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301 Views
시 사랑. 해돌이와 함께 하는. 호수. 학습 목표. [ 도입 ] 학습목표 알기. 시의 특징을 알 수 있다. 호수만한 그리움의 의미를 알 수 있다. [ 활동 1] 시의 특징 알기. 시의 정의. - 시인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운율이 느껴지는 말로 압축하여 나타낸 글이다. [ 활동 2] 시인 정지용 알기. 이 시의 작가 정지용에 대하여 알아보자. [ 활동 3-1] 시의 중심내용 파악하기. 시 속의 중심내용. [ 활동 3-2] 시의 중심내용 파악하기.
E N D
시 사랑 해돌이와 함께 하는 호수
학습 목표 [도입] 학습목표 알기 시의 특징을 알 수 있다. 호수만한 그리움의 의미를 알 수 있다.
[활동1] 시의 특징 알기 시의 정의 - 시인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운율이 느껴지는 말로 압축하여 나타낸 글이다.
[활동2] 시인 정지용 알기 이 시의 작가 정지용에 대하여 알아보자.
[활동3-1] 시의 중심내용 파악하기 시 속의중심내용
[활동3-2] 시의 중심내용 파악하기 이 시 속에서 말하고자 하는 중심내용을 알아 보자. • 1연 - 얼굴의 물질적인 크기는 손바닥으로 가릴 수 있으나 (얼굴은 잊을 수 있음) • 2연 - 마음의 심리적 넓이는 가릴 수 없음(보고픈 마음은 감출 수 없음)
[활동4-1] 내용학습 하기 시 속에서 얼굴은 누구의 얼굴이며, 호수만하다는 어떤 의미인 지 알아보자.
[활동4-2] 내용학습 하기 시 속에서 얼굴은 누구의 얼굴이며, 호수만하다는 어떤 의미인지 알아 보자. (예시답안) • 얼굴 : 사랑하는 사람, 그리워서 못 잊는 사람 • 호수만하다 : 그리움은 넓고 깊으며 순수한 감정이라 막을 수 없다는 의미
[활동5] 목표학습 하기 호수에 대한 감상을 이야기 해 보자. • - 이 시는 누군가를 간절히 그리워하는 마음을 ( )의 깊 고 맑고, 넓은 이미지 로 표현하고 있다.
[활동6] 적용학습 하기 친구나 부모님처럼 내가 잘 아는 사람을 한 명 정한 후, 그 사람에 대한 내 마음을 시로 표현해 보자.
[평가] 형성평가 • 호수 ‘시’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얼굴 하나야’에서 얼굴은 보고 싶은 사람의 얼굴이다. 이 시에서 말하고자 하는 의미는 호수가 매우 넓고 깊다는 것이다. 이 시에서 말하는 이는 누구를 매우 보고 싶어하는 것 같다. 그러나 만나지 못해서, 혹은 만날 수 없어서 매우 슬퍼하고 있다. ‘호수만 하다’는 것은 그리움의 깊이가 매우 넓고 깊다는 것 을 표현한다. 매우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보고 싶은 마음은 간절한데 만날없으니 말이다.
교 과 명 국어 학년·학기 1학년 1학기 쪽수 p.99-102 단 원 명 3. 문학과 의사소통 > (3) 호수 차시 4/6 학습주제 시 감상하기 학습목표 시의 특징을 알 수 있다. 호수만한 그리움의 의미를 알 수 있다. 학습환경 멀티미디어 실습실 활동유형 학습환경 전체 전체 개별 [도입] 1. 학습목표 알기 [전개] 2. 시의 특징 알기 3. 시인 정지용 알기 4. 시의 중심내용 파악하기 5. 내용학습 하기 6. 목표학습 하기 7. 적용학습 하기 [정리 및 평가] 8. 정리 및 형성평가 학습활동 정보탐색 및 안내 학습자료 PPT 차시안내 준비물 생각넓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