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likes | 278 Views
DDA 농업협상의 전망. DDA 협상의 몇 가지 사전개념. DDA(Doha Development Agenda; 도하개발 아젠다 ) 개도국의 위치 강화 UR 후속협상이고 , DDA 협상 이후에도 또 다른 협상이 있음 . 그러나 UR 협상보다는 한 단계 높은 개방화의 진전과 보조금 감축 그리고 이후의 협상에서는 더 높은 차원의 개방화와 보조금 감축 무역비중과 개방화 대상국. 진행상황 : 시장개방. 선진국의 2/3. 주요 품목의 관세. 주요 품목들이 모두 최고 관세감축 구간에 해당된다.
E N D
DDA 협상의 몇 가지 사전개념 • DDA(Doha Development Agenda; 도하개발 아젠다) 개도국의 위치 강화 • UR 후속협상이고, DDA 협상 이후에도 또 다른 협상이 있음. 그러나 UR 협상보다는 한 단계 높은 개방화의 진전과 보조금 감축 그리고 이후의 협상에서는 더 높은 차원의 개방화와 보조금 감축 • 무역비중과 개방화 대상국
진행상황 : 시장개방 선진국의 2/3
주요 품목의 관세 주요 품목들이 모두 최고 관세감축 구간에 해당된다.
진행상황 : 국내 보조금 개도국은 3구간에 해당되고 선진국의 2/3, 따라서 감축률: 30% EU와 일본은 이미 상당수준 감축을 하였기 때문에 미국이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