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likes | 362 Views
주요질병 발생 대응 SOP. 성균관대 의과대학 실험동물센터. Stage 1. 질병발생 확인 및 전파. 정기 모니터링을 통하여 질병 발생 확인 수시 이상동물 검사를 통하여 질병 발생 확인 발생된 질병을 분류하여 대응책 수립 발생구역을 정확히 파악 보고 - 1 차 보고 : 시설 책임자 및 센터장 관련 부서 ( 의대 행정실 , 연구소 행정지원실 ) - 공 지 : 해당 PI 및 연구자 발생구역에 대한 출입 통제 - 센터 담당 직원만 출입
E N D
주요질병 발생 대응 SOP 성균관대 의과대학 실험동물센터
Stage 1. 질병발생 확인 및 전파 • 정기모니터링을 통하여 질병 발생 확인수시 이상동물 검사를 통하여 질병 발생 확인 발생된 질병을 분류하여 대응책 수립 • 발생구역을 정확히 파악 보고- 1차 보고 : 시설 책임자 및 센터장 관련 부서 (의대 행정실, 연구소 행정지원실)- 공 지 : 해당 PI 및 연구자 • 발생구역에 대한 출입 통제- 센터 담당 직원만 출입 - 연구자 및 담당자 이외 인력 동선 관리 - 질병 분류 별 색깔 표기 및 질병발생 관련 내용 공지
Stage 2. 질병발생 구역 동물처리 • 그룹 A - 그룹 A에 해당 질병이 확인된 room의 동물은 즉시 전수 안락사 - 해당 구역은 청정화 작업을 진행 함. - 중요 동물은 사전 배아 동결 실시 • 그룹 B - 그룹 B에 해당 질병은 확인 후 1주일 내 발병된 동물을 안락사 시킴 - 해당 구역은 청정화 작업을 진행 함. - 중요 동물은 사전 배아 동결 실시 • 그룹 C, D, E - 그룹 C, D, E에 해당하는 질병은 확인 후 질병에 따라 청정화 작업을 수립하고 진행함.
Stage 3. 발생 구역 청정화 • 질병발생 구역소독 및 폐쇄- 1차 : 발생 구역 Dry fog(클리독스, H2O2) 실시- 2차 : 소독제(버콘에스, 브롬셉트, 마이크로콰트, 클리독스 등)로 사육실 소독(벽, 바닥, 천장), IVC Rack 분리 후 세정 - 3차 : 필요 시 Formalin 소독 • 질병발생 구역 폐쇄- 구역에 대한 청정화 작업이 끝날 때까지 사용 중단 • 출입자 동선 제한- 연구자 폐쇄구역 출입 금지- 담당자만 청정화 작업을 위해 출입 실시
Stage 4. 청정화 구역 동물 반입 • 청정화된 구역에 신규 동물을 반입 절차에 따라 배치 • 연구자 출입 재개 • 발생질병에 대해서 정기 모니터링을 통해 검사 지속 실시 • 1년 6개월 이상 동일 질병 미검출 시 청정화 되었음을 공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