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 likes | 731 Views
Static Equilibrium. 3-6. 동서대학교 일반물리학 원격강의 연구소 제공. 물체가 움직이지 않을 조건 ?. 물체에 작용하는 힘들이 서로 비겨야 한다 !. 줄이 안 움직인다면. 두 힘은 비기고 있다. 열기구가 올라가지도 않고 내려가지도 않는다면. 중력과 부력이 비기고 있다. He is static. Why?. Answer: The two forces are balanced. 성수대교 붕괴. (1994 년 ). 정적 평형의 깨짐은 곧
E N D
Static Equilibrium 3-6 동서대학교 일반물리학 원격강의 연구소 제공
물체가 움직이지 않을 조건? 물체에 작용하는 힘들이 서로 비겨야 한다!
줄이 안 움직인다면 두 힘은 비기고 있다.
열기구가 올라가지도 않고 내려가지도 않는다면 중력과 부력이 비기고 있다.
He is static. Why? Answer: The two forces are balanced.
성수대교 붕괴 (1994년) 정적 평형의 깨짐은 곧 을(를) 의미한다. 대 형 참 사
삼풍백화점 붕괴 (1995년)
두 힘이 비긴다면 크기가 같고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이건 쉽다! 일반적으로는 셋 이상의 수많은 힘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셋 이상의 힘을 다루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삼각함수가 필요하다! ㅜ.ㅜ;
어려운 삼각함수ㅠ
조난당한 사람들이 죽는 이유는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보다는 과거의 잘못을 자책만 하기 때문!
고민은 어떤 일을 시작하였기 때문에 생기기보다는 일을 할까 말까 망설이는 데에서 더 많이 생긴다. - 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 (1872∼1970) -
삼각함수는 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함수! Remember!
삼각함수의 정의 c b θ a
피타고라스의 정리 c b a
2 h 60° 1
30° 2 1
2 1 h 45° 1
Question 4 빗변은?
두 이동(Displacement)의 합 s = ? 3 km θ = ? 4 km
힘의 분해 F θ
힘을 성분으로 나타내기 (1) • 수평성분 = 8cos30° • 수직성분 = 8sin30°
힘을 성분으로 나타내기 (2) • 수평성분 = +20cos33° • 수직성분 = -20sin33°
T T • 수직성분 비김: 2 Tsin40˚ = W ∴ T = W/(2sin40˚) 40˚ 40˚ W
수직성분 비김: 2Tsin60˚ = W ∴ T = W/(2sin60˚)
59쪽 신호등 예제 (1) • 수평성분 비김: T1 cosθ1 = T2 cosθ2 • 수직성분 비김: T1 sinθ1 + T2 sinθ2 = W T1 T2 θ1 θ2 W
삼각함수 공식 (1) • sin(A+B) = sinA cosB + cosA sinB • sin(A-B) = sinA cosB - cosA sinB • cos(A+B) = cosA cosB - sinA sinB • cos(A-B) = cosA cosB + sinA sinB 이런 공식들을 외우는 것은 금지!
삼각함수 공식 (2) • sin(A+B) = sinA cosB + cosA sinB • sin(2A) = 2sinA cosA • cos(A+B) = cosA cosB - sinA sinB • cos(2A) = (cosA)2 – (sinA)2 이런 공식들을 외우는 것은 금지!
59쪽 신호등 예제 (3) 좌우 대칭일 때 철봉에 가장 편안하게 매달리려면 어떡해야?
Free Body Diagram 중요! • 우주에이 물체 홀로 존재한다. • 그리고 몇 개의 힘이 이 물체에 작용한다.
문제 3-6-5 • 수직성분 비김: T1 sin30˚ = W ∴ T1 = 2W • 수평성분 비김: T1 T2 30˚ W
물체의 무게는 1이다.두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구하라.
조금 어려운 문제 • 각 힘의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을 쓴다. • 수평성분의 합을 0으로 둔다. • 수직성분의 합을 0으로 둔다. • 연립방정식을 푼다.
문제 3-6-9 • 빗면에 나란한 성분 비김: Wsinθ = Fe cosα ∴ Fe = W sinθ/cosα N α Fe θ W
끈과 도르레 • 끈은 오로지 당기는 힘만 제공한다. • 참고: 스프링은 척력도 제공한다 • 도르레(Pulley): 힘의 방향을 바꿔준다. • 움직도르레: 힘의 이득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