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likes | 765 Views
비만인의 운동부하검사 및 운동프로그램의 구성. 목원대학교 운동처방실.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구성. 목표체중 설정 ( 성, 연령, 경기종목에 합당한 체지방율 고려) 에너지 섭취량 평가 (식사기록과 컴퓨터 평가) 에너지 소비량 평가 ( RMR, 트레이닝량, 일상활동량 등) 운동과 식이량 조절 지방조직 감량 제지방조직은 증량 또는 불변케 함. 운동 프로그램 작성의 선행 과제. 질환 유.무 체격 및 신체조성 검사 운동부하검사
E N D
비만인의 운동부하검사 및 운동프로그램의 구성 목원대학교 운동처방실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구성 목표체중 설정 ( 성, 연령, 경기종목에 합당한 체지방율 고려) 에너지 섭취량 평가 (식사기록과 컴퓨터 평가) 에너지 소비량 평가 (RMR, 트레이닝량, 일상활동량 등) 운동과 식이량 조절 지방조직 감량 제지방조직은 증량 또는 불변케 함
운동 프로그램 작성의 선행 과제 질환 유.무 체격 및 신체조성 검사 운동부하검사 안정시 및 운동 중 신체적 문제점을 확인 심폐능력 및 체력수준 평가 개인에 알맞은 운동강도의 설정 체지방 감량 프로그램
비만인의 질환 유.무 확인 비만은 당뇨, 고혈압,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근골격계 질환 등 현대병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임 1) 문진을 통한 현재 및 과거병력 2) 의학적 검진 결과 3) 기초체력 검사 4) 안정시 심전도, 심박수, 혈압 호흡기 변인 (BP, STslope, STlevel, HR, RER ) 운동 중 안전사고 예방, 합병증 개선 가능성 타진, 운동프로그램 작성
체격 및 신체조성 검사 체격 : 신장, 체중, 형태측정 적정체중, BMI 등 신체조성 : 지방량, 근육량, 수분량 등 감량 지방 체중량 산출
1. 목표체지방률 및 감량지방체중의 설정 170cm 75.1kg 27.7 % 28 kg(체중 × 25%) 47.1 kg(체중 - 지방체중) 18% (제지방체중의 82%) 6.46 kg(체중 9%) 신장 체중 체지방률 지방체중 제지방체중 목표체지방률 감량지방체중
2. 체지방 감량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설정 조건 • 주당 최대 칼로리 소모량은 7,000kcal, 체지방 감량치는 0.9kg 정도임 (Costill & Wilmore, 2 파운드/ 주 감량이 적정량) 체지방 및 체중감량 후 Set Point 에 요구되는 기간 : 2~4주 • (Stunkard, 1980 ; Obesity) • -- 6.46 kg(체중 9%)의 체지방량 감량을 위한 운동기간 • 지방감량을 위한 운동기간 : 2 개월 • Set Point 설정 기간 : 1 개월 • --------------------- • 3 개월
3. 선행된 연구자들의 운동 참여와 Diet 방법 • 운동참여 시간과 유형 저녁식사 1시간 이후 1시간 이상의 유산소 운동 • Diet : 저녁 식사량 1/5 감량 1개월에 1/5 감량을 2개월 간(총 2/5 식사량 감량) • 영양소의 균형 근 글리코겐의 결핍을 방지하고 탄수화물의 단백질 절약작용을 크게 하기 위하여 고탄수화물, 저지방식을 처방 • 탄수화물(복합48-60%, 단당류10%이내), 단백질(12-15%), • 지방(20-23%)
비만인 운동부하검사의 절차 사전조사 : 생활습관, 병력, 운동경험, 생활환경 신체조성 검사 : 체지방량, 제빙방량, 체수분량 운동부하검사 : 운동능력의 평가, 운동강도의 설정 운동프로그램작성 : 운동종목, 강도, 빈도, 지속시간 운동실시 : 운동프로그램에 의한 운동 실시
비만인 운동부하검사 전 고려사항 • 검사대상자의 분류 • 건강 수준 : 건강군, 위험군, 질환군 • 비만도 : 경계성 비만, 단순비만, 고도비만 • 개인의 체력, 질환, 비만도에 따른 검사계획을 수립 • 2. 운동부하 장비 및 프로토콜의 선정 • 트레드밀, 자전거 등의 검사장비 선정 • (대상자의 체력 수준, 처방 할 운동프로그램을 고려) • 대상자에 맞는 운동검사 프로토콜의 선정
비만인 운동부하검사 Protocol • 점진부하 검사 • 1 step 의 시간을 3분 이상으로 실시 • - 각 step 에서 항정상태에서 변인을 기록 • - 최대 운동부하검사의 필요성 재고 • - 운동 참여 강도에서 어느 정도 지속하며 변인 관찰 • 2. 경사도 조절 • 걷기, 조깅 등의 운동 참여자는 경사도 0%로 속도에 의한 부하 • 경사도를 적용=> 프로그램 작성시 강도 적용에 어려움
비만인 운동부하검사 중 관찰변인 • 운동부하 검사 중 관찰변인 : HR, VO2, BP, AT, RER, ECG, RPE • 심박수에 의한 운동강도 (%HR max) 및 혈압 • 부하 강도에 따른 심박수의 변화 • 현재 수행하고 있는 운동이 %HR max인지 확인 • 부하강도 증가에 따른 혈압반응을 관찰 • 호흡수(RF), 환기량(VE), VO2, VCO2, RER 등 호흡기 변인 • 호흡교환률, 에너지 소모량, 지방 소모량 관찰 • 호흡(RF) 과 환기(VE) 상태를 확인 • 무산소젓 역치(AT) 수준
에너지 소비량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심박수
RER에 의한 체지방 감량 1. 호흡교환율(respiratory exchange ratio : RER) 탄수화물과 지방의 에너지 공급비율을 측정 RER 0.8-0.90의 운동강도를 산출 운동 중 지방 소모의 극대화 지방 소모에 효과적인 운동강도 항정상태(steady state)의 호흡교환율을 인정
비만인 운동부하검사 시 Check List 호흡교환율에 따른 에너지 공급비율
비만인 운동부하검사 시 Check List 안전성 검사 : BP, ECG P, QRS, T 전위 P, QRS, T 시간간격 PR, QT 시간간격 조율 및 심박수 ST slope
항 목 체지방량 체지방률 제지방량 체수분량 측정치 28 27.7 47.1 34.5 적정치 11.7 18 53.4 35.5 높 음 높 음 낮 음 부 족 운동처방서 작성 • 체지방 수준 및 유산소적 운동능력의 평가 평 가
운동프로그램의 작성 운동프로그램 제시 • 운동종목 : 동적, 유산소성 운동, 참여자의 의사 반영 • 운동시간 : 30분 이상 장시간, 야간에 운동이 효과적 • 운동강도 : 중강도 지구성 운동 • RER 0.85-0.90에 해당하는 강도 • 60-70%HRmax 에 해당하는 강도 • 운동자각도(RPE ) 11-13에 해당하는 강도 • 운동빈도 : 주3-5 회
운동프로그램의 작성 • 운동프로그램 제시 • 기타 고려사항 • 다이어트 프로그램, 생활습관 • RER 0.85-0.90에 해당하는 강도 • 60-70%HRmax 에 해당하는 강도 • 운동자각도(RPE ) 11-13에 해당하는 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