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likes | 891 Views
고 층 건 물 의 안 전 진 단 ( 피난시설 분야 ). 목 차. 고층 건물의 정의 건물 현황 양식 용어의 정의 직통계단의 설치 피난 및 특별피난계단 옥상광장 , 헬리포트 옥외로의 출구 관람석 출구 비상용 승강기 문제점 . 1. 고층 건물의 정의. 고층 건물이란 통상 아파트를 제외한 건축물로서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 가 11 층 이상 층의 건축물을 말하고 있다 초고층건축물에 대한 정의는 각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
E N D
목 차 • 고층 건물의 정의 • 건물 현황 양식 • 용어의 정의 • 직통계단의 설치 • 피난 및 특별피난계단 • 옥상광장, 헬리포트 • 옥외로의 출구 • 관람석 출구 • 비상용 승강기 • 문제점
1. 고층 건물의 정의 고층 건물이란 통상 아파트를 제외한 건축물로서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 가 11 층 이상 층의 건축물을 말하고 있다 초고층건축물에 대한 정의는 각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는 21층 이상으로 내진설계에 의한 구조 확인 안전대상물이나 건설업계에서는 ‘지상 50층 이상, 높이 200m 이상’인 건물을 초고층 마천루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웃 일본에서는 지상 20층 이상으로 60m를 초과하는 건축물을 말하고 있다 (안전신문 2007.12.28 기고 : 백 동 현 경원대학교 전기·소방공학부 교수)
2. 건물현황 • 건물구조 건축연도 허가 증‧개축 • 건축년도 전체 건물동수 【건물(층별)현황】
3. 용어의 정의 1. 피난층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으로 지형 등에 따라 하나의 건축물에도 여러 개의 피난층이 있을 수 있다(한양대학교,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신축 본관, 대전보건대 신축 본관 등). 2. 직통계단 건축물의 어떤 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이르는 경로가 계단과 계단참만을 통하여 오르내릴 수 있는 직통된 계단을 말하며 그 경로가 명백하여 쉽게 피난층까지 이를 수 있는 것이다. 3. 보행거리 보행거리란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피난층에 통하는 직통계단 중 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계단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10. 문제점 1.직통계단 수 • 계단 수는 양호하나 직통계단 규정에는 미달 -계단이 피난 층까지 직접 연결되지 않음 2. 피난 및 특별피난계단 • 계단실 출입문 개폐방향 불량 • 1층 또는 피난층의 출입문은 다른 층의 계단실의 출입문과는 반대로 계단실에서 옥외로 열리도록 설계,시공 되어야 하나 피난방향과 반대로 설계 및 시공됨. 예: 한양대학교 건물,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본관, 대전보건대 본관- 피난층이다수층임.
10. 문제점 3. 계단실 또는 전실의 방화문 미흡 • 자동폐쇄장치(D.C) 작동 및 설치 불량 • 방화문하부의 door stop 설치- 특히 아파트, 학교등 출입인원이 많은 건물 • 양측 여닫이문의 경우 : 자동폐쇄장치 (D.C) 의 작동순서 및 밀착 • 방화문 주위 틈새 밀폐 불량(하부 문턱 미 설치 등) • 1층 ,피난층 의 전실 또는 계단실에방화문 미 설치(백화점, 판매장, 영업장 등) • 1층 ,피난층 의 전실 또는 계단실에 방화셔터설치 (백화점, 판매장, 영업장 등) 4. 전실 및 계단실의 제연설비 불량 • 기준압 미달(특히 기존 건물)
10. 문제점 5. 피난구유도등 설치 미흡 •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등에 설치된 피난구유도등의 피난방향이 에스컬레이터,무빙워크 측으로 피난 하도록 설치(백화점,할인매장등) • 계단실 또는 전실에 설치된 피난구유도등이계단실 또는 전실에서 거실이나 작업장측으로 피난하도록 유도등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