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산업계의 효율적인 에너지수급구조 구축방안

산업계의 효율적인 에너지수급구조 구축방안. 김 정 인 ( 중앙대학교 산업경제학과 , jeongin@cau.ac.kr). 목 차. I. 서론. II. 한국의 에너지 소비 구조. Ⅲ . 유가 상승과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IV. 에너지 효율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과 기업 경영. V.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 2 -. I. 서론. 메릴린치의 WTI 기준 향후 30 일간 국제원유 가격 전망치는 26.26 ∼ 33.00 달러선. Asian Wall Street Journal 전망 :

ranee
Download Presentation

산업계의 효율적인 에너지수급구조 구축방안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산업계의 효율적인 에너지수급구조 구축방안 김 정 인 (중앙대학교 산업경제학과, jeongin@cau.ac.kr)

  2. 목 차 I. 서론 II. 한국의 에너지 소비 구조 Ⅲ. 유가 상승과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IV. 에너지 효율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과 기업 경영 V.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2-

  3. I. 서론 메릴린치의 WTI기준 향후 30일간 국제원유 가격 전망치는 26.26∼33.00달러선 • Asian Wall Street Journal 전망 : • 유가 5달러 상승 시 아시아 국가 중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나라는 한국과 중국 • 한국의 경우 GDP의 0.9%가 하락하고 물가는 0.8% 상승할 것으로 전망 • 중국의 경우GDP는 0.4% 하락하고, 소비자 물가는 0.4% 상승 전망 • 유가상승은 물가상승, 성장률 둔화,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무역 수지 악화 등 • 경제위기를 벗어나려는 한국경제에 3중고를 초래 -3-

  4. 1990 1995 1999 2001 원유 6,462 10,825 14,784 21,368 석유제품 2,547 4,440 3,651 5,477 LNG 481 1,124 2,070 4,030 총 계 10,926 18,646 22,674 33,348 에너지/총수입(%) 15.6 14.4 19.4 23.7 수입의존도(%) 87.9 96.8 97.3 97.3 II. 한국의 에너지 소비 구조 주요 에너지 소비 구조와 에너지 수입액 ( 단위 : 백만 달러 ) -4-

  5. II. 한국의 에너지 소비 구조 각국의 발전량 당 에너지 소비량 -5-

  6. II. 한국의 에너지 소비 구조 •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최종에너지 수요전망 : • - 2010년에 최종에너지 수요가 209.1천만 TOE • 2020년 231.7천만 TOE, 2030년 250.0천만 TOE가 될 것으로 예상 • -부문별 산업·가정부문의 비중이 점차 감소 • 상업·공공부문의 비중은 점차 증가 • ( 특히 상업부문의 수요는 서비스산업의 고성장 • 전망기간 중 연평균 4%증가할 것으로 전망 ) - 1981년 ~ 1999년 동안 제조업 부가가치 5.1배 증가 에너지 소비는 4.5배 증가 •제조업 전체의 에너지 원단위: - 1981년 0.573TOE/백만원 ~ 1999년 0.508TOE/백만원으로 연평균 0.7% 감소 -6-

  7. 요 인 1981 1985 1990 1995 1999 연평균 변화율 82-90 91-99 82-99 부가가치 1.00 1.49 2.65 3.97 5.10 11.4% 7.5% 9.5% 업종별원단위 1.00 0.72 0.72 0.82 0.95 -3.5% 3.0% -0.3% 산업구조 1.00 1.05 1.07 1.09 0.94 0.7% -1.4% -0.4% 에너지소비 1.00 1.13 2.05 3.56 4.52 8.3% 9.2% 8.7% 원단위변화 1.00 0.76 0.77 0.90 0.89 -2.8% 1.5% -0.7% 에너지원단위 (TOE/백만원) 0.573 0.435 0.443 0.513 0.508 II. 한국의 에너지 소비 구조 제조업 에너지소비 변화요인 분석 ( 단위: 지수, 1981=1.00 ) -7-

  8. 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연평균 시나리오 I 27-30 23-25 17-20 19-21 21-23 시나리오 II 26-28 24-26 23-25 25-27 24-26 시나리오 III 29-31 34-36 30-33 27-29 30-33 Ⅲ. 유가 상승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시나리오별 원유 가격 비교(두바이산 원유 기준) -8-

  9. Ⅲ. 유가 상승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유가 상승에 따른 거시경제적 영향 삼성경제연구소 1. 국제유가가 배럴당 1달러 상승할 경우 무역수지는 10억달러 내외의 적자요인 발생 2. 40달러선에 달할 경우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물가상승은 0.2% 상승 3. 경제성장률은 0.12% 하락하고 무역수지는 적자로 전환 산업자원부 1. 유가가 1달러 상승하면 소비자 물가는 0.1% 상승 2. 경제성장률은 0.44%하락 3. 경상수지는 약 7.5억달러에서 10억달러 적자 -9-

  10. Ⅲ. 유가 상승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유가 상승에 따른 거시경제적 영향 산업연구원 1. 원과 달러의 환율이 1% 하락할 경우 수출액은 0.11% 감소 2. 수입액은 0.15% 증가 한국은행 1. 원유가격 10% 상승시 정유산업의 원가가 4.97%상승 2. 석유화학은 0.68%, 철강업은 0.13% 증가 -10-

  11. 산 업 영 향 해운업계 - 배럴당 1달러 상승시 유류비 부담은 4,900만 달러 추가 수산업계 (원양어선) - 유류가 10% 인상시 ·추가부담 : 약 4천만$ 예상 자동차업계 - ℓ당 1,420원 인상시 자동차수요 10.8% 감소예상 정유업계 - 1달러 상승시 국내 휘발류 ℓ당 가격 12원 인상 철강 - 원유가격 10% 상승시 원가부담 0.13% 제조업평균 0.11%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 항공업계 - 매출액 대비 연료비 비중이 지난해 상반기 19%에서 30%로 급등 Ⅲ. 유가 상승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유가인상에 따른 산업별 영향 -11-

  12. IV. 에너지 효율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과 기업 경영 선진국의 에너지 저감정책 EU • SAVE program을 통한 에너지 효율향성 및 전략수단 모색중 • 에너지공급회사 - 소비자의 에너지절약 투자지원,효율적인 에너지장비 도입 • 소비자에 대한 정보 제공과 자문 서비스, 제품제조 공정상의 에너지 투입량과 • 환경문제를 감안한 환경표시제도 시행 일본 • 수송부분 주력 : Top-Runner 방식은 자동차 부품효율화 • - 에너지 효율 20% 이상 향상, 저공해 및 무공해 자동차 개발 • - 운송수단별 에너지 효율개선을 추진, 도로 상황 온라인 정보망 • -대중교통시스템을 정비, 항만 정비를 통한 화물 수송거리 감소 • ⇒ 전체 시스템 보완계획 -12-

  13. IV. 에너지 효율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과 기업 경영 선진국의 에너지 저감정책 EU에서 나온 실증 분석 연구결과 (2000.7) ① 기술적으로 입증된 에너지 효율 수단 : 12-14%에너지 저감가능, 오염 배출량 8-11% 저감 ② 사후 처리기술이 사전 오염처리 기술보다 많은 비용 소요 ③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만으로도 약 8%의 에너지 절감 ④ CHP의 경우 가장 많은 에너지 저감 효과(36%) 단,높은 자본 비용을 수반 ⑤ 모터, 보일러, 압축 펌프 등의 비용 효과적인 수단으로 에너지 저감 5%가 달성 가능 ⑥ 공정 개선 기술에 대한 에너지 저감 여지는 가장 많음. (약 51%효과기대 ) -13-

  14. 국가 이름 산업수 (비중)/ 목표 내 용 이행비용 목표 스웨덴 Eco- Energy (자발) 30 (5%)/ 정성적 - ISO14001 또는 EMAS획득을 원하는 기 업의 에너지 효율 향상이 목적 - 효율정책과 관리, 효율기준의 제시 -행정비용 -모니터링 자가보고서 -모니터링 기초한 에너지 감사 덴마크 AIEE (협상) 143 (45%)/정성적 - 자발적 협약, SO2, CO2세금, 보조금 등의 정책 혼합 - 매년 이행보고서 제출, 만약 저감목표 미준수의 경우 세금 rebate 전액 환수 -행정비용 (17,000-33,000유로/회사당) -에너지감사 및 검증 비용 -세금 환급 -EMS 도입하여 기술 지원 통해 2005년까지 6% CO2저감. - 국가 전체의 0.4%. - CO2Tax 도입, EMS 추진, R&D가 핵심이며 에너지 감사는 덜 강조한다. 네덜란드 LTA (협상) 1250 (50%)/ 정량적 - 모니터링, 보조금, 세금감면, 정보제공 89년 대비 2000년 20%저감 목표 -모니터링비용 (50,000)유로 /회사당) -행정비용(4백 만유로/일년) - 2000년까지 20%저감 목표 . 1998년 현재 17.4%(117PJ, 매년 6.6MtonCO2저감) - 산업간 차이 존재: 경공업은 11%, 철강·화학은 15% 저감. -New LTA는 매년 2.2% 향상 목표 독일 DGWP 기후변화방지선언 (일방적) 4400 (70%)/ 정량적 - 18개 산업체가 참여. 총산업의 에너지 사용량 중 20% 삭감(2005년까지). 협회가 자발적으로 목표제시 - 정부는 폐열이용 의무제외와 CO2Tax 면제(1996). 그러나 1998년 CO2Tax 도입에도 불구하고 약속 이행중 -초기비용 적으나 모니터링 비용 과다 -총비용은 약 백만 유로 -행정비용 - 90-97년 17% 하락 - 화학·철강산업 70% 저감 효과 차지 프랑스 CO2저감 자발적협약 (협상) 33 (40%)/ 정량적 - 에너지 소비 자료와 CO2배출 자료 제 공(90-94) - CO2Tax 면제 -초기비용 적음 -행정비용. -알루미늄 산업 1990-2000년 CO219%, CF473% 저감 달성 - 2001년 CO2Tax 도입 자발적 협약의 실행과 효율(VAIE)에 대한 성과 분석 비교 ` -14-

  15. IV. 에너지 효율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과 기업 경영 Kraup와 Ramesohl(2002)의 에너지 정책을 통한 연구 • 제품의 디자인 변경 등이 에너지 효율 개선 효과 상당한 영향 • 열병합발전인 CHP를 증대 시키는 것이 에너지 수요를 줄이는 방안 • 운전 합리화를 통한 공정기술의 혁신 • VA가 기술적 효율 기능의 개선에는 덜 영향을 줌 • VA는 에너지 효율 기술 파급 효과가 큼 • 강제적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정착을 의무화할 필요성 인식 • 중간관리자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중요 -15-

  16. IV. 에너지 효율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과 기업 경영 Nadel과 Geller(2001.9)의 에너지 정책 제도 방안 • 자동차 연비 개선을 위한 제도의 조기 도입 • 에너지 편익 신탁 기금 이용하여 공공에너지 프로그램 추진 • 에너지 효율 제품에 대한 기준강화와 제품 확대 • 에너지 고효율 자동차, 가정/상업용 빌딩과 다른 제품에 대한 세금 혜택 부여 • 정부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R&D와 개발프로그램 적극추진 • 청정하며 고효율인 CHP개발 촉진 • 자발적 협력 강화 및 인센티브 확대 • 기존의 발전소에 대한 에너지 효율 대폭 강화와 그린빌딩의 상향조정 -16-

  17. 1990 1999 2010(기준) 2010(정책) 2020(기준) 2020(정책) 최종에너지(quads) 63.9 71.6 86.5 79.4 98.3 78.9 1차 에너지(quads) 84.6 96.1 114.6 102.2 128.1 94.2 연료별에너지( _ ) 석탄 19.1 21.4 25.2 18.1 26.2 9.5 석유 33.5 38 44.9 41.9 51.7 42.1 가스 19.3 22 28.7 26 35.5 27.5 핵 6.2 7.8 7.7 7.8 6.1 6.3 수력 3 3.2 3.1 3.1 3.1 3.1 기타 3.5 3.4 4.8 5.1 5.2 5.5 탄소배출량(MMT) 1,338 1,505 1,817 1,540 2,063 1,338 기타오염원(MMT) Sox 19.3 20.5 16.5 14.9 16.9 13.1 Nox 21.9 15.8 12.8 11.6 12.7 6.6 Pm-10 1.7 1.5 1.5 1.4 1.6 1.4 순저감($ billions) - 152 - 591 IV. 에너지 효율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과 기업 경영 기준 케이스와 정책 케이스 비교 정책수행을 위해 2010년까지 1천 2백 7십만달러 투자, 2020년에는 4천 9백 5십만 달러 투자 ⇒전력 가격 95% 석탄 가격 26% 가스 가격 37% 하락, 가구 당 2020년까지 매년 $4,156절감 효과 예상 (이산화탄소는 2000년 대비 2010년에는 1817 MMT(36%하락), 2020년 2,063 MMT(54% 하락)증가 SOX48%, NOx19%감소전망 ) -17-

  18. 97 98 99 2000 집단 에너지 1,609 1,727 2,122 1,669 절약시설설치 1,090 968 1,191 1,653 ESCO/주택단열 0/17 253/12 562/15 -/10 계 3,007 3,256 4,030 3,332 V.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 에너지 절약시설을 위한 에너지 이용 합리화자금의 대폭적인 증액 필요 • 에너지관련 첨단 설비 수입시 적용되는 관세의 대폭적인 감면제도가 필요 • 폐열 회수나 폐기물 재사용을 적극 장려하는 정책과 기술 지원이 필요 에너지 이용합리화 자금지원 현황 -18-

  19. 년도 95 96 97 98 비고 일본(억엔) 0.8 3.2 4.6 15.2 지역신규 도입 촉진에 19억엔(97), 사업자 21.9억 한국(백만원) 97,838 19,270 20,724 18,201 풍력만은 동기간 중 총91억원임 V.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 원유도입의 다각화와 장기도입 계약의 확대 추진 필요 • - 동북아 에너지 협력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 친환경적 자동차 엔진 기술의 유도가 필요 • 국가 차원의 신에너지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 에너지 정책을 거시경제정책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 • 정책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 - 자발적 협약 정책의 중장기적 효율적 진행 및 성공적 정착을 방법 대체에너지 프로젝트의 예산 비교 : 풍력 -19-

  20. 감사합니다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