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3

학 • 연 공동 레이더 집중관측 계획 ( 안 )

학 • 연 공동 레이더 집중관측 계획 ( 안 ). 2003. 5. 기상연구소. 발표 차례. 1. 배경 및 목적 2. 관측환경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4. 관측 장비 5. 2002 동계 학 • 연 강설 집중관측 6. 2003 하계 학 • 연 공동 레이더 집중관측 ( 안 ) 7.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1. 배경 및 목적. 국내 기상레이더 그룹의 효율적인 협력 - 레이더기상 연구의 활성 가용자원 이용 집중관측 및 공동연구 기상연구소 연구용 도플러 레이더 활용 - 새 관측환경

pelham
Download Presentation

학 • 연 공동 레이더 집중관측 계획 ( 안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학•연 공동 레이더 집중관측 계획(안) 2003. 5. 기상연구소

  2. 발표 차례 1. 배경 및 목적 2. 관측환경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4. 관측 장비 5. 2002 동계 학•연 강설 집중관측 6. 2003 하계 학•연 공동 레이더 집중관측(안) 7.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3. 1. 배경 및 목적 • 국내 기상레이더 그룹의 효율적인 협력 - 레이더기상 연구의 활성 • 가용자원 이용 집중관측 및 공동연구 • 기상연구소 연구용 도플러 레이더 활용 - 새 관측환경 • 공동관측 정례화를 위한 협의 - 2002 동계 학‧연 집중관측 사례

  4. 2. 관측환경-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한반도 남서지역 악기상 감시 -

  5. 무안 연구용 도플러 기상 레이더 기상대 및 AWS 관측 사이트(31) 지방청 기상대 고층관측소 무안 연구용레이더 2. 관측환경- 기상대, 관측소, AWS - 광주(청) 광주(고) 무안레이더 목포(기) 해남(고) 진도(기) 완도(기)

  6. 2. 관측환경- 기상레이더, 국가 악기상 집중관측센터 -

  7.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운영 - • X 밴드, 반사도, 도플러, 이중편파 • Antenna scan strategy Volume scan RHI in KEOP-site direction Distance = 65.602 km Azimuth = 157.2o

  8.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자료처리 - Radar operating • Established in the radar • shelter • Redhat Linux 7.2 • EDGE • - Enterprise Doppler • Graphics Environment • - Control the radar • operation in an • interactive manner • - EDGE format data • - 2.4o PPI and RHI • images • TRMM/RSL • - data conversion from • EDGE format to • universal format (UF) Data processing • Established at the Control Office • SunOS Solaris 5.7 • Coordinate transformation from radar to Cartesian • ASCII data, CAPPI images, and vertical cross- • sectional images Data archive and support Web server of METRI • 2.4o PPI, CAPPI, RHI, and vertical cross-sectional • displays • Reflectivity, radial velocity, column maxima, • spectral width, radial shear, azimuthal shear, and • combined shear

  9.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자료종류 : 2.4o PPI - 1) REFLECTIVITY 2) RADIAL VELOCITY 3) COLUMN MAXIMA provides an estimate of the maximum reflectivity observed above each point. 4) SPECTRAL WIDTH measures the variability of the radial velocity, used to measure turbulence. 5) RADIAL SHEAR measures radial velocity change with respect to change in range, indicating areas of convergence or divergence. 6) AZIMUTHAL SHEAR measures the rate of change of the radial velocity component in the azimuthal direction, used to detect t the areas of rotation, tornado, and mesocyclones. 7) COMBINED SHEAR measures the vectorial addition of radial shear and azimuthal shear.

  10.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자료종류 : CAPPI 와 RHI - • CAPPI • Constant altitude PPI of reflectivity and radial velocity from 1- to 6-km • altitude in a 0.5-km interval • RHI in KEOP-site direction - Range height indicator at an azimuth of 157.2o, matching the exact direction of Korea Enhanced Observing Period (KEOP) field site • located at Haenam Weather Observatory • - Reflectivity, radial velocity, column maxima, spectral width, radial • shear, azimuthal shear, and combined shear

  11.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자료종류 : 서해안 RHI - To support a regional-scale forecasting 15 km north of RADAR site 15 km south of RADAR site

  12.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반사도 분류와 강우강도 추정 - • 반사도 분류 • - BL algorithm for the partitioning of radar reflectivity into • convective and stratiform rain classifications • 반사도 분류를 이용한 강우강도 추정

  13.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단일 도플러 레이더 바람 추정 - VAD (Velocity-azimuth Display) VVP (Volume Velocity Processing)

  14. 850 hPa on 00 UTC 18 April 2003 Muan 1st guess Analysis (Muan) All Analysis (all)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수치예보에의 응용(예보연구실) - KLAPS: 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15. 3.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동계강설 관측사례- 08:00 KST 08:30 KST

  16. 4. 관측장비- 국지 악기상 집중관측센터(예보연구실) - Autosonde : • 3시간별 무인 자동 고층 관측 • GPS 바람관측, 최대풍속(20 m/s) • UHF 안테나 • 1회 최대 24개 벌룬 장착 Wind Profiler : •수직측풍장비 •풍속 분해능 : 수평(0.1 m/s), 수직(0.01 m/s) •풍향 분해능 : 1o•측정고도 : 200 m – 9 km •송신 주파수 : 1.3 GHz Optical Rain Gauge : •광학강우강도계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강우와 강설 관측 Micro Rain Radar : •강우 연직구조 관측 • K-band •연직 해상도(35-200 m) •최대탐측고도(6,000 m) • FM-CW 방식

  17. 4. 관측장비- 광주지방기상청 - 진도 기상레이더(S 밴드) 군산 기상레이더(C 밴드) 고층기상관측 지상기상관측

  18. 5. 2002 동계 학•연 강설 집중관측 • 관측 기간 및 참가 기관 • - 기간 : 2002. 1. 24. – 1. 27. • -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환경대기 확산 및 레이더 탐측실험실 • (GEAR) • -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 기상청 기상연구소 • 관측 장비 • - X-band Doppler Radar , POSS • - Rain gauge(0.1m), AWS, Air Sonde, 접사 촬영기, Snow sampler, • Filter paper • - PM10 sampler , High Volume Air sampler, Handy sampler,Aerosol • monitor, Digital video camera 2

  19. Snowfall Rainfall 5. 2002 동계 학•연 강설 집중관측- POSS를 이용한 DSD 관측 - Precipitation Occurrence Sensing System (POSS) 일반적인 강수 패턴과 상이. 강설낙하 속도에 적합한 주파수 선정 필요

  20. 6. 2003 하계 학•연 공동 레이더 집중관측(안)- 개요 - • 관측대상 및 일시 • - 태풍, 장마전선, 집중호우 등 하계 악기상 • - 상황에 따라 관측일자 및 기간 사전 협의조정 • 참여기관 • - 대학 : 경북대, 부경대 레이더기상 연구그룹 • - 광주지방기상청 • - 기상연구소 등

  21. 6. 2003 하계 학•연 공동 레이더 집중관측(안)- 관측장비 - • 부경대, 경북대 • - POSS, Filter paper, rain gauge 등 • 광주지방기상청 • - 종관 지상 및 고층 관측, AWS 관측 • - 진도기상레이더 : 반사도, 시선속도 • 기상연구소 • -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 반사도, 시선속도, 이중 • 편파 • - 해남 국가 악기상 집중관측 센터 : 윈드 프로파일러, • 오토존데, 광학강우강도계, 마이크로강우레이더 등 • 기타 가용 관측장비

  22. 7.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 악기상 연구 기반자료 생산 및 연구 • - 다양한 관측 자료 이용 • 악기상 특성 분석 및 조기 탐지 연구 • 관측 장비 특성 비교 분석 • 레이더 비교 연계관측에 의한 레이더 자료 품질 향상과 입체 • 적 바람장 산출 등 레이더기상 연구 활성화 • 장비 운영 기술 교류 및 분석 결과의 공유를 통한 상호 연구 • 능력의 증대 • 학•연 공동 관측 및 연구 활성

  23. We welcome your visit to METRI X-band Doppler radar site. We thank you..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