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likes | 766 Views
제 6 장 완전경쟁시장의 공급. 생산량. 생산요소 투입량. 생산함수. 일정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일정기간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최대량. 기간구분 초단기 ( very short run ) : 모든 생산요소를 변화 무 단기 ( short run ) : 적어도 한 생산요소를 변화 장기 ( long run ) : 모든 생산요소를 변화 초장기 ( very long run ) : 모든 생산요소 변화 + 기술변화. 예. 생산량을 36 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초단기 : 생산량을 변화시킬 수 없다 .
E N D
생산량 생산요소 투입량 생산함수 일정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일정기간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최대량 기간구분 초단기(very short run) : 모든 생산요소를 변화 무 단기(short run) : 적어도 한 생산요소를 변화 장기(long run) : 모든 생산요소를 변화 초장기(very long run) : 모든 생산요소 변화 + 기술변화
예 생산량을 36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초단기: 생산량을 변화시킬 수 없다. 단기 : 노동 = 36, 기계 = 1로 생산량 = 36 장기 : 노동 = 36, 기계 = 1 보다는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계 = 2, 노동 = 18이 될 수 있다. 초장기: 기술혁신으로 생산함수 기계 = 1, 노동 6으로 36생산
단기 : : 고정생산요소(fixed input) : 가변생산요소(variable input) 총 고정비용(total fixed cost; TFC) 총 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 TVC) 총비용(total cost; TC) : 생산에 투입된 모든 자원의 기회비용 총비용 = 총 가변비용 + 총 고정비용 TC(Q) = TVC(Q) + TFC
평균비용(average cost; AC)과 한계비용(marginal cost; MC) 평균가변비용 (average variable cost; AVC) 평균고정비용 (average fixed cost; AFC) • ;1단위를 추가로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추가비용
► 총비용, 평균비용, 한계비용 등 생산량 TFC TVC AFC AVC AC MC TC 0 $30 $0 $ - - - - 1 45 2 14 3 23 4 17
총비용 곡선의 형태 •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 생산이 증대됨에 따라 평균비용이 하락하는 경우. • 생산에 막대한 고정비용이 수반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 규모의 불경제(Diseconomies of Scale): • 생산이 증대됨에 따라 평균비용이 상승하는 경우 • 일부 생산요소의 공급에 애로가 있을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다가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규모의 불경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략적인 그림)
참고 : 한계의 그래프에 표현 Note: B점에서의 평균=한계
참고 : 평균과 한계의 종합 한계 평균
AC, AVC, AFC, MC의 그래프 이 점에서의 TC TVC 생산 : MC=AVC 생산 : MC=AC AC MC MC곡선은 AC 와 AVC곡선의 최하점을통과한다. AVC
산출량이 증대되면서 AFC는 점차 감소 AC와 AVC곡선 간의 격차가 점차 줄어든다. 원 MC AC AVC AFC A Q
앞의 그래프에서 A점 : 효율적 생산량 • U-자형 평균비용곡선에서 • 평균비용이 극소가 되는 생산량을 생산하는 생산규모를 효율적 생산량(Efficient Size)이라고 한다.
시장(소비자는 다수인 경우):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과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생산자의 숫자 1개 소수 다수(many) 동일제품 : 독점 완전경쟁 과점 독점적 경쟁 제품차별 :
완전경쟁시장(Perfect Competition Market) 전제조건 다수의 수요자와 다수의 판매자가 존재 ; 각자는 시장 전체 거래량의 극히 작은 부분만을 거래한다. 따라서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가격수취자(price taker) (2) 동질의 상품 (3) 진입장벽이 없음 ; 이윤과 손해에 따라 진입과 퇴출이 언제든지 자유롭다. (4) 완전한 정보
완전경쟁 하에서 한 기업의 행위 ; 이 기업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결정한다. 생산량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켜도 시장가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시장공급 개별기업의 수요곡선 시장수요 한 기업 시장
수식 : Note : 완전경쟁시장에서 따라서
장단기에서의 생산 장단기의 차이의 예 단기 : 이윤 = 총수입 – 가변비용 – 고정비용 = 100 – 90 – 20 = -10(손해) 생산을 중지 ? 생산을 중지하면 이윤 = -20(고정비용) 따라서 생산을 하여 고정비용 20의 일부인 10만큼이라도 건질 수 있게 된다. 단기에서는 총수입 > 가변비용 손해를 보더라도 생산을 한다.
그러나 장기 : 모든 생산요소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예에서 이윤 = 총수입 – 가변비용 = 100 – 110 < -10(손해) 생산을 중단하면 이윤 = 0 따라서 생산을 중단한다. 실제로는 이 보다 적은 비용소요 ; 고정생산요소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
결론 단기 : 생산을 할 때 손해가 나더라도 생산을 할 수 있다. 즉, 생산을 하지 않으면 가변비용 = 0 but 이미 투입된 고정생산비용만큼 손해 따라서 손해를 보더라도 고정생산비용의 일부라도 건질 수 있으면 생산 장기 : 모든 생산요소가 가변생산요소이기 때문에 장기에서 손해를 보면 생산을 하지 않게 된다.
1. 단기에서의 생산 단기 and장기 : 생산량 결정 Note : 장단기에 따라 MC가 다른 형태를 띄고 있음. 장기에서는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고정생산요소를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양을 생산하더라도 더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원 MC AC AVC AFC A Q 이윤극대화 생산량 ? 총비용과 총수입 ? 이윤 ?
이윤극대화 생산량 ? 원 MC AC AVC A AFC Q 생산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이윤극대화 생산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이윤극대화 생산이 이윤극대화
이윤극대화 생산량에서 총비용과 총수입 그리고 이윤은 ? 원 MC AC AVC C AFC B F E 0 Q
원 MC AC AVC AFC A I G F B 이윤극대화 생산량 = TR = TC = profit = A점 : 손익분기점
원 MC AC AVC AFC H I A E C G F B 이윤극대화 생산량 = TR = TC = profit = TFC = 생산을 할 것인가 ?
단기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생산을 지속할 가격수준은 ?
원 MC AC AVC AFC F A I G B 이윤극대화 생산량 = TR = TC = profit = FTC = A점 : 조업중지점
단기에서 가격이 AVC 최하점보다 더 내려가면 어떻게 하겠는가 ? 생산중단 이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은 어떻게 구할 수 있는가?
이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 : AVC의 최하점으로 부터MC를 따라 우상향하는 곡선 원 MC AC AVC AFC G : 단기 공급곡선 B
단기 시장공급곡선 ; 개별 공급곡선을 수평으로 합한 것
2. 장기에서의 생산 장기 평균비용곡선 각 기계의 숫자에 따라 10, 20, 30, 40개를 모두 생산할 수 있다. 장기에서는 각 생산량에 따라 기계 대수를 달리하여 생산하는 것이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수 있다.
원 10 20 30 40 10개 생산할 때 : 기계 = 1대 20개 생산할 때 : 기계 = 2대 30개 생산할 때 : 기계 = 3대 40개 생산할 때 : 기계 = 4대
완전경쟁시장에서 단기 : [이윤 > 0] 인 상황이 가능 장기 : 만약 [이윤 > 0]이면 새로운 기업이 진입 가격이 하락 [이윤 = 0]이 될 때까지 새로운 기업이 진입 따라서 장기에서 기업의 이윤 = 0
이윤 = 새로운 기업이 진입 가격이 하락 : 까지 이윤 = 0
따라서 각 개별 기업의 장기 공급곡선은 AC의 최하점을 통하는 점으로부터 MC를 따라 우상향하는 곡선 장기 산업공급곡선은 생략한다. 그 산업이 비용불변 산업(즉 새로운 기업이 진입하면서 요소가격은 불변) : 수평 그 산업이 비용증가 산업(즉 새로운 기업이 진입하면서 요소가격이 상승) : 우상향
생산자 잉여(Producer Surplus; PS) 면적 (a+b) : 총수입(TR) 면적 b : 총 가변비용(TVC) 이윤 = TR – TVC – TFC =(a+b)-b-TFC a(=PS) = 이윤 +TFC
공급곡선이 장기공급곡선이면 PS = 이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