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4

국내 상수도 지리정보시스템 고찰을 통한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관리 2 처. 국내 상수도 지리정보시스템 고찰을 통한. 수도지리정보시스템 ( 수도 GIS) 활용성 제고 방안. 2003. 11. 목 차 1. 서 론 1.1 배 경 1.2 국내 GIS 구축현황 1.3 연구목적 2. 본 론 2.1 국내 GIS 관리시스템 및 인력현황 2.2 국내 상수도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분석 2.3 한국수자원공사 수도 GIS 활용 ( 현재 )

pilis
Download Presentation

국내 상수도 지리정보시스템 고찰을 통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관리2처 국내 상수도 지리정보시스템 고찰을 통한 수도지리정보시스템(수도GIS) 활용성 제고 방안 2003. 11

  2. 목 차 1. 서 론 1.1 배 경 1.2 국내 GIS 구축현황 1.3 연구목적 2. 본 론 2.1 국내 GIS 관리시스템 및 인력현황 2.2 국내 상수도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분석 2.3 한국수자원공사 수도 GIS활용 (현재) 2.4 수도 GIS 시스템 활용방안 2.5 향후 수도 GIS활용을 위한 단계별 추진계획 3. 결 론

  3. 1. 서 론 1.1 배 경 ▷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산업화와 도시집중화 현상 발생 ▷ 국민생활환경의 악화, 기반시설의 효율성 저하, 대규모 도시재난의 발생 등 국가차원에서 해결하여야 할 새로운 문제들 발생 ▷ 1995년~2000년까지 『제1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 시행, 2001년부터 『제2차 국가지리정보 체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 추진 중

  4. 1.2 국내 GIS 구축현황 ▷ 도로와 7대 지하시설물 총 매설길이 : 852,117km ▷ 수치지도화 총 대상물량 : 822,461km 도로와 7대 지하시설물 수치지도 제작 : 707,325km (수치지도화 대상물량의 86.1%, 2002년 12월 현재) ▷ 이중 상수도관련 지하시설물의 수치지도의 구축현황 : 지자체 평균 63%, 광역상수도 46.5% 『자료출처: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 구축현황(건설교통부, 2003. 4)』

  5. 1.3 연구 목적 ▷ 지하시설물 중 국내 GIS 관리시스템 및 인력현황 검토 특히 상수도관리시스템의 기능별 특성분석과 지하 시설물 DB활용의 문제점 분석, 개선점 도출 ▷ 한국수자원공사 수도 GIS 활용현황과 GIS활용도 실태 조사를 통하여 개선사항을 도출, GIS의 활용방안 제시 ▷ 향후 수도 GIS활용을 위한 단계별 추진계획을 제시, 수도 GIS 발전방안 모색

  6. 2. 본 론2.1 국내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및 인력현황(1)

  7. 2.1 국내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및 인력현황(2) <그림 1> 지자체 GIS 직급별 인력현황

  8. 2.2 국내 상수도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분석(1) <그림 2> 지자체 수도관리시스템 구축 시점별 현황

  9. 2.2 국내 상수도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분석(2) (2) 상수도 관리시스템 구축현황 분석 ▷ 기존의 상수도 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구현 - 시설물 현황도면 입력 및 수정, 조회, 출력 - 상수도 시설물 유지관리 현황 조회 - 시설물 관리대장 입력, 수정, 조회, 통계분석 - 시설물관련 연도별 자산평가, 잉여인력 관리 - 각종 민원업무 지원 및 통계작성 등 ▷ 공간분석 기능을 활용한 실제적인 관망의 분석을 통한 누수관리는 미흡

  10. 2.2 국내 상수도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분석(3) (3) 지하시설물 DB활용의 문제점 ① 지하시설물 DB의 활용측면에서의 문제점 ▷ 지자체 및 광역상수도 지하시설물은 조사 또는 탐사에 의해서 구축 ⇒ 자체 검수나 성과심사 등을 통해 DB의 품질 확보 ▷ 모든 DB를 전수검수하기에는 예산, 인력, 시간 등의 이유로 불가능 ⇒ 샘플검수에 의해 신뢰성 확보 ▷ 관로의 심도가 깊거나 비금속관로의 경우 불탐구간이 발생함으로 관로위치에 대한 신뢰도 저하 ⇒ 성과 심사 대상에서 제외 ▷ 비금속관로는 기술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조사에 의해 DB 구축 ▷ 지하시설물 위치와 속성정보에 상당부분 문제점을 안고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임

  11. (3) 지하시설물 DB활용의 문제점 ② 상수도 관망분석시 DB 문제점 ▷ 선형적 문제 - 연결되지 않은 관망의 문제 ▷ 속성적 문제 - 상수관의 관경, 관종등을 나타내는 속성값 부정확 또는 부재 - 병합구역 내 유량계의 위치와 값 부재 2.2 국내 상수도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분석(4)

  12. (4) 개선방안 ▷ 지하시설물 DB 구축 시 관망 해석에 필요한 DB를 조사, 입력 ·관망해석에 필요한 기본 Data(예) - 일·월별 용수공급량 DB - 배수지 : 용량, 수위 (HWL, LWL) - 가압장 : 흡수정 수위, 용량, 일 ·월별 공급량 - 펌프자료 : 유량, 양정, 댓수, 펌프특성곡선, 펌프 Data sheet - 분기지점에 대한 급수결정량, 유량 및 관압 - 잔류염소 등 수질관련 DB ▷ 기 구축된 지하시설물 DB의 경우는 관망해석이 가능한 네트 워크 구조로 수정. 변환하고 속성에 대하여 확인 작업이 필요 2.2 국내 상수도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분석(5)

  13. 2.2 국내 상수도 GIS 관리시스템 개발현황 분석(6) (4) 개선방안 ▷ 정확한 상수관망 및 분석을 위해서는 수용가를 중심으로 하는 소블록과 이러한 소블록의 모임인 중, 대블록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이며 단계적으로 블록화 실시 ▷ 이 기종 GIS 패키지(SDE, GeoMania, ZEUS, Arcinfo, GE SmallWorld)에 의한 데이터 구축으로 인해 서로 다른 공간 데이터 파일형태로 가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Component Data 공유기를 이용한 정보공유 필요 ※ Component : 교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구성단위,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대한 약속 “ 정의 : “a unit of composition with contractually specified interfaces and explicit context dependencies only” 『 C. Szyperski , Component Software : Beyond Object-Oriented Programming, Addison Wesley, 1998』

  14. 2.3 한국수자원공사 수도 GIS 활용 (현재) (1) 광역상수도 종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 개요 ▷ 정부에서 추진중인 국가지리정보체계(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NGIS)기본계획과 연계실시 ▷ 수자원공사에서 건설·관리중인 전국의 광역 및 공업용수도 시설물 에 대하여 조사/탐사 실시, 속성 자료를 정비하고 지하시설물도를 작성하여 운영 및 관리정보 통합관리 ▷ 1996년 거제지구 시범사업으로 1998년부터 2003년까지 275억원 투입, 수도권 등 11개 지구를 구축 완료 (2004년까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전 수도시설에 대하여 수치지도화 완료 예정)

  15. (2) 수도 GIS 구성 체계

  16. 분 H / W 수도시설 . 운영정보 MIS DB 수도시설 . 운영정보 GIS DB 인트라넷 인트라넷 기술업무용 Server Web Server Web Server 본 사 네트웍 Laser printer PC PC Plotter 한국수자원공사 GIS Cache DB Local Server 관리단 Laser printer PC PC Plotter OS : 수도 GIS 운영용 도입분 Windows NT 또는 C/S GIS 사용자 운영용 Windows 2000 (3) 수도 GIS 시스템 설치 개요

  17. 광역상수도 종합관리시스템의 활용 메뉴 ▷ 관로시설 - 관로 - 비상연결관로 - 사업장내관로 - 이토연결관/수용가관로 - 종단면도 - 횡단면도 - 폐관로처리 - 터널 - 밸브실 - 밸브 ▷ 수도사고대응 - 사고예상지점검색 - 사고예상지점등록/대상밸브검색 - 사고지점등록 ▷ 관망해석연계 ▷ 관종 ▷ 관경 ▷ 경과년도 ▷ 노후도 ▷ 사업단계 ▷ Block ID ▷ 지목별 (3) 운 영 현 황

  18. 2.3 한국수자원공사 수도 GIS 활용 (현재) (4) GIS활용도 실태조사 ① 항목별 조사결과 및 개선방향 a) 시스템에서 사용빈도에 대한 순위 조사 b) 시스템 사용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 ☞ 시스템의 응답속도가 느리고, 자료의 입력 ☞ 사용자의 시스템 기능에 대한 편의성 및 수정의 어려움으로 “GIS 정보관리, 수도사고 자료에 대한 신뢰도는 다소 만족, 시스템의 대응지원” 항목은 다소 불만족 응답속도가 느려 대기시간이 오래 소요됨 활용도가 떨어짐

  19. 2.3 수자원공사 수도 GIS 활용 (현재) c) 시스템 사용에 따른 업무감소 조사결과 ☞ 용역성과물로 제공된 종평면도의 정확도로 인하여 지하매설물 협의에 의한 관로위치 확인 시간은 상당히 감소하나, 출력물을 업무에 직접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활용도가 다소 떨어짐

  20. 2.4 수도 GIS 시스템 활용 방안 (1) GIS 공간분석 기능의 적극 활용 ▷ 실무자들이 요구하는 업무를 직접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기능 추가 ▷ 수도시설의 신규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확대 발전시킴으로써 기 구축된 상수도 DB의 활용도 향상 (2) 인터넷을 통한 활용시스템 구축 ▷ 인터넷(Web) GIS와 업무용 GIS시스템을 별도 운영 차별화 ▷ Web부문은 용수공급현황, 수질현황 등 각종 정보를 홈페이지에 링크 ▷ 민원관련업무의 홍보로 업무처리시간의 단축 등 대국민 편의성 증진 ▷ GIS DB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Component 형태로 개발 ▷ 향후 기능개선 업그레이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듈 별로 개발 ※ 모듈 [ module ] : ① 잘 정의된 한 가지 일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일부분. ② 큰 시스템 중 비교적 독립적 인 한 부분.

  21. 2.4 수도 GIS 시스템 활용방안 (3) 지자체와 협의체 구성을 통한 정보공유 및 활용논의 활성화 필요 ▷ 지자체 상수도 GIS 및 타 시설물 DB 공유를 위한 협의체 활성화로 예산절감 ▷ 국민들에게 지자체와 공공기관 사이 연계된 관광정보, 환경정보 등을 제공 함으로써 GIS의 효율성 극대화 (4) 사용자별 정보제공 범위 지정 ▷ 일반인과 회원을 구분, 정보제공범위를 지정 후 Web GIS정보 제공 (5) 전문인력 양성 ▷ 국내외 교육기관을 통하여 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 ▷ 업무에 활용과 더불어 분석의 단계까지 다다를 수 있는 전문가 양성 ▷ 국내기업을 선도해야 하며 국제화 시대에 대비

  22. 2.4 수도 GIS 시스템 활용방안 (6) 조직정비 필요 ▷ 국내 GIS전담부서는 체계화되고 전문화되지 못한 상태 ▷ 독립성이 확보된 조직으로 재편성하여 업무중첩의 위험성을 줄이고 업무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비가 필요 (7) 사용자 교육의 지속적 실시 ▷ On Line교육과 Off Line교육을 정규적, 지속적으로 실시 (8) Mobile GIS도입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진 ▷ Mobile GIS(m-GIS)는 RTK, PDA,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 ▷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와 서버시스템이 통신하면서 지리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시스템 형태로 개발 ▷ 인력 및 경비를 최소화하고 기 구축된 지하시설물 DB활용을 높이기 위해 m-GIS 도입을 위한 기본 계획수립, 시범사업의 운영 필요

  23. 2.5 향후 수도GIS활용을 위한 단계별 추진계획

  24. 3. 결론 ▷ 국내 GIS 사업은 지형정보 DB구축에 주안점을 두고 구축됨 ▷ GIS DB 구축과 병행하여 2단계(GIS 기반 관망해석 시스템 구축, GIS를 이용한 업무시스템 틀 마련 등)를 적극 추진 필요 ▷ 최종단계인 정책운용단계(의사결정의 단계)까지 발전 하도록 하는 지속적인 투자와 의사결정권자의 의지 필요 ▷ GIS 전담인력의 보강과 전문가 양성을 조속히 실시하여 GIS기반의 업무시스템이 구축되도록 추진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