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406 Views
POWER T/R 은 N 형 반도체와 P 형 반도체를 접합시켜서 이루어진 능동소자이다 . 따라서 정해진 저항값에 따라 전류를 변화시켜 BLOWER MOTOR 를 회전시키는 RESISTOR 와 달리 FATC 의 소신호 출력에 따라 입력되어지는 BASE 전류로 BLOWER MOTOR 에 흐르는 대전류를 제어함으로써 MOTOR 의 SPEED 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자이다. 블로워 파워트랜지스터. 에어컨 사이클 구성도. 에어컨 사이클 구성도.
E N D
POWER T/R은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접합시켜서 이루어진 능동소자이다. 따라서 정해진 저항값에 따라 전류를 변화시켜 BLOWER MOTOR를 회전시키는 RESISTOR와 달리 FATC의 소신호 출력에 따라 입력되어지는 BASE전류로 BLOWER MOTOR에 흐르는 대전류를 제어함으로써 MOTOR의 SPEED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자이다. 블로워 파워트랜지스터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에어컨 사이클 구성도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에어컨 사이클 구성도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①흡입 작용 : 에바포레이터내에 냉매압력을 저하시켜 액상의 냉매가 낮은 온도에서 증발될 수 있도록 한다. • ② 압축 작용 : 기화된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켜 콘덴서로 보내 상온으로 액화될 수 있도록 한다. • ③ PUMPING : 상기 흡입, 압축작용을 통하여 냉매를 순환시켜 연속적인 작동이 되도록 한다. 컴프레서와 클러치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냉매가스의 흡입(하사점) • 피스톤이 리어(REAR)측으로 이동하면, 프론트(FRONT)측 실린더내의 입력이 저하하여, 저온실의 냉매가스가 흡입구멍을 통하여 석션 밸브를 밀어내려 실린더 내로 흡입된다.(리어측 실린더는 압축) • ▶ 냉매가스의 압축(행정) • 피스톤이 프론트 측으로 이동하면, 프론트측 실린더내의 압력이 높아져 실린더 내의 냉매가스가 토출구멍을 통하여 리드밸브를 밀어 올려 고압실로토출된다. (리어측 실린더는 흡입) • ▶ 냉매가스의 압축(상사점) • 피스톤이 프론트측 최대위기로 이동하면 프론트 측 실린더내의 압축 및 리어측의 흡입행정은 종료된다. 작동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작동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 증발기는(에바포레이터:evaporator) 팽창과정을 거쳐 유입되는 습포화 증기 상태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차 실내외의 공기와 열교환 시켜 과열증기로 변환시킨다. 열을 빼앗긴 공기는 저온 저습 상태로 변환하고 이 공기는 송풍기(BLOWER)에 의해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어 차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바포레이터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 본체, 다이아프램(DIAPHRAGM), 볼 밸브(BALL VALVE), 스프링, 감온통, 균압관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 부품중, 감온통은증발기출구측의 냉매온도를 감지, 이를 압력으로 변환하여 다이아프램 상부에 전달하며, 균압관은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여 다이아프램 하단으로 전달, 이들 힘과 스프링 힘의 평형관계에 의하여 냉매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팽창밸브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 압축기로부터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냉각용 팬(COOLING FAN)을 작동 시킴으로서 강제 냉각시켜 냉매를 액화 시키는 기능을 한다. 응축기의 방열량은 압축기의 방열량과증발기의 증발량에 의하여 결정되며, 응축상태가 불량하면 냉동사이클의 압력이 과다 상승하게 되어 냉방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용량 결정 및 관리에 유의하여야 한다 콘덴서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
① 저장기능 : 냉동사이클의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냉매 순환량도 변동되어야 하므로, 적절한 양의 냉매를 저장하며, 그 변동 대응하도록 한다. ② 기포분리 : 응축기로부터 토출된액냉매가 기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냉방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기포와 액체를 분리하여 액체 냉매만 팽창밸브로 보낸다. ③ 수분흡수 : 건조제(DESICANT)와 필터(FILTER)를 사용하여 냉매중의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④냉매량 관찰 : 사이트 글래스(SIGHT GLASS)를 통하여 냉매량의 적정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이나, 최근에는 냉매가 R-134a 리시버 드라이브 논산공고 교사 이창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