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likes | 436 Views
컨텐츠 생산자 주도형 DL 구축. - 한국문학도서관 구축 사례. 차 례. 성격과 현황 설립 목적과 주요 사업 구축 과정과 구조 전망과 계획. 성격과 현황. 한국문학도서관의 성격과 현황. 성 격. 기존 도 서 관. 새로운 정보 저장 및 제공 방식 최소 투자 최대 효과. 시공간의 제약 극복 상호 생산적 시스템 전송권 보호. 기존 전자 도서관. 종이책 보관 도서 열람. 한국 문학도서관. 개 요. 개 업 : 2000. 11. 28( 자본금 6 억 7 천만원 )
E N D
컨텐츠 생산자 주도형 DL 구축 -한국문학도서관 구축 사례
차 례 • 성격과 현황 • 설립 목적과 주요 사업 • 구축 과정과 구조 • 전망과 계획
성격과 현황 한국문학도서관의 성격과 현황
성 격 기존 도 서 관 • 새로운 정보 저장 및 제공 방식 • 최소 투자 최대 효과 • 시공간의 제약 극복 • 상호 생산적 시스템 • 전송권 보호 기존 전자 도서관 • 종이책 보관 • 도서 열람 한국 문학도서관
개 요 • 개 업: 2000. 11. 28(자본금 6억 7천만원) • 주 소 :제주시 이도2동 315-14 제주지식산업진흥원 내 • 보유장서 :입력 도서 1만 5천권, 회원 소유 20만권 전송권 확보 • 회 원 :작가와 문학연구자 15.000명/ 일반회원 23.000명 • 열람자수 :총 700만명 (1일 7.000명~10.000명) • 인 지 도 :사이트 평가 업체 전자도서관 부문 1~4위(zAAo, Rankey)
주요 페이지 메인 페이지 문학도서관
주요 연혁 • 1999. : 한국문학도서관 설립추진위원회 결성, 협력단체 확보 • 2000. : 시스템 구축과 자료 입력 • 2001. : 한일시인대회 등을 통한 국제기반 구축 • 2002. : <국립중앙도서관> 전자책 2000권 납본, 주식회사로 개편 • 100여개 대학 120여명 교수로 “학술 DB 구축위원회” 조직 • 2003. : <제주대학교>와 협력 약정 체결, 문학작품집 7000권 기증 • <국제펜클럽한국본부>와 “작고문인 DB”구축 합의 • 뷰어 없는 전자책 프로그램 개발 및 소장 자료 개조 • 2004. : 해외 한국학 관련 학과 및 연구 기관에 자료 링크 사업 추진 • <한양대학교>와 자료 공동 입력 약정 체결 • 공공 도서관 및 대학 도서관에 전자책 보급 사업
설립 목적과 주요 사업 한국문학도서관의 설립 목적과 주요 사업
설립 이념 • 모든 필자에게 무한한 발표의 자유를 • 모든 독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골라 읽을 기회를 • 천년 뒤 후손들에게까지 오늘날의 문학 유산을 • 물려준다
설립 목적-계속 • 개인 저작물의 보존 및 계승 • 창작의 지면 + 작품 발표 공간 + 판매의 기회의 통합 • 전송권 보호와 전송 수익 배분 컨텐츠 생산자의권리 보호 • 시간과 공간 제약의 극복 • 자료 검색 및 수집에 드는 시간과 비용 절감 • 다양한 자료의 열람과 이용 컨텐츠 수요자의 욕구 충족 • 실시간으로 생산되는 컨텐츠 공개 및 축적 • 2차 컨텐츠 생산의 근간 마련 컨텐츠의 지속적인 축적 및 재생산 기능
주요 사업과 특징 국내 최대 한국어문학 디지털 도서관 문학의 생활화를 실현하는 도서관 • 한국문인과 연구자 ¾이 회원으로 동참 • 전자 도서관 순위 1위~4위(참조: zAAo.com, Rankey.com) • 모든 회원에게 무한 용량 홈페이지 무료 제공 • 메일링 서비스
주요 사업과 특징-계속 자가발전식으로 운영하는 도서관 한국문학을 세계에 알리는 도서관 • 관리자와 회원이 함께 자료를 입력하고 수정하는 시스템 • 전송 수익 발생시 40% 배당 • 2004년부터 전 세계 대학 한국어문학과에 한국문학자료 제공 추진 • 현재, UCLA의 East Asian Library, 하와이 대학의 Center for Korean • Studies, 뉴질랜드 Victoria대학의 Asian Studies Institute, 독일의 • 함부르그 대학, 본 대학 등과 협정 추진 중
한국문학 도서관의 구축 과정 한국문학도서관의 구축 과정과 구조
구축 과정 작가 연구자 회원가입 회원가입 유족접촉 개인서재 전송권 위임 전송권 위임 전송권 위임 한 국 문 학 도 서 관 DB 학회 문학단체 홈페이지 작고문인 개인서재
개인 서재 개별작품관 문학도서관 35.000 여 개 개인 서재 학술도서관 • 회원이 컨텐츠 입력 • 전송 수익 발생 시 40% 배당 • 현 15.000여권의 저서+ 73.000 • 편의 낱편 작품 • 창작의 공간 • 발표의 공간 • 저서 보관의 공간
구조 시의향기로여는 아침 보도국 현역 문인 DB 멀 티 예술센타 전자책관 작고 문인 DB 사이버 문예대학 문학 도서관 학술 도서관 저널 도서관 개별 작품관 웹 진
기타 서비스-시의 향기로 여는 아침 • 회원들의 시+음악+그림 메일서비스 • 자원 봉사자들에 의해 • 2001. 10월부터 현재까지 • 월~토요일 아침마다 회원들에게 배달 • 현재 35.000명 회원이 수신
기타 서비스-웹진 • 도서관 회원들의 작품 소개 • 2002. 3월부터 매달 1일 발간 • 자원 봉사자들에 의해
컨텐츠 현황 창작집 71% 논문 23% 학술서적 7% • 전송권 계약을 맺고 입력한 단행본: 1만 5천여권 • 미 간행 개별 작품: 7만 3천 여편 • 향후 입력할 기 발행 단행본: 10만여 권 • 수집하여 입력할 기 발행 단행본: 10만여 권
컨텐츠 현황 계속 시 53% 소설 16.2% 이론 10.1% 기타 20.7% • 저장 형태 • Tiff, Hwp, Exe, html
한국문학도서관의 전망과 계획 한국문학도서관의 전망과 계획
전송권 상황 공공 도서관 도서관 정보화계획 민간 구축 DB 연결 • 저자의 지적 재산권 침해 • 자료적 가치가 있는 저서 누락 출판업계 KERIS 논문 공유 학교 도서관 2000년 이후 전송권 계약 • 개인의 지적 재산권 침해 • 자료적 가치 있는 저서 누락 출판사와 전송권 계약 저작권 추척 곤란한 도서 중심 전자책업계
한국문학도서관의 가능성 정부 및 공공 도서관 업 계 자료 확보 곤란 이해관계 조절 곤란 위헌의 위험 한국문학도서관 생존문인 70%와 직접 전송권 계약 맺음 문단과 학계 인프라 이용 가능
회원 문학단체 계획 중인 사업 전송권 확보 DB 구축 작고문인 유족 협력 대학 한국문학도서관 자료수집 작고 문인 DB 완성
계획 중인 사업-계속 현역 문인 DB 현역 문인 DB 작고 문인 DB 작고 문인 DB 함께 쓰는 문학사 연표 • 새로운 문학사적 사건 및 자료 자동 삽입 • 서명,필자,주제,발표년도,발표지,관련자료 검색 • 원문 보기 가능
해결해야 할 문제 • 경영 혁신 지속적인 자료 확충 수익 분배 홍보 수익모델 창출 합리적인 경영 도서관의 설립 취지 • 설립 과정: • 대학 교수의 사재로 구축 • 시작 • 2002년 주식회사로 전환: • 국립중앙도서관에 자료를 • 납본하고 수령한 금액을 동 • 참을 원하는 문인들에게 배 • 당
해결해야 할 문제-계속 • 기술 지원 지속적인 자료 확충 수익 분배 지속적인 자료 확충 수익 분배 • ㈜Zeneric • 2000년부터 시스템과 기술 • 제공 • 현재까지 무상으로 서버 • 제공 및 관리 검색 솔루션 저작권 보호 기술 안정적인 서버와 시스템 도서관의 설립 취지
나아가야 할 방향 지식 정보화 지식 정보화 정책적 재정적 지원 정 부 기술적 기 업전략적 지원 도서관 자료제공 자료 표준화 한국문학도서관 전송권 확보 및 관리
감사합니다. • URL : http://www.kll.co.kr • 주소 : 제주시 이도2동 제주지식산업진흥원 303호 • 전화 : (064)756-2265, 753-2265 • 팩스 : (064)723-2265 • 메일 : admin@kll.co.kr, windnamu@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