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Trade in Goods (GATT 관련 )

Trade in Goods (GATT 관련 ). Three broad categories of trade policy instruments Measures that affect quantities, restricting the volume or value of transactions; quotas, VERs

rina-vang
Download Presentation

Trade in Goods (GATT 관련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Trade in Goods (GATT 관련) • Three broad categories of trade policy instruments • Measures that affect quantities, restricting the volume or value of transactions; quotas, VERs • Those that affect prices, involving the imposition of a monetary fee (tax) on foreign supplies or have an equivalent effects; tariffs or other surcharges, para-tariffs • Those that may indirectly affect quantities and/or prices => 정부의 거의 모든 조치들이 무역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GATT의 허용여부와 상관없이 문제삼을 수(제소할 수) 있다.(non-violation complaints)

  2. 1. Tariffs and para-tariffs • 관세는 관세경계선을 넘어온 재화에 대해 부과하는 일종의 세금이다. o ad valorem (a percentage of the value of imported products): 보다 투명함. 보호수준이 가격과 연계(index)됨. 반면 인플레이션 수입, 수입품 가치평가 필요의 문제. o specific (a given amount of money per physical unit) e.g., $1.5 per liter of wine. 수입품 가치평가 필요없고, 외국의 인플레이션과 단절(insulation). 반면 인플레이션에 따라 보호의 정도가 낮아짐. o hybrid : 5% ad valorem plus $1 per liter of wine.

  3. World Customs Organization (WCO) 가 세계 세관들의 협의체 기구 • HS code 통용( 6단위까지는 국제공통, 그러나 8-10단위는 각국별로 차이) • MFN vs. Preferential tariffs • Bound vs. actual (applied) tariffs • 관세의 경제적 효과 -소국: 소비 왜곡+생산왜곡=> 부정적 -대국: 추가적으로 교역조건 개선의 이익 => 최적관세이론(optimum tariff theory)

  4. 관세는 GATT에서 허용하는 유일한 보호의 수단으로서 quota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 - 비교우위가 여전히 살아있음 - 수출자에 대해 비차별성 유지 가능(quota는 어려움) - 기준이 투명함 - 관세수입이 발생 - rent seeking incentive가 낮음 -> 균등관세 바람직

  5. 관련 GATT 규정 - 제1조: nondiscrimination(MFN) * 예외: regional trade agreements (RTAs), GSP - 제2조: Tariff schedules and bindings (tariff concession), bound tariff이상을 부과하지 못함. * 예외: Safeguard provisions @Antidumping (AD) - 제6조 @countervailing duties (CVD) - 제6조 @Balance of payments –제12조, 제 13조:b @Infant Industries –제13조a와 c. @Emergency protection –제19조 @general waivers –제25조 - GATT는 품목과 국가에 일반적으로 적용 o 관세양허는 positive list방식 o 각국은 관세양허표 작성, 제출. o 선진국은 대부분의 관세양허, 그리고 실행관세율과 유사 o 개도국은 양허비율도 낮고, 실행과 양허관세간 차이가 큼. o 과거 개도국들은 관세협상없이 GATT에 가입했고,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STD) 원칙에 입각하여 MTN에서 양허예외를 인정받았으나 UR에서 이런 free riding이 없어짐.

  6. - UR후 모든 회원국은 농산물에 대해 양허표 제출 - UR후 개도국 양허비율은 높아졌으나 여전히 대부분이 실행율이 아닌 상한이었음. (협상카드로 이용, 관세수입수단, 관세인상시 GATT와의 문제 회피) • Other fees and charges on Imports (para-tariffs) - 양허관세 회피 목적의 관세와 유사한 fee나 특별세 부과 제약 (외환거래세, 추가적 내국세, 수입 서비스 fees 등) - 개도국에서 특히 중요함 - 불투명하고 자의적으로 부과되어 문제가 됨. - GATT 1994는 GATT 1947과는 달리 “other duties and charges”의 성격 및 수준이 tariff line별로 기술되고 양허되어야 한다고 규정함 - fee나 other charges는 제공된 서비스 비용과 같아야 하고(제2조, 2c), 보호나 재정목적으로 부과되어서는 안된다고(제8조) 규정함. e.g.) 미국의 경우 동일률의 세관이용료 부과 관련 제소: 제공된 서비스와 관계없이 평균비용을 부과하는 것은 GATT 위배 판결 - 그러나 통관관련 서비스로 대부분 원치 않는 것이므로 적절치 않을 수 있음. - cost-based fee는 실질적인 관세인상을 위한 loophole이 될 수 있음. -> WTO에서 고쳐야 될 부분

  7. Effective protection and Tariff escalation - 원자재 또는 중간재 수입시 normal rate of protection (NRP)과 effective rate of protection (ERP)의 차이 발생 - ERP는 최종재 생산을 위한 원재료나 중간재에 부과되는 무역장벽을 감안한 보호 정도 측정 - NRP=(P-P*)/P* P* : free trade price P : 보호시 국내가격 => P=P*+t - ERP=(V-V*)/V* V* : value added per unit under free trade V : 관세부과시 국내 value added

  8. e.g.) 강철(steel) 1톤의 국제가격=$1,000 강철 1톤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철광석(iron ore) 가격=$600 => 통상 value added =$400 1. 강철에 20% 관세부과 but no tariff on iron ore => ERP on steel = (600-400)/400=0.5 또는 50%. NRP의 2배 이상 보호 효과 2. 철광석에 33% 관세부과 but no tariff on steel => ERP on steel=(200-400)/400=-0.5 또는 -50% * 관세가 없어도 steel 무역 왜곡 발생 e.g.) cocoa butter 생산비용의 95%가 cocoa bean임. cocoa butter에 5%의 관세를 부과하면 ERP on cocoa butter=(10-5)/5=1 또는 100% * 원자재나 중간재 수입비중이 높은 최종재는 약간의 tariff도 보호 효과 큼. ** 수입원자재나 중간재에 대한 관세나 비관세장벽(NTBs)이 높을수록 이들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최종재의 실효보호율은 낮아짐.

  9. *** 생산구조를 감안한다는 측면에서 ERP가 NRP보다 우월한 보호정도 척도임. - 생산자는 ERP에 더 관심을 갖지만 GATT는 NRP에 초점을 맞춰 왔음. o ERP에 관한 의무조항은 없음. o ERP 개념을 몰랐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국내 이익그룹들이 약간의 관세라도 높은 보호효과를 유지한다는 ERP 개념에 집착하기 때문에 낮은 관세라도 유지하려 함 => 따라서 항상 관세는 주 협상의 대상이 되어옴. - 과거 다자간 관세협상은 tariff dispersion을 축소하려는 것임. o tariff peak을 낮추는 것은 ERP완화에도 도움이 됨. - Tariff escalation(경사관세, 관세경사)은 가공단계가 높아질수록 관세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함.

  10. * 선진국의 경사관세는 개도국으로 하여금 “가공하지 않은 채로 수출”하게 하고, 이는 개도국내에서 value added의 발생을 억제하는 문제 야기 ** 특히 금속, 광물, 임산물, 어류 등 natural resource-based products의 경우 더 심각함. UR 이전 UR 이후 원재료 3.1 2.0 중간재 3.5 2.0 최종재 7.9 5.9 *** UR을 통해 절대치는 낮아졌지만 상대적으로 그 비율은 오히려 증가

  11. 2. Quantitative Restrictions(quota, VERs) • GATT하에서 여러 차례 라운드를 통해 성공적으로 관세가 낮아지면서 비관세장벽(NTBs)을 통한 보호 성행 * managed trade, 또는 administrative protection이라고 불리움 -> new protectionism ** Olechowski(1987): 같거나 유사한 국내외 재화를 차별하는 정부의 모든 관행 또는 공공규정의 의미한다고 NTBs를 정의. • NTBs는 과거 관세협상에서 다루기 어려움 o NTBs의 무역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기 어려움 -> 상호 철폐, 완화 협상이 어려움.

  12. 관세가 quota보다 경제적으로 우월한 수단이며, 이익집단들은 quota로 보호받기를 선호함. • GATT 규범 - 제11조: 원칙적으로 QR 금지(경제적 이유뿐 아니라 tariff binding 우회를 방지, but 국내생산 제한조치가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전제하에서 농산물의 경우 예외 인정) -제12조: BOP 목적 예외 인정(그러나 일시적이어야 함) - 제13조: quota는 비차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함.(MFN 위배 방지, 현실적으로 기존 시장 점유비율 고려) - 제14조: 제13조 규정의무의 면제 요청 옵션 부여 • 실제로 선진국들은 농산품 및 섬유산업 보호, 개도국들은 유치산업 보호 및 BOP 목적으로 QRs를 활용 * 70-80년대는 VERs가 anti-dumping (AD)의 위협하에 서 흔히 시행됨.

  13. Voluntary Export Restraints (VERs) - 수출국에서 수출을 제한하는 양 정부간 협상의 결과, 또는 산업간 협상의 결과일 수 있음. - 정부간 협정은 Orderly Marketing Agreements(OMAs): 법적으로 binding. - 수출수량제한뿐 아니라 최저수출가격제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음. - 국내생산자 우선(국내시장 축소시외국수출자 위험), 수출자 우선(반대), 시장분할(위험 공유) 접근 등 가능 - VERs와 import quotas는 경제적으로 유사한 결과: 다만 rent를 누가 가져가느냐가 문제 - VERs는 법적으로 모호한 조치임(수출, 수입 수량제한이라는 측면에서 GATT 11조 위반이며, 현실적으로 차별적으로 적용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MFN 위반임. 그러나 민간이 주도하게 되면 GATT 규범 밖의 문제가 됨) -> 대표적인 grey area measure임. - 양자간 합의하에 시행되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된 적은 거의 없음. - 예외적으로 1987년 EC가 미-일 반도체협정*에 대해 일본의 우회수출 및 EC 컴퓨터제조회사들의 경쟁력 약화를 우려해 “제3국 complaint”제기 -> GATT 패널은 EC의 손을 들어 줌. * 일본 국내시장에서의 외국회사 점유율 제고 노력과 일본 수출의 미국 및 제3국 최저 수출가격 설정 합의. ** 한국의 경우 1977년 영국과 TV, VCR, 1979년 일본, 대만과 함께 미국으로부터 color TV에 대해 VER 시행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