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제 8 강 . 라오스의 사회와 정치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 8 강 . 라오스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라오스 개관. ○ 국가명칭 :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 국토면적 : 236,800㎢ 경작지 3%, 영구농지 0% 등 ※ 바다가 없는 것이 특징 : 국토의 4 면이 강대국에 의해 막혀 있음 . ○ 국가형태 : 사회주의공화국 ( 공산주의체제 ) ○ 국가수반 : 국가수반 → 대통령 ( 주석 )

Download Presentation

제 8 강 . 라오스의 사회와 정치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8강. 라오스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2. 1. 라오스 개관 ○ 국가명칭: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 국토면적: 236,800㎢ 경작지 3%, 영구농지 0% 등 ※ 바다가 없는 것이 특징: 국토의 4면이 강대국에 의해 막혀 있음. ○ 국가형태: 사회주의공화국 (공산주의체제) ○ 국가수반: 국가수반 → 대통령(주석) 내각수반 → 총리 ○ 의회형태: 임기 5년의 단임제 국회 (라오인민혁명당 일당독재) ○ 수 도: Vientiane (태국어: 위앙짠) ○ 종 교: 불교(소승불교) 95% 이상 ○ 인 종: 라오룸 68%, 라오틍 22%, 라오쑹, 몽(메우), 미엔(야오) 등 고산족 ○ 언 어: 라오어(태국어 북부 방언과 80% 이상 유사) 예] ไป (태국어): ໄປ (라오어) → 가다 예] 빠이 나이(태국어); 빠이 싸이(라오어) → 어디 가세요? 풋(2: 태국어); 빡(1: 라오어 ← 태국어로 입) → 말하다

  3. ○ 화폐단위: 낍 (Kip), USD 1$ = 8,558 Kip (2009년 기준) ○ 경제수준: 1인당 GDP = USD 2,100$ (2009년 기준) ○ 국 기: 2. 라오스의 현대 정치과정 1) 입헌군주제와 정치적 불안 (1950~1975) - 라오 잇싸라(자유 라오스)의 투쟁과 1947년 입헌군주제 전환 - 1950년 독립과 빠텟 라오의 분열 및 투쟁 지속; 좌파 vs. 우파의 극렬 충돌 2) 사회주의체제 수립과 자유화 (1975~현재) - 라오스의 공산화에 따른 정치/경제 중추기능 마비 - 1989년 최고인민의회 이후 점진적 시장개방 추진 - 1997년 아세안 가입 이후 본격적인 개방화 씨판던 (대통령) 위라찟 (총리)

  4. 3. 라오스의 외교정책 노선 ○ 라오스의 주요 특징 - 라오스의 경우 국토의 4면이 강대국으로 막혀 있으며, 바다가 없는 것이 특징 - 국토의 대부분이 산간지역 ○ 국가의 독립과정 이후 지속적으로 중립주의 외교정책 노선 채택 ○ 탈냉전 이후 외교정책 노선의 변화 - 1989년 자유화 조치: 경제발전과 해외투자 유치를 위한 노력 - 태국의 자본 침투와 Baht Bloc - 2000년대 이후 친중 경제협력 강화 - 서방 국가들과도 관계개선 노력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