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 likes | 592 Views
04. 쾌락주의 사회적 도덕문제. 쾌락주의의 의미는 ? 쾌락주의의 문제점은 ? 쾌락주의의 극복방안은 ? 사회적 도덕 문제란 ? 사회적 도덕 문제 발생 배경은 ? 니부어의 사회 윤리 사상. ⊙ 에피쿠로스 학파의 윤리사상. 1. 인생의 목적으로서의 쾌락 2. 아타락시아 (ataraxia)- 마음의 평온한 상태 - 정신적 쾌락의 강조. * 밀 (Mill.J.C) - 쾌락의 질적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면서 보다 수준 높은 정신적 쾌락을 추구하며 살 것을 강조. 쾌락주의를 중시하면 ?.
E N D
04. 쾌락주의 사회적 도덕문제 • 쾌락주의의 의미는? • 쾌락주의의 문제점은? • 쾌락주의의 극복방안은? • 사회적 도덕 문제란? • 사회적 도덕 문제 발생 배경은? • 니부어의 사회 윤리 사상
⊙ 에피쿠로스 학파의 윤리사상 1.인생의 목적으로서의 쾌락 2.아타락시아(ataraxia)-마음의 평온한 상태 -정신적 쾌락의 강조 *밀(Mill.J.C) - 쾌락의 질적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면서 보다 수준 높은 정신적 쾌락을 추구하며 살 것을 강조
쾌락주의를 중시하면? 쾌락적 삶만을 추구하게 되면?…
쾌락주의(快樂主義) 1) . 의 미 • 인간의 행복을 위해 감각적 쾌락이나 만족을 지 • 나치게 강조하는 입장 • 쾌락을 최고 선으로 추구 최고선이란? • 더 이상의 가치 있는 대상이 있을 수 없는 가장 • 가치 있는 것
2) 대두 배경 • 과학기술발달 노동에서 해방 여가 확대 • 쾌락을 가져다 주는 물질 인간의 행복 • 쾌락•물질 선호 물질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지배할 수 있는 정신적 성숙성, 도덕성을 갖추지 못하면 문명의 몰락을 겪게 됨
쾌락주의의 문제점은? • 공동체 질서유지위한 선(善)들이 피해를 입음 • 자제력을 잃게 하고, 동물적 행동을 하도록 함 • 직업의 진정한 의미 상실 • 자아실현, 공동체 참여 쾌락위한 돈벌이수단 • 자신만의 쾌락 추구 • 타인과 사회쾌락에 대해 무관심 • 과소비를 자기과시의 수단으로 여김
쾌락주의 극복방안은? 1. 물질을 적절하게 사용할 줄 아는 통제력 2. 정신적 성숙성과 도덕성을 갖춤 3. 인간의 고유한 심미적 정신적 만족감 추구 심미성(審美性) =>아름다움과 추함을 분별하여, 미적 가치를 중시하고 추구하는 특성
니부어<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 분석 • –개인의 도덕과 집단의 도덕의 구별 필요 • 집단의 도덕이 열등한 이유 • : 집단적 충동 • - 집단 간 관계의 속성 • : 정치적 > 윤리적 • * 분석 결과 • 집단 이기주의의 해결 방안 • : 도덕적 합리적 설득+ 합리적 강제력(구조, 제도, 정책 개선)
사회적 도덕 문제란? • 도덕적 문제의 원인이 개인적 차원에 있다기 보 • 다는 사회제도나 정책과 같은 사회적 차원에 있 • 는 문제 도덕 문제의 원인은? 과 거 • 대체로 개인에게 돌림 • 개인+사회자체에서 찾으려함 최 근
사회적 도덕 문제의 발생 배경은? • 사회구조의 분화 다양한 이익집단이 형성 • 상호간의 이해 관계 복잡 • 개인의 양심에 의한 도덕적 자각과 실천만으로 • 근본적 해결이 불가능 • 사회윤리사상의 대표자? • 니부어= 미국 신학자, 철학자 • ‘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참 고 • 님비증후군 (nimby syndrome), 바나나현상 (banana syndrome) • '내 뒷마당에서는 안 된다'는 이기주의적 의미로 통용되기 시작한, 유해시설 설치를 기피하는 현상. • 핌피현상 (PIMFY), 임피현상 (IMFY) • 자기 지역에 이득이 되는 시설을 유치하거나 관할권을 차지하려는 현상. PIMFY(Please In My Front Yard)에서 나온 말이다.
니부어(Niebuhr,R)의 사회 윤리 사상 1. 사회적 도덕문제 원인 분석 • 사회집단 도덕성은 개인의 도덕성보다 현저하게 • 떨어짐 • 도덕적 개인도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는 이기적 • 으로 행동하기 쉬움 2. 전통적 입장에 대한 비판 • 개인 양심, 덕목실천 사회문제 해결 불가능 • 개인의 선의지 정의 실현 불가능
3. 사회적 도덕문제의 해결 방안 제시 • 사회 정책과 제도의 개선 • 개인 도덕성을 표현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 마련 • 사회적 도덕문제의 예 • 집단간 이해관계가 대립된 경우 • => 지역 이기주의, 환경 문제 • 사회 구조적 모순, 부조리 현상 • =>부정 부패, 개인 양심적 실천 저해하는 조직
사회제도와 개인의 도덕성 p24 • *관료제의 특징 • 지위와 역할의 명확한 구분 • 과업의 세분화와 전문화 • 피라미드형의 엄격한 지휘계통 • 문서에 의한 사무처리 • 엄격한 공사(公私)의 구분 및 기계적인 직무수행 • * 관료제의 역기능 • 권위주의, 특권의식, 보수성, 무사안일
형 성 평 가 1. 다음 밑줄 친 ‘이것’에 해당하는 개념은? 쾌락
형 성 평 가 ∨ ①개인주의 ②쾌락주의 ③다원주의 ④과학주의 ⑤관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