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likes | 250 Views
제 6 장 공정능력과 규격. Statistical Quality Control. 6.1 공정능력 6.1.1 공정능력의 정의 공정능력이란 공정에 있어서 달성능력이다 ( 어휘상의 정의 ). 공정능력이란 공정이 최상을 이룰 때 제품 각각의 변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표시하는 양이다 (Juran). 공정능력이란 일정요인에 의한 정상적인 안정 조건하에서 그 공정의 품질상의 달성능력이다 (Feigenbaum). 6.2.2 공정능력의 계산. - 2 -. 제 6 장 공정능력과 규격.
E N D
제6장 공정능력과 규격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6.1 공정능력 • 6.1.1 공정능력의 정의 • 공정능력이란 공정에 있어서 달성능력이다(어휘상의 정의). • 공정능력이란 공정이 최상을 이룰 때 제품 각각의 변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표시하는 양이다(Juran). • 공정능력이란 일정요인에 의한 정상적인 안정 조건하에서 그 공정의 품질상의 달성능력이다(Feigenbaum). • 6.2.2 공정능력의 계산 - 2 -
제6장 공정능력과 규격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6.1.2 공정능력지수 • 양측 규격치가 주어진 경우 • 한쪽 규격치가 주어진 경우 • 공정능력지수 로 공정능력을 판단하는 방법 - 2 -
제6장 공정능력과 규격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6.1.3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 - 2 -
제6장 공정능력과 규격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6.2 규격 • 6.2.1 규격의 정의 • 규격 : 표준 중 주로 물건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계되는 기술적 사항 • 에 관하여 규정된 기준을 말한다. • 2 . 공칭치수 : 확인을 목적으로 쓰이는 치수 • 공차 : 품질특성의 총허용변동 • 3. 끼워맞춤 : 헐거운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 2 -
제6장 공정능력과 규격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6. 2 .2 공차의 통계적 가성성 • 평균치의 합의 법칙 • 분산의 가성성 법칙 • 조립공차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