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 likes | 408 Views
서론. 1. 서론 2. 문헌연구 3. 사전 실험 4. 본 실험 5. 결론 6. 토의. 모바일 기기의 수요 증가 모바일 기기의 기술 발전. 모바일 기기의 용도 확대. 메뉴의 양 증가. 디스플레이의 한계점 도출. 작은 디스플레이에서의 효율적 메뉴 환경의 필요성. 문헌 연구. 1. 서론 2. 문헌연구 3. 사전 실험 4. 본 실험 5. 결론 6. 토의. Information Visualization( 정보 시각화 ) 이란 ?
E N D
서론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 모바일 기기의 수요 증가 • 모바일 기기의 기술 발전 모바일 기기의 용도 확대 메뉴의 양 증가 디스플레이의 한계점 도출 작은 디스플레이에서의 효율적 메뉴 환경의 필요성
문헌 연구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 Information Visualization(정보 시각화)이란? 데이터 또는 정보를 그림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정보와 데이터를 모델링하고 이것을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이용하여 모니터 내지는 디스플레이 화면 에 표시하는 것 데이터의 양이 많아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것을 그림으로 표시하여 관찰하게 함으로써 그 곳에 숨어있는 경향을 쉽게 파악하도록 한다.
문헌 연구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 시각화의 기법 시각화의 내용 별에 따른 정보 시각화 데이터 시각화 문헌 시각화 검색 정보 시각화 네비게이션 방법에 따른 정보 시각화 점증 탐사(Incremental Exploration)기법 줌(zoom)과 팬(pan) 기법 Focus + Context 기법 – Fisheye view
문헌 연구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 Fisheye view (어안적 뷰)
문헌 연구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 기존의 네비게이션 기법 버튼다운(스크롤링 다운) 메뉴 계층적(hierarchical) 메뉴 스크롤링 기법
문헌 연구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 Fisheye view에 대한 기존 연구 그래프 (SarKar & Brown, 1992) 트리 구조 (Lamping et al. 1995) 메뉴 (Bederson, 2000) etc. 그러나 대개의 경우 그 연구의 대상이 복잡하고 어려운 과업으로 한정 되어 있고, Bederson(2000)의 경우 설문에 의한 사용자의 만족도 만을 조사하였음.
사전 실험 • 목적 - Fisheye view 메뉴와 기존의 메뉴와의 과업 수행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PDA에 적합한 폰트의 크기를 찾아내고자 한다. 피 실험자 PDA 사용 경력 1년 이상의, 교정시력 1.0 이상인 남자 8명 실험 도구 PDA (iPAQ 3600 series), 스타일러스 펜, eVC++ 프로그램 실험절차 한 손으로 PDA를 파지한 후에, 기기상의 무작위의 순서로 구성된 메뉴 중 제시하는 3개의 메뉴를 선택하기까지의 수행시간을 측정한다. 실험계획 Two factors, within subjects 독립변인 : 메뉴의 종류 - 버튼다운 메뉴, fisheye view 메뉴 (2수준) 폰트 - 12, 16, 20 (3수준) 종속변인 : 수행시간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사전 실험 • 사전 실험 결과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ANOVA Table *는 유의수준 0.05 에서 유의함 메뉴와 폰트 간의 상호작용은 일어나지 않았으며, fisheye 메뉴가 버튼 다운 메뉴에 비해 유의하게 빠른 검색 시간을 갖는다. 폰트 12와 16, 16과 20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2와 20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전 실험 • 사전 실험 결론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폰트에 따른 메뉴별 수행시간 큰 스케일의 시각적 환경에서 검증된 fisheye의 장점도 있지만, 기존 메뉴에서의 스타일러스 펜 이동 시간이 존재한다. 12와 16, 16과 20 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12와 20 간의 차이가 나타나고, 실험 구간 내에서 폰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수행시간 이 줄어드는 점은 12와 16 보다는 16과 20 사이의 폰트 크기가 PDA에 적 합한 폰트임을 알 수 있다.
본 실험 • 목적 • 사전 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인 16과 20 구간의 폰트를 다시 세분화 하고, • 사용자 관심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focus length를 변화시켜가며 실험을 • 수행해, 수행시간과 사용자의 만족도를 구하여 적합한 환경을 찾아낸다. 피 실험자 PC 사용 경력 5년 이상의, 교정시력 1.0 이상인 남자 18명 실험 도구 Desktop, 마우스, Flash MX 프로그램 실험절차 프로그램이 탑재한 PC로부터 일정거리에서 프로그램 상의 무작위의 순서로 구성된 메뉴 중 제시하는 3개의 메뉴를 선택하기까지의 수행시간을 측정한다. 실험계획 Two factors, between subjects 독립변인 : 폰트 - 12, 16, 20 (3수준) focus length – 1, 3, 5 (3수준) 종속변인 : 수행시간, 만족도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본 실험 • 본 실험 결과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수행시간에 대한 ANOVA Table *는 유의수준 0.05 에서 유의함 폰트 크기에 따른 수행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카낸다. focus length에 대해서도 수행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폰트와 focus length간의 교호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본 실험 • 본 실험 결과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수행시간에 대한 SNK 사후분석 (폰트크기) 폰트 18과 20이 같은 그룹을 이룸으로써 16과의 차이를 보인다. 결국 16 초과의 폰트에 대해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수행시간에 대한 SNK 사후분석 (focus length) focus length 3과 5가 같은 그룹을 이룸으로써 1과의 차이를 보인다. 결국 16 초과의 폰트에 대해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본 실험 • 본 실험 결과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ANOVA Table *는 유의수준 0.05 에서 유의함 폰트 크기에 따른 수행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focus length에 대해서도 수행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폰트와 focus length간의 교호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본 실험 • 본 실험 결과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SNK 사후분석 (폰트크기) 폰트 16과18, 20이 모두 다른 그룹을 이루고 있다.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SNK 사후분석 (focus length) focus length 1과 3, 3과 5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과 5는 차이를 나타낸다.
결론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
토의 1.서론 2.문헌연구 3.사전 실험 4.본 실험 5.결론 6.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