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378 Views
코드설계와 입출력설계. 코드의 기능. 기본적인 기능. 3 대 기능. 부가적인 기능. 표준화 기능 간소화 기능. 식별 기능 분류 기능 배열 기능. 연상 기능 암호화 기능 오류 검출 기능. 코드 설계. 코드는 대량의 자료를 구별 , 동질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 순번으로 나열하며 , 특정 자료를 선별 , 수량 파악 , 간결한 표현 등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함 “ 코드는 데이터를 사용 목적에 따라 식별 , 분류 , 배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 , 문자 또는 기호이다 ”. 코드의 기능
E N D
코드의 기능 기본적인 기능 3대 기능 부가적인 기능 표준화 기능 간소화 기능 식별 기능 분류 기능 배열 기능 연상 기능 암호화 기능 오류 검출 기능 코드 설계 • 코드는 대량의 자료를 구별, 동질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순번으로 나열하며, 특정 자료를 선별, 수량 파악, 간결한 표현 등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함 • “코드는 데이터를 사용 목적에 따라 식별, 분류, 배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이다”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코드의 기능 • 표준화 기능 : 코드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기능 • 간소화 기능 : 데이터를 코드화함으로써 짧고, 간결하고, 명료화하는 기능 • 식별 기능 : 각각의 데이터를 상대에 따라 구별하는 기능 • 분류 기능 : 코드 대상이 되는 동일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기능 • 배열 기능 : 데이터를 나열하는 것을 어떤 의미를 주어 결정하는 기능 • 연상 기능 : 코드의 대상을 연상할 수 있는 기능 • 암호화 기능 : 코드 대상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게 하는 기능 • 코드사용 목적 • 함축성 : 적은 자릿수로 많은 자료 항목을 표현할 수 있음 • 고유성 : 코드는 획일적이어야 하며, 그 의미가 1:1로 대응 되어야 함 • 편리성 : 코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가 용이해야 함 • 확장성 : 자료항목의 증가로 인한 코드 추가가 용이해야 함 • 표의성 : 사람이 알기 쉬워야 함 • 독립성 : 코드 체계의 중복성을 배제하여야 함 • 용이성 : 기계 처리시 집계가 편리해야 하고, 기억과 판단이 쉬워야 함 • 코드 설계 순서: 코드화 대상 선정 → 코드화 목적의 명확화 → 코드 부여 대상 확인 → 사용 범위 결정 → 사용 기간 결정 → 코드화 대상의 특성 분석 → 코드 부여 방식의 결정 → 코드의 문서화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순서 코드(Sequence Code) • 코드화 대상 항목을 자료의 발생 순서, 크기 순서, 가나다라 순서 등과 같이 어떤 일정한 기준에 따라 일련번호를 부여 • 하는 가장 간단한 코드 분류 방법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블록 코드(Block Code) • 몇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 내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십진 분류 코드(Decimal Classification Code) • 코드화 대상 항목을 10진법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각각을 다시 10진법으로 중분류하며, 필요에 따라 계속 10진법으로 소분류하는 방법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그룹 분류 코드(Group Classification Code) • 블록 코드를 세분화한 것으로 코드화 대상 항목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 내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표의 숫자 코드(Significant Digit Code) • 코드화 대상 항목에 관련된 중량, 면적, 용량, 거리, 부피,성능 등의 구체적인 수치를 직접 코드에 적용시키는 방법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연상 코드(Mnemonic Code) • 코드 값을 보면 어떤 대상을 의미하는지를 연상할 수 있도 • 록 대상의 의미가 코드에 그대로 부여하여 작성한 코드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오류의 검출 • 필사 오류(Transcription Error) : 입력시 임의의 한 자리를 잘못 기록한 경우 발생(오자 오류) • 전위 오류(Transposition Error) : 입력시 좌우 자리를 바꾸어 기록한 경우 발생 • 체크 디지트검사 • 기본코드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만들어진 숫자를 추가하여 컴퓨터에 의해 오류를 자동으로 검사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입력 설계 • 입력 설계 순서 : 입력 정보의 발생 → 입력 정보의 수집 → 입력 정보의 매체화 → 입력 정보의 투입 → 입력 정보의 내용 • 입력 매체 장치 선택시 검토 사항 : • 시스템의 이행 방법 및 운용 비용 • 입력 정보 발생 분야에서의 업무 특성 • 입력 매체와 매체화 장치의 특성 • 출력 정보를 이용할 시점에 맞게 투입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
출력 설계 • 출력 설계 순서 : 출력 정보의 내용 → 출력 정보의 매체화 → 출력 정보의 분배 → 출력 정보의 이용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박정혜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