스터디 그룹 운영 • 전공 분야와 연계한 산업체 전문가의 멘토스터디 운영 밀착형 지도체계 전공 스터디 운영 3 학생역량 극대화를 통한 특성화 프로그램_주요 운영 계획 100% 취업 목표 달성 • 방학 후 어학 강좌 운영 • 1인 1외국어 의무화 • 해외 체험 지원 • 취업 연계 산업체 인턴쉽 운영 • 산업체 전문가 멘토 시스템 구축 운영 • 현장 학습 강화 어학 능력향상 산학연계 프로그램

  11. Senior • 학생역량 진단평가에 따른 학생 취업 DB • 산업체 인턴쉽 및 일대일 취업 연계 • 성공 취업 및 전문 대학원 등 진학 Junior • 학생 역량 진단 평가를 통한 전공 학습 분석 • 학과와 연계한 가족 기업과 산업체 현장 학습 • 취업 교육 참여 확대 3 특성화 프로그램_취업 연계 특성화 프로그램 Sophomore • 학생 역량 진단 평가를 통한 학습 성과 분석 • 산업체 전문가와 멘토 활동 지정 • 취업 프로그램 운영과 전임교수 학습 스터디 활동 Freshman • 조기 취업 진로 상담 및 취업 로드맵 작성과 • 미래 성공을 위한 지도 작성과 학습 계획 수립 • 어학 교육의 집중 실시 및 기숙형면학관을 통한 스타 육성 프로젝트 시작

  12. 주요 프로그램 구성 • 산업체 전문가 전공 멘토링 운영 • 산업체 현장 학습 강화 • 취업 연계 인턴쉽 운영 • 산업체 전문가 취업 특강 실시 • 지역의 문화산업체와 교육과정 협력 산학협력 주요기업 • ㈜위치스(대표 : 고미아) • 사업분야 : 플래시 기반 콘텐츠 개발 • 주요작품 : App. 헬로키티 다이어리 • ㈜키노모티브(대표 : 박용정) • 사업분야 : 영화, 드라마 포스트 프로덕션 • 주요작품 : 영화 포스트 프로덕션 • ㈜제이엠애니메이션(대표 : 정미) • 사업분야 : 2D 애니메이션 • 주요작품 : TV Series 주로링 동물탐정 4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_주요 산학협력 기업

  13. 100% 취업 목표 전략 제시 • 무엇이 되고 싶은가? Vision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인력양성을 위한 CTSP 프로그램과 학과 특성화 프로그램의 집중적인 운영을 통해 • 어떻게해야 하는가? Strategy 미래를 위한 취업 경쟁력 강화 • 무엇을 해야 하는가? Mission 주요 진로 및 취업 분야 문화전문 기획자 문화산업 관련기업 문화산업 관련기관 스토리텔러 문화컨설턴트 문화마케터 5 전문기획자 진로 및 취업_향후 진로 및 취업분야 진로 분야 취업 분야

  14. 문화 산업 기관 문화 산업체 5 진로 및 취업_주요 취업 관련 기관 및 기업

  15. Relations Contacts 입학상담교수 정 연 철 phone_010 3611 3340 e-mail_ycjeong@honam.ac.kr homepage_cim.honam.ac.kr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