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likes | 595 Views
스피치의 핵심 메시지 개발 1. 주제 선정 2. 개괄적 목적 3. 구체적 목적 4. 주제문 작성. I. 주제 선정. 1. 브레인 스토밍 - 개방형 : 자유롭게 비판 없이 - 항목별 유형 : 포괄적 주제의 한정 축소 - 고리식 유형 : 마인드맵핑 활용. 2. 주제 선정의 기준 - 연사 : 자신의 지적 수준과 관심에 따라 - 청중 : 청중 분석 필수 - 상황 : 행사의 성격 , 시간 고려. II. 개괄적 목적 결정.
E N D
스피치의 핵심 메시지 개발 1. 주제 선정 2. 개괄적 목적 3. 구체적 목적 4. 주제문 작성
I. 주제 선정 1. 브레인 스토밍 - 개방형 : 자유롭게 비판 없이 - 항목별 유형 : 포괄적 주제의 한정 축소 - 고리식 유형 : 마인드맵핑 활용
2. 주제 선정의 기준 - 연사 : 자신의 지적 수준과 관심에 따라 - 청중 : 청중 분석 필수 - 상황 : 행사의 성격, 시간 고려
II. 개괄적 목적 결정 1. 정보 제공 : 설명,보고,묘사,정의,시범 2. 설득 : 신념,가치관,태도,행동 변화 3. 유흥 : 에피소드,농담 4. 격려 : 의욕고취,사기진작
III. 구체적 목적 결정 1. 목적구의 사용 2. 하나의 아이디어만 포함 3. 명확한 표현의 사용
Ⅳ . 주제문 작성의 실제 1. 사례 - 주제 : 다이아몬드 감별법 - 개괄적 목적 : 정보 제공 - 구체적 목적 : 청중에게 다이아몬드를 감별하는 중요한 네 가지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 주제문 : 다이아몬드는 중량,색깔,투명도,커팅 상태를 보고 감별할 수 있다.
Ⅳ . 주제문 작성 2. 사례 - 주제 : 월드비젼 후원 - 개괄적 목적 : 설득 - 구체적 목적 : 청중에게 월드비젼의 후원자가 되어 달라고 설득하기 위해서 - 주제문 : 월드비젼은 투명한 회계 관리와 조직적인 후원 활동으로 기아와 질병에 시달리는 개발도상국의 어린이를 돕는다.
스피치의 본론개발 1. 주요 아이디어 조직법 2. 세부 아이디어의 형태 3. 안내사
1. 주요 아이디어 조직법 1 ) 시간적 조직법: 일정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2 ) 공간적 조직법; 아이디어의 지역별, 분포별 배열 3 ) 인과적 조직법: 원인-결과, 결과-원인 4 ) 문제 해결식 조직법: 문제점과 해결책 제시 5 ) 소재별 조직법: 임의적 순서, 일정한 순서
2. 세부 아이디어의 형태 1 ) 예시 개념, 문제, 사안 등을 설명하기 위해서 보기를 들어 구체화해서 보여주는 방법 2 ) 통계 사실이나 현상, 연구 결과 등의 상황을 숫자로 나타낸 자료를 제시 3 ) 증언 자기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증거로 다른 사람들의 말 을 인용
3. 안내사 1 ) 논의 전환사 : 다음 내용에 대한 논의로 넘어간다는 것을 알려주는 구나 문장 2 ) 내용 이정표 : 스피치에서 위치를 알려주는 단어나 구 또는 문장 3 ) 중간 예고 : 다음에서 논의하게 될 내용이 무엇인지 미리 청중에게 알려주는 기능 4 ) 중간 요약 : 이미 논의를 마친 내용에 대해 짧게 요약 해서 알려주는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