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1

해양과 자연

해양과 자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지구의 급격한 온도상승을 억제 . 풍부한 수증기를 발생시켜 육상생태계에 수분을 공급 . 육풍 , 해풍 및 계절풍 등을 발생시켜 대기의 순환을 촉진 . 다양하고 많은 어패류를 제공 . 각종 에너지원 및 자원을 공급 . 육상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물질의 순환을 안정하게 유지. 해양과 인류. 경제생활의 근간을 제공 : 어업 풍부한 단백질 공급 세계 20 억 인구가 소비하는 동물성 단백질의 50% 를 제공

Download Presentation

해양과 자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해양과 자연 •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지구의 급격한 온도상승을 억제. • 풍부한 수증기를 발생시켜 육상생태계에 수분을 공급. • 육풍, 해풍 및 계절풍 등을 발생시켜 대기의 순환을 촉진. • 다양하고 많은 어패류를 제공. • 각종 에너지원 및 자원을 공급. • 육상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물질의 순환을 안정하게 유지

  2. 해양과 인류 • 경제생활의 근간을 제공 : 어업 • 풍부한 단백질 공급 • 세계 20억 인구가 소비하는 동물성 단백질의 50%를 제공 • 막대한 량의 화물을 운송하는 통로를 제공 • 심해저에 있는 귀금속을 제공 : 미래의 자원의 보고

  3. 해양오염의 정의 • 인간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물질 또는 에너지가 직·간접적으로 해양에 유입하여 생물자원 또는 인간에게 위해를 가하는 상태 • 해양활동에 장애를 초래 • 해수의 질을 저하 • 해양환경의 쾌적성 감소

  4. 해양오염의 유입경로 • ◦ 지구상의 수리학적 순환과정에 가장 낮은 고도에 가장 넓은 면적으로 위치하고 있어, 지구상에서 발생되는 모든 오염물질이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유입. • ◦ 해양오염의 경로 • 육상경로 : 동물 또는 인간이 발생시키는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강을 통하여 해양으로 유입 • 해상경로 : 선박이나 해양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 • 대기경로 : 지상에서 대기로 배출된 오염물질이 대기에서 체류하다가 해양으로 침강

  5. 해양오염의 종류 • 분해성 유기물질 • 부영양화 및 적조 • 유류오염 • 해양투기에 의한 오염 • 산업폐수 등의 독성물질 오염 • 연안의 오염 • 열오염

  6. 1. 분해성 유기물질 • 폐쇄된 지역이라도 해표면의 온도가 높으면 공기층과의 사이에서 산소의 교환이 지속적으로 발생. • 분해성 유기물은 해수의 자정작용에 의하여 확산 또는 희석과정을 거치면서 무기물로 분해. 박테리아 작용 • (CH2O)n + nO2 nCO2 + nH2O • 해수의 교환상태가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기물 유입속도가 박테리아의 분해속도보다 빠르면 유기물은 축적. • 해수의 온도가 대기의 온도보다 낮고, 유기물 유입속도가 분해속도보다 빠르면 해표면에서 탈산소화가 발생.

  7. 1-1. 분해성 유기물질의 종류 • 생활하수 • 음식물찌꺼기, 합성세제, 분뇨 등이 주 오염물질이다. • 독성은 강하지 않으나, 오염부하량이 크고, 다량의 인과 질소가 함유되어 있어, 부영양화의 원인이 된다. • 농업페수 • 비료의 과다사용과 대규모의 가축사육으로 인하여 폐수에 고농도의 인과 질소가 함유되어 있어 부영양화의 원인 • 가축분뇨는 약 50%만이 유기질비료로 활용 • 산업페수 • 식품 등의 가공산업에서 발생

  8. 2. 적조 • 다량의 유기물질의 유입으로 영양과잉 상태가 되어 동·식물 플랑크톤, 원생식물 및 박테리아와 같은 바다생물이 일시에 다량으로 증식. • 바다생물이 생물·물리적으로 집적되어 바닷물의 색깔을 변색시키고, 해양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 • 적조 발생조건 • 해수의 체류시간이 긴 폐쇄성 내만 해역의 지형. • 육상으로부터 적조생물의 성장과 번식에 필요한 영양염, 비타민, 철 등의 미량원소 공급이 원활하여야 한다.

  9. 적조 생물과 수색 변화

  10. 2-1. 적조생물의 특성 • 규조류 : 강수성 • 규산염, 질산염, 인삼염 등의 영양염이 풍부. • 규조류의 색상에 따라 바닷물이 변색. • 편모조류 : 비강수성 •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비타민류, 유기물 등 성장촉진물의 영향을 받는다. • 해저퇴적물층에서 지내다가 적당한 환경에서 포자가 발아해서 표층으로 상승. • Cochlodinium 적조 : 남해안에서 주로 발생 생물체에 직접적인 영향 • 여름철 수온 20℃ 이상에서 발생 (최근 11월까지 관측)

  11. 2-1. 적조의 종류 • 편조적조 : 편조류가 우점종일 때 • 규조적조 : 규조류가 우점종일 때 • 단독형적조 : 한종이 90%이상일 때 • 혼합형적조 : 여러종이 혼합되었을 때 • 최근에는 편조류에 의한 단독형적조가 자주 발생

  12. 2-2. 우리나라의 적조특성 일본의 세토내해, 유럽 각국 연안, 미국의 켈리포니아 연안 및 동부 연안, 중국의 발해연안, 동남아시아 연안, 국내의 마산만에서 상습적 발생.

  13. 2-3. 적조에 의한 피해 • 무독성 피해 • Chaetoceros와 같은 적조식물은 긴 가시를 가지고 있어 초식동물의 아가미 조직사이에 끼게 되면서 다량의 점액질 분비를 자극 • 점액질의 분비가 지속되면 점액질이 소진되어 아가미 조직을 와해시켜 산소교환을 방해. • 무산소/저산소 영향에 의한 피해 •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은 수중에 용존산소를 결핍시켜 고착성 저서생물의 분해작용을 방해하는 치명적 영향을 준다. • 유독성 피해 • 여러 지역에서 유해조류에서 만들어진 독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수산자원의 손실을 초래 • 수산업 활동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동시에 인간의 건강을 위협.

  14. 2-4. 유해성 적조의 발생지역

  15. 2-5. 적조의 장점 • 적조를 발생시키는 와편모조류는 생태계에서 광합성을 하는 식물 플랑크톤으로 생태계 먹이사슬의 일차생산자 • 와편모조류에서 아미노산 및 광합성 산물이 조체 밖으로 빠져나와 용존 유기탄소를 제공 • 북해의 유전은 다량의 와편모조류가 퇴적되어 형성된 것으로 추정 •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작용으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소비하므로 식물성 적조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의 감소에 기여

  16. 3. 유류오염 • 해양으로 유입되는 유류의 총량 : 3,200,000 ton/year • 세계 원유생산량 : 3,000,000,000 ton/year • 대륙으로부터 유입 : 37%선박활동 : 33% 대기 중에서 침강 : 9%Seepage : 7% 선박사고 및 원유탐사 등 : 14%

  17. 3-1. 선박에 의한 유류오염 • 선박사고는 75%가 항구 내에서 조업 중에 발생하지만, 유류의 유출량은 200,000 ton/year이다. • 대형유조선의 사고는 발생빈도는 낮지만,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치명적인 해양오염이 발생한다. • 최초의 선박사고 : Torrey Canyon호(1967, 119,000 ton) • 가장 큰 해양사고 : Atlantic Empress호(1979, 287,000 ton) 우리나라 : Sea Prince호(1995. 7., 여천군 소라도, 5,000 ton)

  18. 3-2. 유류오염에 의한 피해 • 유류의 성분 중에서 방향족 탄화수소가 지방족 탄화수소보다 독성이 강하다. • 탄소수 3~6개의 저분자량 화합물 : 대기 중으로 휘발 • 탄소수 7~20개의 중분자량 화합물이 탄소수 21개 이상의 고분자량 화합물보다 독성이 강하다. • 방향족 탄화수소 : 생물의 대사작용 방해 • 세포벽을 파괴하고, 단백질과 결합하여 효소나 단백질 구조에 영향을 준다. • 지방족 탄화수소, 고리탄화수소 : 마취효과

  19. ※ 탄화수소 • 방향족 탄화수소 : 벤젠고리로 연결된 유기화합물 • 지방족 탄화수소 : 사슬모양의 탄화수소 • 포화탄화수소 : 메탄계 탄화수소라고도하며, 단일결합의 유기화합물 • 불포화탄화수소 :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의 유기화합물

  20. 4. 해양투기에 의한 오염 • 육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비교적 무해하고, 처리가 곤란하며, 처리비용이 큰 오염물질을 지정된 장소에 투기 • 허용 폐기물 : 분뇨 및 정화조 오니, 생물학적 하수찌꺼기 수산물 가공 잔재물, 폐산 및 폐알카리 • 폐기물에 의한 해양오염방지협약(런던협약)에 1996년 가입하여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폐산 및 폐알카리의 해양투기가 금지. • 플라스틱, 비닐 및 스티로폴의 해양유입 • 어류의 영양실조 및 부력장애, 잠수장애를 유발 • 폐기물, 어구 등에 의한 오염 • 해양식물의 성장방해 및 해양동물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

  21. 비닐의 순환 인간에게 버림받은 비닐 조각은 물질순환계를 통해 식탁으로 돌아오고, 인간은 비닐을 섭취 • 인간이 함부로 버리는 비닐은 강을 거쳐 바다로 유입 • 비닐은 파도에 찢겨 작은 조각으로 분해 • 새우잡이 그물에 걸려 새우와 섞임 • 작은 비닐조각은 분류에 한계 • 새우젓갈에 비닐 조각이 최대 30% 까지 혼합

  22. 4-1. 해양투기 지역

  23. 4-2. 년도별 해양투기 발생량

  24. 4-2. 해양투기 물질별 발생량

  25. 5. 산업폐수 등의 독성물질 오염 • 산업폐수에 함유된 화학물질은 500만종이 넘으며, 하천 등에서 확인된 물질은 1500종이다. • Cd, As, CN, Hg, Pb, Phenol 등 독성이 강하고, 인체에 축적되는 물질에 대해서만 규제하여, 해양으로 유입되는 다른 유해물질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다. • 농업폐수에도 살충제, 제초제, 항생제, 생장조절제와 같은 화학물질이 400종 이상이 함유. • 특히 Dioxin 등의 유기염소계 탄화수소 및 중금속 등에 의한 오염문제가 심각.

  26. 6. 연안의 오염 •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염하구와 조간대는 외해나 대륙붕에 비하여 생산성이 높아 수산생물의 약 60%가 연안해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계. • 조간대 중 갯벌은 육지로부터 각종 유기물과 토사가 유입되어 생물에게 서식지와 산란지를 제공하여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 • 농지 및 산업단지 건설을 위한 매립 및 간척사업으로 인하여 갯벌이 기하급수적으로 감소

  27. 6-1. 갯벌의 주요기능 • 어류의 생산 및 서식지 기능 • 갯벌의 생산성은 육상의 생산성보다 9배의 가치를 갖는다. • 갯벌의 어류생산성은 9 ton/acre이다.(1 acre = 4,046.8㎡) • 2. 오염정화기능 • 갯벌에서 자생하는 미생물이 육상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자연분해. • 3. 심미적 기능 • 휴식 또는 휴양공간의 개념이 적용 • 4. 홍수조절기능 • 급속한 물의 흐름을 완화하여 저장 • 5. 폭풍조절기능 • 태풍의 영향을 완화시켜 육지의 개발지역의 피해를 감소

  28. 6-2. 연안오염의 영향 • 방조제의 준설과 매립으로 부유물질의 농도변화 및 매립토사에 의한 생태계 변화. • 방제제의 건설로 조류의 흐름과 수위가 변화. • 방조제 안쪽 담수호의 수질악화. • 시화호, 새만금 • 방파제 등의 구조물에 의한 갯벌 및 해안의 침식 • 남제주의 산호 서식지 파괴

  29. 6-3. 갯벌의 평가 • 시장재화 • 수산물과 같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와 서비스 • 경제적 가치의 평가가 용이 • 비시장재화 • 해수욕장, 해양공원과 같이 경제적 재화로 평가하기가 어려운 재화 • 경제적 가치를 가치평가 기법을 이용

  30. 7. 열오염 • 발전소, 정유공장 등의 대단위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냉각수에 의하여 발생.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