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likes | 265 Views
주간 뇌연구 동향. 2012-01-25. 한국뇌연구 원. 연구관리팀. 국내외 뇌 과학 연구 학술 동향. 01. 1. 뇌신경회로의 광학적 측정기술 개발을 통한 신경전달 경로 규명. Nature(2013), DOI:10.1038/nature11846. 기존의 방식으로는 측정 불가능했던 striatum 의 direct pathway 와 indirect pathway 의 SPN 을 구분하여 활동전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기술 개발 - 두 경로의 각 신경세포에 독립적으로 GCAMP3 을 발현하게
E N D
주간 뇌연구 동향 2012-01-25 한국뇌연구원 연구관리팀
국내외 뇌 과학 연구 학술 동향 01 • 1. 뇌신경회로의 광학적 측정기술 개발을 통한 신경전달 경로 규명 Nature(2013), DOI:10.1038/nature11846 • 기존의 방식으로는 측정 불가능했던 striatum의 direct pathway와 indirect pathway의 SPN을 구분하여 활동전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기술 개발 • - 두 경로의 각 신경세포에 독립적으로 GCAMP3을발현하게 • 하여 칼슘 이온의 농도를 형광신호로 나타나게 함 • - Time-correlated single photon counting 방식을 이용하여 • 고감도 형광신호 측정 구현 • 이 기술을 이용한 쥐의 행동 실험 결과, 행동 유발 시 위 두 경로가 동시에 활성화 된다는 사실을 최초로 • 밝혀냄 • 향후 파킨슨병 등의 원인 이해와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연구 방법 제시
국내외 뇌과학 연구 학술 동향 01 2. 알츠하이머 치료제로서의 MPL PNAS, January 15, 2013 DOI: 10.1073/pnas.1215165110 • Monophosphoryl lipid A(MPL)를 알츠하이머 쥐에게 12주 동안 매주 주사한 결과, 상당한 양의 Aβ감소와 인지 능력 향상을 보여줌 • - MPL은 LPS derived toll-like receptor4 agonist로서 vaccine adjuvant 로 사용되고 있음 • MPL이 근육주사제로서 알츠하이머의 진전을 늦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알츠하이머 백신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
국내외 뇌 과학 연구 학술 동향 01 • 3. Neuroblastoma의 유전체 조망 Nature Genetics (2013) doi:10.1038/ng.2529 Science Daily • 고위험군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의 somatic mutation을 알아보기 위해 환자 240명을 •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환자의 불과 10%정도만이 ALK mutation이며 그 외의 비중도 매우 적었음 • - PTPN11 (2.9%), ATRX (2.5%, and an additional 7.1% had focal deletions), MYCN (1.7%, causing a recurrent p.Pro44Leu alteration), NRAS (0.83%) • 예상과 다르게 대부분의 경우는 생식세포의 돌연변이나 CNV, 후천적 변이 같은 다른 변화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결론
과학 기술 정책 및 산업 동향 02 1. 힘 실린 미래과학부… 과학기술 힘세졌다 책임도 커졌다 •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우정사업본부까지 품게 돼 • - 인재 양성 및 종합대학 업무는 교육부가 그대로 수행하되 KAIST·DGIST·GIST는 • 미래창조과학부가 관할 • R&D 예산을 비롯 기초와 응용, 산학협력, 연구중점대학과 25개 정부출연연구소를 총괄 • 하는 국가 R&D 전략부처 탄생 • 출처 : HelloDD 2. 세계 제약 산업,5408개 신약개발 중 • 5408개 신약이 현재 임상 개발 중이며 그 중 70%가 신계열 치료제인 것으로 파악 • - 개발 중인 신경계 약물의 84%, 정신의학 약물의 80%가 신계열로서 혁신을 주도 • 출처 : 디지틀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