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1. ‘ 박타령 ’ 이라고도 불리며 서민들의 바람을 담고 있다 . 전해오 는 판소리 다 섯 마당 중 하나인 이것은 ?

1. ‘ 박타령 ’ 이라고도 불리며 서민들의 바람을 담고 있다 . 전해오 는 판소리 다 섯 마당 중 하나인 이것은 ?. 2. 조선 후기에 등장한 서양의 배 . 조선의 배와 모양이 달라 ‘ 이것 ’ 이라고 불렀다. O 부가. 이양 O. 선. 흥. 4. 조선 시대 그림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소속으로 그림을 그리던 사람은 ?. 3. 김정호가 1861 년에 제작한 , 우리나라의 대축척 지도는 ?. 대. 화 O. 원. O 동여지도. 흥선대원군.

price-noble
Download Presentation

1. ‘ 박타령 ’ 이라고도 불리며 서민들의 바람을 담고 있다 . 전해오 는 판소리 다 섯 마당 중 하나인 이것은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 ‘박타령’이라고도 불리며 서민들의 바람을 담고 있다. 전해오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인 이것은? 2.조선 후기에 등장한 서양의 배. 조선의 배와 모양이 달라 ‘이것’이라고 불렀다. O부가 이양O 선 흥 4. 조선 시대 그림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소속으로 그림을 그리던 사람은? 3. 김정호가 1861년에 제작한, 우리나라의 대축척 지도는? 대 화O 원 O동여지도 흥선대원군 5.조선시대에 16세 이상 된 남자들에게 군사가 되는 대신에 부과되었던 의무. 영조는 백성들이 내야 할 베를 두 필에서 한 필로 줄이도록 하였다. 군 O역

  2. 흥선대원군??? 세도정치 왕실의 근친이나 신하가 권세를 잡고 온갖 정사를 마음대로 하는 정치 안동김씨 풍양조씨

  3. 흥선대원군??? 종친 가운데서 왕위를 계승하게 될 경우 새 왕의 아버지에게 주어지는 직책 안동김씨 세도 순조(23대) 순원왕후 전계군 남연군 안동김씨 세도 효명세자 (문조=익종) 신정왕후 (조대비) 철종(25대) 흥선군 왕위 결정권 가진 왕실의 최고 어른 헌종(24대) 고종(26대) 풍양조씨 세도

  4. 흥선대원군의 정책은… 역사가가 되어!!

  5. 역사 돋보기!! 서원 나라의 재정을 어렵게 하고 당쟁의 온상이 되는 서원을 40여 곳만 남기고 없애라!!

  6. 역사 돋보기!! 양반도 세금을 내도록 하라!!

  7. 역사 돋보기!! 임진왜란 때 불탄 경복궁을 새로 지어 왕권을 강화하여라!!! 세도정치-> 왕권약화

  8. 역사가가 되어! 흥선대원군의 각 정책에 대한 찬성/반대의 입장을 정해봅시다. 찬성/반대의 이유도 적어봅시다. 3.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어 봅시다. 4. 자신의 입장을 수정해 봅시다.

  9. 역사 속 인물이 되어! 내가 만일 흥선대원군이었다면 어떤 정책을 폈을까요?

  10. 다음 중 흥선 대원군의 정치 모습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① 어린 아들을 대신해 나라를 다스렸다. ② 많은 백성을 동원하여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③ 평민에게만 내게 하던 세금을 양반에게도 걷었다. ④ 부패한 관리들을 내쫓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였다. ⑤ 나라 곳곳에 서원을 세우고 유교 예법을 강조하였다.

  11. 절두산 끊을 절(切) 머리 두(頭)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