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

DDA 농업협상의 전망

DDA 농업협상의 전망. DDA 협상의 몇 가지 사전개념. DDA(Doha Development Agenda; 도하개발 아젠다 ) 개도국의 위치 강화 UR 후속협상이고 , DDA 협상 이후에도 또 다른 협상이 있음 . 그러나 UR 협상보다는 한 단계 높은 개방화의 진전과 보조금 감축 그리고 이후의 협상에서는 더 높은 차원의 개방화와 보조금 감축 무역비중과 개방화 대상국. 진행상황 : 시장개방. 선진국의 2/3. 주요 품목의 관세. 주요 품목들이 모두 최고 관세감축 구간에 해당된다.

Download Presentation

DDA 농업협상의 전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DDA 농업협상의 전망

  2. DDA 협상의 몇 가지 사전개념 • DDA(Doha Development Agenda; 도하개발 아젠다) 개도국의 위치 강화 • UR 후속협상이고, DDA 협상 이후에도 또 다른 협상이 있음. 그러나 UR 협상보다는 한 단계 높은 개방화의 진전과 보조금 감축 그리고 이후의 협상에서는 더 높은 차원의 개방화와 보조금 감축 • 무역비중과 개방화 대상국

  3. 진행상황 : 시장개방 선진국의 2/3

  4. 주요 품목의 관세 주요 품목들이 모두 최고 관세감축 구간에 해당된다.

  5. 적어도 한국의 쌀이 적용될 수 있음

  6. 진행상황 : 국내 보조금 개도국은 3구간에 해당되고 선진국의 2/3, 따라서 감축률: 30% EU와 일본은 이미 상당수준 감축을 하였기 때문에 미국이 문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