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DS3500 기술적 개요

DS3500 기술적 개요. Release Overview. DS3500 – 신규 하드웨어 SAS 기반 보드 2 종류의 인클로저 – EXP3524, EXP3512 PB 1-3 DS3000 에서 업그레이드 HSW 새로운 보안 기능 “ 강력한 패스워드 ” 기능 SED 향상 주요 향상된 기능들 새로운 진단법 호스트 I/O 지원 변경 Linux Device Mapper 지원 다시 균등이용하기 위한 조정기능 지원 기타 향상된 기능들. DS3500.

ros
Download Presentation

DS3500 기술적 개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DS3500기술적 개요

  2. Release Overview • DS3500 – 신규 하드웨어 • SAS 기반 보드 • 2종류의 인클로저 – EXP3524, EXP3512 • PB 1-3 • DS3000에서 업그레이드 • HSW • 새로운 보안 기능 • “강력한 패스워드” 기능 • SED 향상 • 주요 향상된 기능들 • 새로운 진단법 • 호스트 I/O 지원 변경 • Linux Device Mapper 지원 • 다시 균등이용하기 위한 조정기능 지원 • 기타 향상된 기능들

  3. DS3500 • SBB 2.0 준수 폼 팩터(form factor) • 기본 보드상에 2개의 6Gbps SAS 호스트 포트 • 기본 보드에 부속카드를 장착해서 추가적인 호스트 인터페이스 타입 (1 GbpsiSCSI, 8Gbps FC) 을 지원 한다 • Simplex 및 Duplex 시스템 구성 • 백 엔드6Gbps SAS 지원 • 2종류의 인클로저 • EXP3524 (슬라이드 그림) • EXP3512

  4. DS3500 - 컨트롤러 박스 조립 모듈 HIC Daughter Card Memory DIMM SDHC Card Lid Battery DS3500 PCBA in Base Faceplate HIC Adapter Plate

  5. DS3500 – 컨트롤러 블록 다이어그램

  6. DS3500 – 도터카드없는 후면 패널 Expansion SAS 2.0 Ethernet Host SAS 2.0 RS232

  7. DS3500 – SAS 도터카드를 장착한 컨트롤러 Fault Amber Activity Green Ch 4 Ch 3 Host SAS 2.0

  8. DS3500 - SAS 도터카드 블록 다이어그램

  9. DS3500 – iSCSI도터카드를 장착한 컨트롤러 Link Active Green Link Up Green Host iSCSI

  10. DS3500 - iSCSI도터카드 블록 다이어그램

  11. DS3500 – FC 도터카드를 장착한 컨트롤러 Rate Rate 8 GB Both On 4 Gb 2 Gb Ch 4 Ch 3 Ch 5 Ch 6 Host FC

  12. DS3500 - FC 도터카드 블록 다이어그램

  13. DS3500 – 컨트롤러 기능 • “키로 조절되는(Keyed)” - 성능 수준 • 기본 성능은 하드웨어가 아닌 펌웨어에 의해 조절된다 • 터보성능키(key)로 펌웨어의 성능 제한을 해지 • 영구적 캐시 백업 • SD/MMC 플래쉬 카드 백업 • DS5300 기능과동일 • 96 SAS 드라이브지원 • 인클로저의 혼합구성 지원 • 제한된 최대 드라이브 슬롯수 • 상위기종의 프리미엄 기능 지원 • 컨트롤러당 2GB 또는 1GB 캐시 • 차기 발표시4GB 지원 예정

  14. DS3500 – EXP3524 • 2U 높이 • 24개 2.5인치수직형 드라이브 슬롯 • 슬롯번호 순서는 좌측에서 우측 • 지원되는 드라이브:

  15. DS3500 – EXP3512 • 2U 높이 • 12개 3.5인치수평형 드라이브 슬롯 • 기존 DS3000 인클로저와 유사한 형태 • 지원되는 드라이브:

  16. DS3500 - 전원 • 585W AC 전원 (단, 시스템은 350W 이상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 이중화된 PSU, 완전히 중복된 기능 수행 • SBB 규격 준수슬롯 및 잠금 방식 • PSU 당 2개의 내부 팬 • PSU LEDs • Service Action Allowed • Service Action Required • AC 정상상태 • DC 정상상태 • LED 추후 사용예정 • PSU 교체시간 3분이내 준수 – 시간초과시 냉각 문제 제기 LED for Future Use 주의사항: 전원공급장치 제거 후 인클로저내 부품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장치의 교체시간은 반드시 3분 이내 이뤄져야 한다.

  17. DS3500 - SBB 2.0 규격 지원 • 미드프레인 EEPROMs (버스당 1개) 보유 : • 미드프레인 (인클로저) VPD 데이터 • SBB-특정 데이터 • 드라이브 포트 매핑 테이블 • 공급 업체 특정 데이터 • 트레이(Tray) 기능 • 에러 및 고장을 명확히 식별 • 트레이(Tray) 구성요소 인증

  18. DS3500 - SBB 2.0 고장 식별 • 미드플레인 EEPROM 데이터 손상이 발생한 경우 • 펌웨어에 의해 다른 EEPROM으로 스위칭 • 유효한 데이터 정보로 다시쓰기(re-write) 시도 • 다시쓰기실패시 = 고장 (fault) LED 점등, EEPROM VPD 손상에 대한 중요이벤트 보고, 문제 해결을 위해 인클로저 교체가 요구됨 • 1번버스의 TWI (I2C) 버스 고장시 • DS3500은 대체 컨트롤러로 검증을 시도하고, 또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검증을 시도함 • 대체 컨트롤러로 EEPROM의 액세스가 가능한 경우, DS3500 컨트롤러의 고장으로 판단되며, 버스는 정상상태이므로 아무런 고장조치가 필요 없음 • EEPROM 데이터 손상또는 I2C 버스 고장이 발생한 경우 • 트레이 봉쇄처리 (컨트롤러 포함한 트레이) • 7-세그먼트 표시: LL은 액세스 에러 코드, LP은 손상된 테이블 코드 • 제한된 심볼(SYMbol) 액세스 • 양쪽 EEPROMs 데이터는 유효하지만 상이할 경우 • 가장 최근에 사용된 EEPROM의 데이터를 취득 • 최근 EEPROM 데이터로 양쪽 EEPROM 데이터 를 일치시킴 – 실패시 중요한 이벤트 처리

  19. DS3500 - SBB 2.0 인증 • 전원 기동시 또는 핫-스왑시 컨트롤러/ESM에 의해 수행 • 검증방법 (미드플레인EEPROM의 VPD데이터를 이용한다) • 인클로저는SBB 2.0 규격 준수 • 인클로저는IBM 규격이며 호환가능 • 대체품이 스왑 대기 상태라면 보드 ID를 교체가능 • 일부 부품에 장애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정지되고 “Ln”이라는 7 세그먼트가 표시됨 • 전원공급장치 분석 (PS EEPROM의 VPD 데이터를 이용한다) • PS는 IBM장치 • PS는 전력량요구조건 충족 • PS 고장시, 고장표시 및 이벤트 통보처리 • 전원공급장치 2개 모두 고장시, 시스템 종료 절차 수행 • VPD 데이터 손상 또는 읽기 불능시, 이벤트 결과 기록 및 팬 속도를 최고로 설정

  20. EXP3512 및 EXP3524 ESM • 호스트 및 일련의 ESM 연결을 위해 SFF-8088 4포트 단위의miniSAS콘넥터 사용 • “Bobcat” 36 포트 확장장치 • SBB 2.0 규격 준수 • HW는 대기모드 와 WoS모드 지원 • 현재 펌웨어 지원 없음

  21. DS3500 - 업그레이드/마이그레이션 • DS3000의 볼륨/드라이브 마이그레이션 또는 업그레이드 지원 불가 (구형 SAS 1.0 드라이브 지원 이슈) • DS3500은 구형 트레이의 접속 지원 불가

  22. DS3500 - HSW • 스토리지 매니저– 모든 시스템 타입에 대해 단일 인터페이스 EXP3524 EXP3512

  23. 보안 기능 – “패스워드보호” 스토리지 매니저 • 새로운 패스워드 시스템 • 시스템 관리를 위해 사용자는 필히 패스워드 설정이 필요함 • 엄격한 패스워드 설정 요건 • 8 자 이상 30자 이하 • 최소 1자 이상의 문자는 대문자 • 최소 1자 이상의 숫자 • 최소 1자 이상의 특수문자 (예: ! # $) • 공백문자 또는 출력불가 문자 불허 • 패스워드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 AMW 구동시 • 시스템 SED 키에 대한 변경시 • 유휴 시간초과 (idle timeout) 설정시 • 조정범위 : 1분 ~ 2시간 또는 미설정(“never”)

  24. 보안 기능 – 기타 • 백업 키 확인 • 암호와 함께 백업키 파일을 스토리지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음 • 스토리지 시스템은 백업키/암호 조합이 합법한지 검증함 • 20회 연속 실패시 봉쇄처리 기능 • 로컬 키 관리에만 적용됨 • 노후 키의 완전한 제거 • re-key 동작 중에도 노후 키는 여전히 저장됨 • 펌웨어는 프로세스 종료 단계에서 노후 키를 삭제함 • TCG 1.0 SED 드라이브 지원

  25. 개선사항 - 진단 • DS5300 베이스보드 진단 • Level “0” 부팅시 진단 • 부팅메뉴를 통해 진행 • 펌웨어 인터럽트 (SOD fail) 로 에러결과 • 베이스보드만 테스트 (HIC제외) • 사용자 기동 진단 • 컨트롤러는 서비스모드에 있어야 함 • GUI 또는 CLI • “Basic” 진단은 신속점검 • “Extended” 진단은 전체 기능 점검을 포함 (HIC 제외)

  26. 개선사항 - 진단 • DS5300 HIC 진단 • 대략 베이스보드와 동일하지만 별도호출 (SEPARATE CALLS) 이 있음 • 컨트롤러는 서비스모드에 있어야 함

  27. 개선사항 - 호스트 I/O • Linux Device Mapper • 사전 MPP 설치요구 없음 • Linux 2.6 커널에서 작동 • SLES 11 지원 • 구성화일: /etc/multipath.conf • DM과 MPP 차이점 • DM 은 Redhat과 Suse모두 지원함 • 이 기종 HBA 타입 지원 불가 • 제한된 기능 – no SCSI-2 reservation, no controller-level failover, etc.

  28. 개선사항 – Rebalance • 새로운 MPP 정책 지원 - No automatic LUN rebalance • AVT에만 적용 • 클러스터 환경을 위해 설계 • “핑퐁(Ping-Pong)” 효과 제거 • 새로운 정책반영을 위해, 새로운 LUN rebalance 설정 (=4) • 또한LunRebalanceCount매개변수 • 이동된 LUN 호스트만 다시 이동할 수 있음 • 각 호스트는 전송숫자를 모니터링함 • 각 컨트롤러에 최소 한 개 이상의 경로가 설정되면 카운트는 리셋됨 • 카운트는 볼륨당 기준임 • 카운트가 LunRebalanceCount에 도달시, 호스트는 볼륨이동을 중지함

  29. 개선사항 - 기타 • 현재 펌웨어는2개의 iSCSI연결을 허용 • 컨트롤러당 및 세션당 • 에고된 시스템 대체작동시,페일오버(failover)알람 이 발생치 않음 • CFW 다운로드, etc. • 더 빠른 페일오버 시간에 대한 테스트 지원 • 페일오버시간축소시 기능성 검증완료 • 드라이브 데이터 재구성 • 펌웨어는 드라이브의 응답에만 의존치 않고 , 패리티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음 • NVSRAM에 의해 제어 • 재시도 시간에 의해 측정 • 합성 PFA 이벤트로 계산 • 캐시 비활성화는 이제 중요 이벤트가 아님

  30. 질의사항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