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3

상수도관망 일반현황 조사 - 관망진단을 위한 자료분석

상수도관망 일반현황 조사 - 관망진단을 위한 자료분석. 2007. 2. 23. 구자용 서울시립대학교. 우리나라의 물관리의 현황. 우리나라의 상수도 현황 상수도 시설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 그 동안 양적인 면에서 많은 성장을 이루어왔음 . 높아진 사회적 요구수준에 맞추어 질적인 고도화가 요구 되지만 , 상수도관망의 경우 위와 같은 요구수준을 뒷받침 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임 . 선진국과 비교해서 누수율이 높음. 선진국과의 누수율 (%) 비교. 관망관리를 위한 정보화 현황 (1).

rayya
Download Presentation

상수도관망 일반현황 조사 - 관망진단을 위한 자료분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상수도관망 일반현황 조사- 관망진단을 위한 자료분석 2007. 2. 23 구자용 서울시립대학교

  2. 우리나라의 물관리의 현황 • 우리나라의 상수도 현황 • 상수도 시설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그 동안 양적인 면에서 많은 성장을 이루어왔음. • 높아진 사회적 요구수준에 맞추어 질적인 고도화가 요구되지만, 상수도관망의 경우 위와 같은 요구수준을 뒷받침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임. • 선진국과 비교해서 누수율이높음 선진국과의 누수율(%) 비교

  3. 관망관리를 위한 정보화 현황(1) 관망 정보에 대한 GIS의 활용(이점) · 지하매설물의 효율적 관리 · 기존시설의 이력관리를 통해 상수도 시설의 계량계획 및 유사시 상황에 대처 수치지도 구축현황 · 1994년 NGIS(National GIS) 사업이 시작된 이래 7대 지하시설물에 상수도 분야를 포함 시킴 → 수치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 · 서울시의 경우 1998년 1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약 182억원투자 → 총 관로 연장 17,477km 중 14,994km를 작업완료 . · 전국적으로 상수도 관련시설 지하시설물의 수치 지도의 구축현황은 39.5% 수준이며 광역상수도의 경우는 30.8%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

  4. 관망관리를 위한 정보화 현황(2) 지역 상수도별 문제점 당면 과제 · GIS 도입시 속성자료의 항목에 대한 통일성 부족을 해결 → 지자체에서 GIS의 도입이 완료 상태에 있지 않아 계속적인 수정․보완이 필요. · 전산화, 구축단계에서부터 제작된 전산자료의 활용시에도 실무적 지식이 필요 · 수치지도화사업을 시행시 정확한 DB의 축적과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

  5. 관망에서의 수질관리 현황 잔류 염소와 소독 부산물 “수도시설의 청소 및 위생관리 등에 관한 규칙” 제2조3항: 최소 0.2mg/L 이상 유지 할 것. → 그러나 노후된 관로 및 긴체류시간을 가지는 관로에서는 수도꼭지에서 최저 잔류염소가 유지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불안전한 물을 공급. 관로의 부식과 노후화 · 관내 잔류염소의 과다소비, 잔류염소의 소진으로 인한 미생물의 재성장 등2차 오염을 유발 · 수도관 내에서의 부식, 스케일형성 등 녹물 발생에 따른 수돗물 불신과 통수단면을 감소 → 수압이 저하로 인한 문제 발생. 관망 수질관리 현안 - 관망에서의 수질 항목별 검사기준의 설정 - 검사지점의 합리적 선정(정체지역 및 관말지역에 대한 수질검사지점 선정) - 배수시스템의 크기 및 특징 등을 충분히 고려한 검사지점 및 개수의 선정 - 필수검사지점의 확대 - 옥내배관의 영향을 고려하는 검사기준의 설정 - 수질검사여건의 강화 - 수질모델의 수행 - 수질검사결과에 대한 종합분석 - 수질사고에도 조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관망 설계, 운전 - 비상사태에 대응할 수 있는 대응력 강화 - 주기적인 관망의 상태 진단

  6. 관망에서의 수량 및 수압관리 현황 수압관리 수량 및 수압관련 제시 기준 표

  7. 상수도 관망의 관리상의 문제점 상수도 관망에 대한 합리적인 기술진단의 부재 · 문제 개선을 위한 문제의 정확한 파악 중요→ 국내실정에 적합한 진단기술 부재 연구 노력의 부족 · 상수도 관망 전체를 통괄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술 및 지원 필요. 진단활용을 위한 기초자료의 구축 · 구축된 기초 자료를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필요. 담당인력의 전문성 부족 · 전문성이 부족으로 인한 과학적 판단 결여, 비상시 효율적 대처 미비 지자체 자체의 기술개발의지 부족 · 예산 및 인원부족으로 인한 한계성 → 상수도의 중요성에 대한 적극적 투자 필요. 시민에 대한 홍보전략 부족 · 관망 관리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을 통해 공급과정의 중요성 인식

  8. 상수도 관망관리를 위한 현황조사의 국내ㆍ외 사례 • 미국 • “배수시스템의 성능평가(1995)-미국수도협회연구재단(AWWARF) • -성능평가를 위해 필요한 기준과 방법 제시, 상수도관의 개량공사 및 의사결정 • 수단으로 이용 배수시스템의 성능기준과 성능측정간의 상호 보완관계 종합적인 성능평가 필요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9. 상수도 관망관리를 위한 현황조사의 국내ㆍ외 사례 • IWA • 국제물학회(IWA)는 수자원관리지표, 인력관리 지표, 물리적인 지표, 운전관리 지표, 서비스 품질 지표 및 경제성 지표의 총 6가지 대분류 하에 133가지의 성능지표를 개발하여 제시함.(Alegre 2000) • 매우 다양한 성능지표를 사용함으로써 각 수도사업자들이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줌. ● 각 분류별 등급별 제시된 성능지표수(1st Edition) 매우 많은 수의 지표를 상세히 제시하였으나 기준값을 제시하지 않았고, 결과를 해석하고 활용하는 것은 각 국가별로 적절히 수행해야 한다고 언급함

  10. 상수도 관망관리를 위한 현황조사의 국내ㆍ외 사례 • 일본 • 도ㆍ송ㆍ배수시스템 평가방법 • - 일본수도협회 및 수도기술연구센터에서 사용 및 운용 • - 소비자의 요구에 기초한 상수도 서비스 향상과 시스템 개선 대책방안 검토가 • 주 목적임. • - 각 지역특성에 맞는 시스템 구축 ● 일본의 도ㆍ송ㆍ배수시스템의 평가항목 ● 최근에는 업무지표(Performance indicator)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11. 현재, 지하 매설물을 관리하고 있는 제도적 장치는 수도법, 송유관사업법, 도시가스사업법, 전기사업법 등으로 다원 적용되고 있음. 배관건전성 관리 (Pipeline Integrity Management) 배관검사 (Inspection) 배관검사 (Monitoring) 위험관리 (Risk Management) · UT, RT ·위험인자 (Risk Factor) · In-line Inspection ·평가 (Assessment) - Risk Driver · Fitness for Purpose (사용적합성 평가) ·위험도서열화(RiskRanking) ·이력자료 DB화 · Excavation 방식시스템관리 피복관리 관로순찰 ·방식전위 점검 - P/S 전위 (매 TB) - CIPS (On, Off 전위) ·피폭결함 조사 (DCVG법) ·관로순찰 - 관로이상 유무 - 배관표시물 점검 ·피복보수 ·간섭조사 –직류/교류 간섭 ·토양부식환경조사 - 비저항, 수분함량 ·굴착공사 감시 ·방식설비 점검 - 정류기,배류기, 절연설비 ·가스 누설검사 ·기타 - 강제케이싱 절연점검 등 타업계의 기술 진단 지하 매설물에 대한 법령 도시가스

  12. 상수도관망 기술진단의 개념 • 상수도관망의 목적 • 정수시설로부터 최적으로 처리된 물을 실소비자에게 안전한 수질, 안정적인 수량 및 적정한 수압으로 공급하는 것 • 안전한 수질: 수질기준에 적합하게 정수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중에 관로상의 문제에 기인하여 악화된 채로 공급하지 않는 것 • 안정적인 수량: 평시에 급수구역내의 모든 사용자가 일최대수요량이 발생하는 날의 시간최대수요량을 사용할 때에도 수량의 부족함이 없도록 하는 것 • 적정한 수압: 평시에 급수구역내의 모든 사용자가 일최대수요량이 발생하는 날의 시간최대수요량을 사용할 때에도 직결급수 지역의 경우 급수분기점에서의 최소동수압 1.53kgf/cm2을 만족하고, 물사용이 가장 적은 야간최소유량 발생 시에 최대정수압이 7.1kgf/cm2이내에 들어오도록 하는 것수압의 주야간변동, 가압펌프의 가동/중지에 의한 변동, 수격압 등으로 인하여 관로 및 부속시설의 손상이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것

  13. 상수도관망 기술진단의 개념 • 정상적인 상태(평시)와 비상시의 관리 •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의 세가지 측면에서 최적의 조건을 만족해야 함 •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이보다는 완화된 조건으로 최소한도로 유지해야 하는 수준을 별도로 정하여 수질, 수량 및 수압을 관리

  14. 상수도관망 기술진단의 개념 • 기술진단의 물리적 범위 • 정수장 이후의 송배수시설 및 배수관의 급수분기점으로 부터 수용가계량기까지의 급수장치 • 계량기 안쪽 옥내급수관에 대하여는 관리방법과 특성, 소유주체가 다르므로 별도의 접근방법이 필요함

  15. 기술진단의 필요성 및 방향성 • 기술진단의 법제화(시행됨) + 과학적, 합리적 기술진단 매뉴얼개발 필요 • << 기술진단 매뉴얼 << 실측 데이터 구축 • << 기술지원 프로그램

  16. 상수도통계의 목적 건전한 상수도 이룩 연구자 사용자 ☞ 상수도발전을 위한 ☞ 공급받는 수돗물에 과학적 연구 , 대한 정보제공 첨단기술기발

  17. 현행 상수도통계의 문제점 • 정확도의 부족 (수치오류) • 자체 모순 존재, 지자체 자체통계와 상이한 점 : 검증체계필요 • 업무의 중복, 과다 • 자체통계업무, 기술진단업무, 평시운전관리 등에 공통적으로 활용되어 업무가 중복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음→체계적관리시스템 도입 필요 • 발간시기의 지연 • 시기적절한 활용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기준년도부터 1-2년소요되는 발간시기를 단축할 필요가 있음 • 활용성의 부족 •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석에 필요한 항목들 새로 추가필요.예) 정수장의 평가 시설용량 산정, 실질적인 첨두유량, 개별급수전 등 • 용어정의, 산출방법의 통일 등으로 국내 수도사업자 및 국제적 데이터와 수평적 벤치마킹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예) 급수전당 손실량, 누수평가지표 등 • 다른 사회통계, 경제통계, 인구주택총조사 등과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필요항목을 추가하여 조사하는 것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18. 상수도 통계의 목적 및 개선 추진방향

  19. 정 책 제 언 • 향후 정책방향 제언 • 통계작성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 필요 • 틀이 개선되고, 새로운 항목이 증가하여도 부정확하거나 무의미한 값이 조사된다면 아무런 소용이 없음 • 통계자료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예산을 지원하거나 인센티브를 주는 방법들을 정책적으로 마련 • 장기적으로 수도사업자의 업무와 통계작업이 따로 수행되는 현 체제를 개선해야함 • 중앙정부 차원에서 수도사업자가 업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전산 시스템 구축 • 이러한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본 업무와 통계작업이 자연스럽게 조화되도록 해야함 • 중앙정부가 모든 지원을 하기 어렵다면, 각 지방자치단체의 수도사업자들이 연합하여 공통되고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는 방법도 하나의 방법임

  20. 상수도관망 기술진단의 개요 • 기술진단의 목적 • 정수시설로부터 최적으로 처리된 물을 실소비자에게 ‘안전한 수질’, ‘안정적인 수량’ 및 ‘적정한 수압’으로 공급하고자 하는 ‘상수도관망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할 수 있도록 상수도관망의 현재 상태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개선의 방법을 도출하는 것 • 기술진단의 대상 • 물리적 대상: 정수장 이후 송배수시설 및 배수관의 급수분기점으로부터 수용가 계량기까지 • 기능적 대상: 시설물의 물리적 성능과 수도사업자의 운전관리 성능 • 기술진단의 주체 • 수도사업자, 기술진단 대행기관(환경부령으로 지정) • 기술진단의 수준 • 일반 기술진단(군단위 이하지역), 전문 기술진단(시단위 이상지역)으로 분류 • 기술진단의 주기 • 의무시행: 5년, (사업자 자체 진단은 수시로 할 수 있음, 비의무사항)

  21. 수준별, 지표별 상수도관망 기술진단 방법 • 평가의 기준치로 사용할 배경데이터가 현재 전무 상수도관망 기술진단 방안 연구에서는 • 추천 진단항목 제시, 항목별 간략한 설명, 계산법 제안 • 기술진단 수준별 전체적 윤곽만 구성하여 제시함기술진단 매뉴얼 개발은 전국적 배경데이터 조사와 함께 별도로 진행되어햐 함 • 기술진단의 전제조건 • 정확한 관망도가 필요함 • 정확한 관망도 구축 – 관망도 전산화 – GIS 시스템으로 구축(환경부훈령 상수도유수율제고업무처리규정) • 블록화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 • 전체 급수구역을 대.중.소블록별로 분리하여 블록별로 기술진단 • 미구축 지자체는 단계적으로 계획을 세워 추진(환경부훈령)하고, 블록화를 추진하면서 전체급수구역에 대한 기술진단 부터 시행

  22. 기본데이터 구축 • 데이터 구축 단위 • 상수도관망의 관리는 블록 단위가 기초이므로 상수도사업자가 담당하고 있는 전체급수구역 단위 혹은 행정구역 단위로의 통계자료가 아니라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블록별로 데이터를 구축해야 함 • 자료의 특성상 블록별로 구축되기 어려운 자료는 전체구역별로 작성 • 블록시스템이 전혀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급수구역(지자체 단위)에 대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추후 블록시스템이 완성되면 작은 단위의 블록별로 데이터를 구축하도록 함 • 기본 데이터 리스트 • 면적: 급수면적, 유효급수면적, 주거용건출물연상면적, 비주거용건축물연상면적을 구분하여 기록 • 인구: 총인구, 거주급수인구, 비거주급수인구을 구분하여 기록 • 수도사용자(고지서수) : 가정용, 업무용, 영업용, 욕탕용, 산업용, 기타 • 급수전: 단독계량기, 주계량기, 주계량기에 딸린 세대별계량기 – 용도별, 구경별, 설치년도별로 기록 • 수도관연장: 송수관, 배수관, 인입급수관, 사유지내 인입급수관을 관종, 관경, 매설년도별로 총연장을 기록

  23. 기본데이터 구축 • 기본 데이터 리스트 • 급수분기점: 배수관에 설치된 사용분수전, 폐쇄분수전을 구분하여 기록 • 소화전: 모든 종류의 소화전 • 제수밸브: 운영경계밸브, 비운영경계밸브, 중간밸브로 구분하여 기록 • 시스템유량계: 생산량 유량계, 배수지유출유량계, 구역유량계를 구분하여 기록 • 배수지: 배수지 수, 총시설용량, 총저류시간 • 가압장: 가압장의 수 및 총용량(kW) • 급수방식: 자연유하식 급수구역, 자연유하식 급수사용자, 가압 급수구역, 가압 급수사용자, 혼합 급수구역, 혼합 급수사용자를 구분하여 기록 • 급수압: 고지대 야간최대정수압, 고지대 주간최소동수압, 저지대 야간최대정수압, 저지대 주간최소동수압, 지역평균운전수압를 구분하여 기록 • 급수량: 블록별 유입량 • 부과량: 블록별 가정용, 업무용, 영업용, 욕탕용, 산업용, 기타용 요금수량 및 전체급수구역에서의 분수유출량 • 비부과량: 계량기오차량, 수도사업용수량, 공공수량, 부정사용량, 조정감액수량

  24. 기본데이터 구축을 위한 자료항목 • 기본 데이터 리스트 • 부과액: 가정용, 업무용, 영업용, 욕탕용, 산업용, 기타로 구분하여 기록 • 누수관리: 누수사고건수 및 누수추정량을 민원 신고 및 자체탐지로 구분하여 기록 • 이와 별도로 누수복구처리대장에 발생위치, 누수징후포착일시, 위치파악일시, 복구종료일시, 관경, 고나종, 누수공크기, 추정손실량, 복구전수압, 복구후 수압, 담당자 기록하여 보관 • 야간유량: 블록별로 야간최소유량, 야간사용량(수정옵션A), 배경야간손실량(옵션B) • 별도로 야간최소유량 작업 기록지 보관 • 단수: 공지된 단수, 비공지 단수를 구분하여 단수일시, 단수지속시간, 단수이유, 단수영향인구 기록 • 수질: 수질검사 항목별 측정결과 및 기준치 초과건수 기록 • 별도로 각 수질측정점에서의 수질검사 항목별 측정결과, 측정일시, 분석자를 기록하여 보관 • 민원: 사용자책임, 수도사업자책임으로 구분하여 수질관련민원, 출수불량민원, 단수관련민원, 누수관련민원 및 기타 항목으로 기록 • 별도로 민원접수 및 처리대장에 접수일, 주소, 민원인, 연락처, 민원내용, 원인분석, 처리결과, 처리일시를 기록

  25. 일반 기술진단을 위한 자료 항목 • 구축된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역별 진단 시행 • 관로연령 • 배수관 평균연령 = ∑ [각 배수관 연령×해당 배수관 연장 ] / 총 배수관 연장 • 인입급수관 평균연령 = ∑ [각 인입급수관 연령×해당 인입급수관 연장 ] / 총 인입급수관 연장 • 시설밀도 • 유효밸브밀도 = [전체 제수밸브 수 - 운영 경계밸브 수]/ 총 배수관 연장 • 소화전밀도 = 소화전의 수/총 배수관 연장 • 구역유량계밀도 = 구역유량계 수(혹은 동등유량계 수)/1000개 급수전 • 연간점검율 • 펌프점검율 = 연간 점검된 펌프의 수/총 펌프의 수 • 펌프점검주기 = 최근 펌프점검일시 - 그 이전의 펌프점검일시 • 배수지청소율 = 최근 5년간 청소한 배수지 시설용량/5/총배수지시설용량 • 배수지 청소 주기 = 최근의 청소일시 - 그 이전의 청소일시 • 밸브점검율 = 점검된 제수 밸브 수 / 총 제수밸브 수

  26. 일반 기술진단을 위한 자료항목 • 기기보정 • 구역유량계 보정율 = 연간보정된 구역유량계 수/총 구역유량계 수 • 구역유량계 보정주기 = 최근의 보정 일시-그 이전의 보정 일시 • 수압계 보정율 = 연간보정된 수압계 수/총 수압계 수 • 평균 수압계 보정주기 = ∑각 수압계의 최근 보정 주기/블록내 수압계 수 • 수위계 보정율 = 연간보정된 수위계 수/총 수위계 수 • 수위계 보정 주기 = 최근의 보정 일시 - 그 이전의 보정 일시 • 수도관 개량 및 교체 • 배수관 개량율 = 연간 개량된 배수관의 연장 / 총 배수관 연장 • 배수관 교체율 = 연간 교체된 배수관의 연장 / 총 배수관 연장 • 인입급수관 교체율 = 연간 교체된 인입급수관의 연장 / 총 인입급수관 연장 • 물손실 • 유수율 = 유수수량 / 공급량 혹은 유수율(금액) = 부과액 / 생산비 • 무수율 = 유수수량 / 공급량 혹은 무수율(금액) = 비부과액 / 생산비 • 급수전 당 명목손실량 = [부정사용량 + 계량기불감수량]/급수전 수 • 급수전 당 실손실량 = 무효수량/급수전 수 • 급수전 당 무수수량 = 무수수량/급수전 수

  27. 일반 기술진단을 위한 자료항목 • 관로사고 • 배수관 사고건수 = 배수관 사고건수 / 총 배수관 연장 • 배수관 누수량 = 배수관 누수량 합 / 총 배수관 연장 • 연장 당 인입급수관 사고건수 = 인입급수관 사고건수 / 총 인입급수관 연장 • 급수전 당 인입급수관 사고건수 = 인입급수관 사고건수 / 총 급수전 수 • 연장 당 인입급수관 누수량 = 인입급수관 누수량 합 / 총 인입급수관 연장 • 급수전 당 인입급수관 누수량 = 인입급수관 누수량 합 / 총 급수전 수 • 수질검사 • 수질검사시행율 = 실제 수질분석 시료 수 / 법정 수질분석 시료 수 • 수질검사 개소밀도 = 수질검사 지점 개소수 / 급수인구 • 수질불합격율 = 각 수질인자별 불합격된 시료수 / 전체 시료수 • 단수 • 단수영향인구비율 = [단수영향지역 거주인구 × 연간 총 단수시간 ] / [총 급수인구 × 24 × 365 ] • 단수일수율 = 해당 구역의 연간 총 단수시행 일 수 / 365 • 민원 • 수질관련민원, 출수불량민원, 단수관련민원, 누수관련민원= 각 민원건수 / 총민원건수

  28. 일반 기술진단 후 조치를 위한 자료항목 • 일반 기술진단에서 문제가 추정되는 지역에 일반 기술진단 후 조치를 시행하고 개선계획 수립하여 개선시행 • 진단 결과를 우수, 양호, 보통, 불량, 심각으로 판정하고 전문가 의견 기록 • 적정급수압 • 정밀연속수압기록계 여러개를, 수압취약지구에 설치하여 1주일간 모니터링하면서 적정급수압 유지여부, 수격압 혹은 부압 발생 여부를 검토 • 정밀한 관망해석에 의해 예측수압과 실측수압을 비교하고 차이가 심한 경우 원인 조사 • 물손실 • 유량계 정확도 보정 시행, 검침원 여러명 추가근무하여 하루에 블록내 모든 계량기 검침, 급수분기점조사, 지역평균운전수압 조사, 사유지내 인입급수관 연장 조사 • ‘급수분기점 당 지역평균수압 당 실손실량’ 산정 • UARL(허용실손실량) 및 ILI (누수평가지표) 산정 • 누수위치 탐사 및 복구를 시행할 것인지 전면적 개량작업에 들어갈 것인지 판단

  29. 일반 기술진단 후 조치를 위한 자료항목 • 야간최소유량과 기준허용야간유량의 비율 • 수정옵션A검사에 의해 정상/비정상 및 가정/비가정 야간사용량 조사 • 옵션B검사에 의해 배경야간손실량 조사 • 지역평균야간수압 조사 • 해당 구역의 기준허용야간유량과 실측 야간최소유량을 비교 • 발견되지 않은 파열이 있는지 미량 누수만이 존재하는지 판단 • 야간청음/상관식 누수탐사 및 복구 • 물손실 계산과 야간최소유량 조사로 부터 파열 누수의 징후가 확인되면 해당구역의 누수 위치 파악 및 복구를 시행함 • 수질 재분석 및 수질모델 • 수질불합격 판정이 나타난 지점, 유입지점, 예상 취약지점에서 수개 샘플을 채취하여 재분석 • 관망에서의 수질모델 분석을 수행하여 실측값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체류시간이 과도한지 검토, 오접오염의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

  30. 전문 기술진단을 위한 자료항목 • 5년마다 종합적으로 기술진단 –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반영 • 일반기술진단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아래의 내용을 추가함 • 블록화의 완전성 • 관망도와의 일치, 무작위 현장 조사로 경계 확인 • 수압관리의 적정성 • 적정급수압여부, 기준외의 수압으로 급수받는 수용가, 순간수압변동, 부압발생, 감압변 운전상태, 감압변의 위치, 관망해석에 의한 수압분포, 설계시의 C계수 적정성 등 조사 • 수량관리의 안정성 • 구역유량계의 정확도검사, 배수지 체류시간, 동시 물사용 시간의 출수불량 여부 현장조사, 배수지 계통간의 수량분해, 양수펌프 작동 스케쥴의 적정성 등

  31. 전문 기술진단을 위한 자료항목 • 수질관리의 안정성 • 기본 측정지점에서의 시료 채취후 공인 분석기관에 의뢰하여 분석, 최약지구에서 추가 시료 채취, 배수지 소독능, 급수과정 별의 수질 검사 결과, 개소수, 수질 검사 지점의 적정성 조사 • 물리적 성능 • 관로 노후도 평가, 사고의 위험도 평가, 수리성능 저하도 평가, 부식환경 평가, 필요시 관체 채취하여 실측, 구조물 안전 평가 등을 종합하여 진단 • 비상시의 대응성 • 중간밸브 적정설치여부, 단수지역 최소화 계획, 가압장의 예비전력, 배수지 수량여유율, 블록간 연락관, 비상 유량 분배시의 수량 및 수압 저하, 소화전 유출량 및 수압의 유지 등 조사 • 기술진단의 결과를 종합하여 장/단기적 대책 제시 •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반영되도록 개선전략 수립

  32. 기술진단제도 도입을 위한 자료구축 방안 • 기술진단제도 도입 방안 • 1단계(준비단계) • 정확한 관망도를 제작하고, 블록시스템으로 급수구역의 경계 결정 • 소블록으로 구축하지 못하면 중블록, 대블록 단위라도 급수구역의 경계 결정 • 블록화되지 않은 지자체는 계획을 세우고 점차적으로 블록화 시스템을 구축 Cf. 유수율측정블록(1등급), 야간유량측정블록(2등급), 임의경계블록(3등급) 등의 블록 수준별로 구축할 수 있음 • 2단계(기본 데이터 구축, 일반기술진단 매뉴얼 작성) • 구축이 완료되는 수도사업자(특광역시, 대도시 등)는 법령 시행 후 바로 일반 기술진단을 시작 • 준비가 안된 지자체는 정확한 관망도 준비, 블록시스템 구축, 기본 데이터 준비 • 동시에 기술진단 매뉴얼 작성의 기초가 되는 배경데이터 구축 및 일반 기술진단 매뉴얼 작성

  33. 기술진단제도 도입을 위한 자료구축 방안 • 3단계 (일반 기술진단을 의무적으로 시행, 전문기술진단 매뉴얼 작성) • 모든 수도사업자가 법령시행 후 4년 이내에 일반 기술진단 시행하여 결과를 보고(이후부터 군지역은 일반 기술진단을 5년마다 시행) • 특광역시, 일반시는 전문진단을 준비 • 구축된 배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비 전문 기술 진단 매뉴얼을 작성 • 시범적으로 몇 시스템에 전문 기술진단 적용 시도 • 4단계 (전문 기술진단을 정착하는 단계) • 계속 구축되는 배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문 기술진단 매뉴얼을 완성 • 시범사업으로 문제 보완 등을 완료 • 전문 기술진단을 시작할 지자체들에게 적용 • 특광역시 및 일반시는 법령 시행 후 5년 이내에 전문 기술진단에 착수하고 5년 마다 시행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