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3

한문 1 학년 2 학기 Ⅳ . 생활 속에서 > 十四 . 風俗 (2/6)

한문 1 학년 2 학기 Ⅳ . 생활 속에서 > 十四 . 風俗 (2/6). 일상 생활에 관한 한자어를 익혀 문장과 언어 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수업활동 안내. 명절에 관한 한자어와 풍속을 알 수 있다. 5. 공부한 내용 정리하기. 1. 학습 목표 알아 보기. 4.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어 바르게 읽기. 2. 본문에 나온 한자의 음과 뜻 알아보기. 3. 명절에 행해 지는 풍습 알 아 보기.

saniya
Download Presentation

한문 1 학년 2 학기 Ⅳ . 생활 속에서 > 十四 . 風俗 (2/6)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문 • 1학년 2학기 • Ⅳ. 생활 속에서 >十四. 風俗 (2/6) 일상 생활에 관한 한자어를 익혀 문장과 언어 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2. 수업활동 안내 명절에 관한 한자어와 풍속을 알 수 있다. 5. 공부한 내용 정리하기 1. 학습 목표 알아 보기 4.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어 바르게 읽기 2. 본문에 나온 한자의 음과 뜻 알아보기 3. 명절에 행해 지는 풍습 알 아 보기

  3. 1. 학습 목표를 알아 봅시다. 1.‘명절’에 관한 한자어와 풍속을 알고 말 할 수 있다. 2.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어를 바르게 읽을 수 있다.

  4. 2. 본문에 나온 한자어의 음과 뜻을 알아봅시다. • 元一 • 上元 • 寒食 • 端午 (원일) –음력 1월 1일. 설날 (상원) – 1월 15일. 정월 대보름 (한식) –찬 음식을 먹는 날 (단오) –음력 5월 5일. 수릿날

  5. 2. 본문에 나온 한자어의 음과 뜻을 알아봅시다. • 秋夕 • 冬至 • 美風良俗 (추석) –음력 8월 15일 (동지) – 12월 22일. 팥죽 먹는 날 (미풍양속) –아름답고 좋은 풍속

  6. 3. 명절에 행해지는 풍습을 알아봅시다. • 元日–음력 1월 1일, 정월 초하룻날, 설날 세수(歲首) ·원단(元旦) ·원일(元日) ·신원(新元) 이라고도 하며,근신·조심하는 날이라 해서 한문으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쓴다.

  7. 3. 명절에 행해지는 풍습을 알아봅시다. • 上元–음력 1월 15일, 정월 대보름 일년 중 최초의 보름을 상원(으뜸되는 밤)이라 하여 중시, 그 해 맨 먼저 보름이 되는 날을 기리면서 대보름이라고 함.

  8. 3. 명절에 행해지는 풍습을 알아봅시다. • 端午–음력 5월 5일, 천중절, 수릿날, 4대 명절의 하나 중국 굴원(屈原)이라는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하여 멱라수에 투신자살, 그날이 5월 5일. 그 뒤 해마다 굴원 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내게 되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에 전해져 단오가 되었다고 함.

  9. 3. 명절에 행해지는 풍습을 알아봅시다. • 秋夕–음력 8월 15일, 가배, 중추절, 팔월 한가위 가윗날은 한국의 고유한 명절로 신라시대부터 인식되어 온 민족 최대의 명절이다. 추석은 한 해 농사와 추수에 감사드리는 경축 적(慶祝的) 의례이다. “가위”라는 말은 신라때 길쌈 놀이인 "가배“ 에서유래한 것

  10. 4.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어를 읽어 봅시다. • 두음 법칙 •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 - (女子) 여자 (○) 녀자(Ⅹ) (年歲) 연세 (○) 년세(Ⅹ) •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 -(龍宮) 용궁(○)룡궁 (Ⅹ) (良俗) 양속 (○) 량속 (Ⅹ) •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 • -(來日) 내일 (○)래일 (Ⅹ) (老人) 노인 (○)로인 (Ⅹ)

  11. 6.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우리나라 명절의 유래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자.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어를 찾아 보자.

  12. 관련 참고 사이트 • http://ipcp.edunet4u.net/ • http://www.mct.go.kr/monthly_room/ • custom/s_data_l_900.html • http://my.netian.com/~killmaya/

  13. 교수-학습 계획 교 과 명 한문 학년·학기 1학년 2학기 쪽수(출판사) p.66-69(동화사) 단 원 명 Ⅳ. 생활 속에서> 十四.風俗 차시 2 /5 학습주제 일상 생활에 관한 한자어를 익혀 문장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학습목표 ‘명절’에 관계되는 한자어를 알고,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어를 바르게 읽을 수 있다. 학습환경 1학년 각 교실 활동유형 학습조직 교수-학습 활동 [도입] 1. ‘명절’하면 떠오르는 일 이야기 하기. 2. 학습 목표 제시 하기 [전개] 1. 새로 나온 한자의 음과 뜻 알기 2. ‘명절’에 관계되는 한자어의 음과 뜻 알기. 3. ‘명절’의 유래 알아보기. 4. ‘두음법칙’ 이 적용되는 한자어 파악하기. [정리] 5. 공부한 내용 정리하기 ↘ ‘명절’에 관계 되는 한자어 읽고 쓰기. ↘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어 바르게 읽기. 전체 발표식 전체 문답식 문답식 개별 학습자료 교과서, 자전, 한자 카드, 학습용 CD 1장 차시안내 15과 衣食住에 관한 한자어 읽어오기 준비물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