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359 Views
(Positive). 반도체. 2010 년 , 2006 년을 상회하는 호황 도래할 전망. • 2010 년 전망 2010년 DRAM과 NAND를 합한 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는 489억달러로 메모리 반도체 역사상 최고의 호황기였던 2006년 478억달러 를 상회하는 규모 예상 . DRAM과 NAND 시장 규모 각각 301억달러와 188억달러로 추정 2010 년 DRAM 출하 증가율은 47.9%, NAND 출하 증가율은 81.4% 불과할 전망
E N D
(Positive) 반도체 2010년, 2006년을 상회하는 호황 도래할 전망 • • 2010년 전망 • 2010년 DRAM과 NAND를 합한 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는 489억달러로 메모리 반도체 역사상 최고의 호황기였던 2006년 478억달러를 상회하는 규모 예상. DRAM과 NAND 시장 규모 각각 301억달러와 188억달러로 추정 • 2010년 DRAM 출하 증가율은 47.9%, NAND 출하 증가율은 81.4% 불과할 전망 • 수요 측면에서는 DRAM의 경우 기업들의 IT spending 확대가 수요 증가 driver로 작용할 전망이고, NAND의 경우 SSD와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가 지속적 수요 증가 driver로 작용할 전망 • • 이슈 • Windows 7, 새로운 주력 OS로 등장할 전망 • 대만 DRAM업체 현황: Nanya와 Inotera만이 경쟁력 있는 DRAM업체로 남을 전망 • • Key Words ― 미세공정(DDR3) / MS효과, 인텔효과, 애플효과 ― [주요 지표] 반도체 가격 동향 / 해외 후발업체 뉴스 동향 • • 투자유망종목 • 삼성전자(005930.KS / TP 940,000원): 반도체 부문이 실적개선 주도할 전망 • 소디프신소재 (036490.KQ/ TP 115,000원) :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한 원가 절감 및 시장 지배력 강화 기대 • 유진테크 (084370.KQ / TP 15,000원) : Key Driver는 미세공정화 • 삼성테크윈 (012450.KS / TP 120,000원) : 신규 추진 사업의 가시화가 주가 상승 견인할 전망
(Neutral) LCD 불안함 속에 수급 균형 유지될 전망 • • 2010년 전망 • 지난 10월 이후 하락 반전한 LCD 패널 가격 하락세는 단기간 내 상승 반전은 힘들어도 2010년 1분기 중 하락폭이 완만해 질 것으로 예상되고, 월별 실적 기준 2010년 1분기 중 LCD 산업이 업황 저점을 통과할 전망 • 그 이유는, 대부분의 LCD 패널업체들이 2010년 1분기 가동률을 하향 조정할 것으로 판단되고, 수요 측면에서는 Set업체들의 re-stocking이 2010년 중 개시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 • 2010년 LCD 패널 생산 Capa 증가율은 13.5% 사상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지만, 전년 대비 평균 가동률의 상승으로 면적 기준 패널 공급 증가율은 전년 14.7% 대비 3.4%p 증가한 18.1%로 추산 • 전년 대비 가동률 상승 전망에도 불구, 최근 LCD업체들의 재무 상황과 수익성 수준을 감안할 시 금융 위기 전의 90%대 중반(CCF 기준 64%)까지의 가동률 상승은 자제될 전망. 결국, 제한적 가동률 상승이 LCD 업황 회복의 key로 작용할 전망이고, 언제 가동률이 재상승할지에 대한 예측 불허 상황 속에 수급 균형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 • • 이슈 • 2010년 LCD 패널 수급의 LCD TV 출하량과 평균 크기에 대한 민감도 분석 • LCD 패널 업계의 공격적 설비 증설이 자제되는 원인은? • • Key Words • 애플 태블릿 / e-book / flexible display / • [주요 지표] LCD 가격 동향 / 해외 경쟁업체 뉴스 • • 투자유망종목 • LG디스플레이(034220.KS / TP 43,000원): 불황기를 거치면서 시장 장악력 확대 • 에이스디지텍(036550.KQ / TP22,000원) : 본격적인 성장을 위한 조건들을 확보하는 중 • 테크노세미켐(036830.KQ /TP 23,000원) : 패널업체들의 FAB 증설에 따른 수혜 전망
전기전자 (Positive) 환율 하락에도 불구,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은 유지 • • 2010년 전망 • 2010년에 PC, 휴대폰, 가전, LCD TV의 글로벌 수요는 완연한 회복세를 시현할 전망 • 하지만, 원화 강세, 경쟁업체들의 재정비로 경쟁강도는 2009년 대비 더욱 강하게 나타날 전망 • 2010년에도 국내 업체들의 구조적 경쟁력이 여전히 발휘될 것으로 예상 • 초고압 전력선은 각국 정부의 송전망 투자 확대에 따라 연평균 8%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갈 전망 • • 이슈 • LED가 응용 영역 다변화를 통해 어느 정도 성장할 것인가가 중요, 특히 LED TV의 성장 속도에 관심 요망 • AM-OLED, 자동차용 2차전지, MLCC가 2010년에 투자가들의 관심을 받게 될 주요 부품들로 판단 • • Key Words • ― LED, AM OLED, 3D • ― [주요 지표] 원/달러 환율, 엔/달러 환율 동향 • • 투자유망종목 • 삼성전기(009150.KS / TP 130,000원): LED, MLCC, FC-CSP에서 강력한 실적 모멘텀 발생 중 • 이엘케이(094190.KQ/ TP 30,000원): 2010년 가장 돋보이는 터치패널 업체가 될 전망
(Positive) 통신장비 터치폰, 스마트폰의 증가에 따라 국내 업체들의 수혜는 지속 전망 • • 2010년 전망 • 신규 application의 발생과 중국의 3G서비스 활성화로 글로벌 휴대폰 수요는 완연한 회복기조를 나타낼 전망 • 스마트폰의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점유율 상승 추세는 지속될 전망 • 특히 성장성이 가장 돋보일 터치패널 업체들에게 관심을 요망 • • 이슈 • 모토로라가 컴백 스토리를 어떻게 보여주느냐에 따라 국내 업체들의 희비가 엇갈릴 전망 •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상승을 나타낼 수 있느냐와 LG전자는 저가폰 시장에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2010년 두 업체들의 휴대폰 실적을 좌우할 핵심 포인트 • • Key Words • 스마트폰, 안드로이드폰, 터치폰, 3W(W-CDMA,Wibro, Wifi) • [주요 지표] 원/달러 환율 • • 투자유망종목 • LG전자(066570.KS / TP 170,000원): PER 6배를 기록하고 있는 현재주가는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PER 밴드에 위치 • KH바텍(060720.KQ/ TP 58,000원): 글로벌 부품업체로 부각 중
유통 (Positive) 소비 확장, 이익모멘텀 개선으로 견조한 주가 흐름 예상 • • 2010년 전망 • 상반기, 유통업종 수익률은 KOSPI 상회 예상. Valuation 밴드(KOSPI 대비 PER 프리미엄 -21~130%)의 상단을 목표 • 업종 이익모멘텀 개선(EPS 증가율(y-y): ’09년 5.0%, ’10년 13.4%)과 제조업 이익모멘텀 둔화로 상대적 이익모멘텀 회복 • 고소득층 중심의 소비 확대가 2010년 상반기에는 중산층으로 점차 확대되며 소매 경기 회복이 본격화 예상 • • 이슈 • 기업들의 설비 투자 증가와 고용 환경 개선은 중산층 이하 계층의 근로 소득 증가로 연결 전망 • 남아공 월드컵은 업계의 긍정적 마케팅 재료. 반면, 지방선거는 신규 출점 규제 등에 대한 논쟁 가열시킬 듯 • 하반기에는 금리 인상 효과와 원화 강세 효과가 강해지면서 가계 소비와 내수 소매 시장에 점차 부담 요인으로 작용 전망 • • Key Words • ― 경쟁 격화 / GS 리테일 매각 / 자원개발(상사) / SSM (기업형 슈퍼마켓) / 종편선정(신규홈쇼핑) • ― [주요 지표] 금리인상 / 소비자 심리지표 • • 투자유망종목 • 현대백화점(069960.KS / TP 160,000원): 고소득층 소비 및 비용 경량화, 매장면적 확대를 바탕으로 견조한 이익모멘텀 • 신세계(004170.KS/ TP 710,000원): 이마트의 이익모멘텀 회복과 백화점 신규점 효과, 중국사업 턴어라운드에 주목
미디어/광고 (Positive) 광고경기 회복과 규제완화 시현이 본격적 지수 상승을 주도할 전망 • • 2010년 전망 • 2010년에는 미디어/광고 업종 지수 상승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 Valuation 밴드의 상단을 시야에 둔 접근 권유 • 본격적인 광고 경기 확장 국면 진입과 규제 완화의 시현에 따라 상반기중 업종의 상대적 이익모멘텀이 크게 개선될 전망 • 또한, 규제 완화에 의한 광고 시장 확장이 업종의 투자지표를 낮추어 valuation 매력을 높일 수 있는 점도 감안할 필요 • • 이슈 • 벤쿠버 동계올림픽, 남아공 월드컵 등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는 광고 시장 확대와 함께 지수 상승세에 탄력을 줄 것으로 기대 • 전년 국회를 통과한 미디어 법안을 근거로 한 각종 규제 완화가 2009년말부터 2010년중에 구체화 될 전망 • 하반기에는 민영미디어렙 런칭, KBS 수신료 인상과 종합편성 채널 시험방송이 행해질 수 있을 것. 업체별 차별 접근 필요 • • Key Words • 대형이벤트(올림픽, 월드컵, 아시안게임, 상하이엑스포) / 민영미디어랩 / KBS 수신료 인상 / 간접광고 • [주요 지표] 광고 동향 • • 투자유망종목 • 제일기획(030000.KS / TP 400,000원): 대형사 중심의 광고주 믹스로 2010년 광고 경기 회복 및 규제 완화의 최수혜주 • 온미디어(045710.KS/ TP 5,300원): 매출원 다변화와 원화 강세에 따른 원가 절감 등으로 2010년 강한 이익모멘텀 기대
자동차 (Positive) 산업구도 개편 이후 진정한 옥석 가리기 • • 2010년 이슈 및 투자포인트 이슈 1. 2009년 주가 상승을 견인한 미국 점유율 상승 지속 될 것인가? 투자포인트 1. 불황기 주가를 견인한 미국 점유율 상승 모멘텀 2010년에도 지속 될 전망 이슈 2. 2010년 원/달러 환율 하락에도 수익성 방어 가능할 것인가? • 투자포인트 2. 판매 믹스 개선 및 가동률 상승으로 이익방어능력 부각 될 전망 이슈 3. 수입차 시장 본격 활성화로 국내 업체 이익 악화 될 것인가? • 투자포인트 3. 수입차 성장에 따른 이익 훼손은 해외공장 성장으로 상쇄 가능할 전망 • • Key Words ― 신모델 뉴스 (소나타, 싼타페) / 수입차 대중화 / 세제혜택종료 • [주요 지표] 원달러 환율 / 미국, 중국, 유럽등 자동차 판매동향 • • 투자유망종목 • 현대차(005380.KS / TP 125,000원) : 환율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차종 믹스 개선과 가동률 상승으로 상쇄 가능할 전망 • 현대모비스(012330.KS / TP 205,000원) : 핵심부품 사업의 성장성, A/S사업의 안정적 수익성이 동시에 확보
(Positive) 의복 2010년, 1년 이상 침체되었던 의복 경기 회복 신호가 보인다. • • 2010년 전망 • 2010년 의복 경기 호전 예상, 의복경기 회복을 가리키는 지표들 점검 • (1) 4Q09 이후 민간소비 성장률 회복과 맞물린 의류소비 회복 기대 • (2) 의류비지출계획 CSI의 상승 추세 • (3) 백화점 의류매출의 성장률 확대 • (4) 기업경기실사지수의 상승세 • • 이슈 • 패션 유통 패러다임의 변화는 향후 의복업체 수익구조에 우호적 • (1) 해외 SPA 성공사례, (2) 국내 브랜드도 대형 메가숍 전개로 탈백화점화 진행 중 • • Key Words • ― 날씨 / 해외 SPA 런칭 • ― [주요 지표] 소비지표 / 백화점 의류 매출 / 가계 소득 • • 투자유망종목 • 한섬(020000.KS / TP 23,000원) : 랑방콜렉션 출시와 온라인핸드백사이트로 추가 성장 동력 모색 중 • LG패션(093050.KS / TP 33,000원) : 브랜드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Bargaining power 및 장기 성장 모멘텀 확대
(Positive) 교육 2010년 교육시장의 화두는 입학사정관제 정착 여부 • • 2010년 전망 • 2010년 교육시장, 온라인 시장 성장과 오프라인 시장 위축 전망 • 2010년 사교육 시장 성장률 회복 예상 (1) 가계수지 중 소비 지출 비중 증가, (2) 오프라인 학원 수요 위축은 온라인 교육 매체로 대체 중, (3) 교육비지출계획CSI 꾸준히 상승 중 • • 이슈 • 2010년 사교육 시장, 외고 폐지냐 변형이냐가 가장 큰 이슈 • 자율형사립고의 확대로 특목고 지원 수요 축소예상, 이는 내신 대비 시장 활성화로 연결될 전망 • 입학사정관제도가 2010년 가장 중요한 대입 선발 요소로 부각될 전망 • • Key Words • ― 외고 폐지 이슈 / 사교육비 경감 / 신종플루 / 입학사정관제 도입 / U-Class • • 투자유망종목 • 웅진씽크빅(095720.KS / TP 28,000원): 신규 제품 개발로 기존 사업부 외형 모멘텀 지속 중 • 메가스터디(072870.KQ/ TP 280,000원): 과거 고등부에 힘입은 성장, 향후 중등부/신규사업 성장 기대
(Positive) 제약/바이오 Healthcare 시장의 변화, 제약업종 프리미엄 정당한가? • • 2010년 전망 • 2010년에는 시장을 키워나갈 수 있는 회사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전망. 이는 1) 국내 리베이트 근절 및 약가 인하 개선안 등 정부의 약가 인하 압력 지속 2) 2008~2013년 연평균성장률이 선진시장은 3~6%인 반면, 신흥시장은 13~16%으로 전망되는 등 신흥시장의 성장률이 눈에 띄게 증가 3) 미국을 비롯한 선진시장에서 의료법개혁안이 진행 중에 있으며, 제네릭의약품 시장 확대에 따라 제네릭 회사들의 성장이 전망되기 때문 • • 이슈 • 제약업종 프리미엄은 정당한가? • 헬스케어 산업의 변화가 무엇인가? • • Key Words • 정부 규제 (리베이트근절, 약가개선) / 미국 건강보험 개혁안 / 신약모멘텀 / 바이오시밀러 / U헬스케어 • [주요 지표] 건강보험재정 뉴스 • • 투자유망종목 • 한미약품(008930.KS / TP 152,000원) : 무한 가능성의 해외시장으로 진출 • 대웅제약(069620.KS / TP 72,000원) : 다수의 신약개발 과제 확보로 내부 경쟁력 강화, • 종근당바이오(063160.KS / TP 35,000원) : 원료의약품 산업구도 변화의 최대 수혜주가 될 전망
(Neutral) 음식료 2010년 음식료업종 과거의 영광 재현 가능한가? • • 2010년 전망 • 음식료업체의 가격 결정력 약화로 인해 과거와 같은 높은 프리미엄은 어려울 전망 • 하지만 2010년 점진적인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 2009년 음식료업종 지수는 시장대비 30% 정도 디스카운트 되어 거래되었으나, 최근에는 디스카운트 폭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임. 참고로 음식료업종 지수는 2004년 이후 시장대비 28% 프리미엄 거래되었음 • • 이슈 • 제품가격 인상은 음식료업체 수익성 개선의 원동력이지만, 2010년 대대적인 제품가격 인상은 어려울 것으로 당사 전망 • 미국 USDA의 ‘전세계곡물수급전망’ 11월 자료에 의하면 2010년 곡물 공급량 증가율 3.1% vs 소비량 증가율 0.3%로 공급량이 더 빠른 속도로 증가 전망. 이에 따라 재고량 증가율도 19.8% 증가 예상(9월 22.7%, 10월 22.3%) • 원/달러 환율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이에 따른 음식료업체 원가율 개선 기대. 하지만 원화 절상 속도는 둔화될 전망 • • Key Words ― 유통업체의 단가인하 압력 / 정부의 물가안정대책 ― [주요 지표] 원달러 환율 / 곡물가격 동향 • • 투자유망종목 • 오리온(001800.KS / TP 320,000원): 2011년 Pan Orion 상장에 대한 기대 • CJ제일제당(097950.KS/ TP 280,000원): 환율하락의 수혜 및 해외 바이오 자회사 가치 • 대상(001680.KS/ TP 12,000원): 식품사업 구조조정 결실 맺을 전망
항공/육운(Positive), 해운(Neutral) 운송 항공 및 육운업종 중심의 투자전략 유효 • • 2010년 전망 • 항공: 경기회복으로 화물부문 수익성 개선. 신종플루 이연수요로 여객수요 급증세 예상. 원화강세 효과 본격화 전망 • 해운: 상반기 운임부진과 운항원가 상승으로 영업손실 불가피. 해상운임 상승반전 시점은 2010년 3분기 이후 가능 예상 • 육운: 물류산업 중장기 고성장성 유지 전망. 대형사 위주의 시장 구조재편. 제 3자 물류사업 및 수송 효율성 강화 전망 • • 이슈 • 항공화물수요 호조 지속과 신종플루 이연수요 본격화 전망. 인천공항 동북아 허브로 자리매김, 중장기 고성장성 확보 • 해상운임의 본격적인 상승 반전은 아직 시기상조 • 택배사업 턴어라운드와 물류사업 본격적인 회복세 • • Key Words • ― 항공 : 중국 무비자 입국 / 원달러 환율 / 출입국자수 / 유가동향 • ― 해운 : 해운사 구조조정 / 중국 긴축 우려 / 물동량 / 원자재동향(철광석, 유연탄) / BDI지수 / 선박공급량 • • Top Picks • 대한항공(003490.KS / TP 62,000원): 원화강세와 제트유가 안정화로 수익성 급개선 전망 • 글로비스(086280.KS/ TP 130,000원): 현대차그룹의 수송물량 확대로 중장기 영업실적 급증세 예상
(Neutral) 조선 조선부문은 부진하지만, 해양/플랜트 등 비조선부문은 호조 • • 2010년 전망 • 상반기에는 신조선 발주 부진이 이어질 전망. 또한 인도연기로 인한 건조스케줄 조정이 본격화될 전망 • 유가 상승으로 해양 관련 프로젝트 본격적으로 부각 전망. 페트로브라스와 엑슨모빌 발주 예정으로 한국 조선업계 수혜 기대 • 하반기 이후 신조선 발주 회복과 신조선가 상승 반전 예상. 신조선가는 조선사의 제조원가 마지노선에 다다른 상황 • • 이슈 • 신조선가 상승반전 시점은 2010년 하반기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 • 해양/플랜트 등 비조선부문의 호조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세계 해운업계의 부실로 인해 국내 조선업계의 발주취소 및 인도연기 부담 확대 • • Key Words • ― 선박 인도연기, 취소 뉴스 / 해운업 구조조정 / 해외수주 (플랜트) • ― [주요 지표] BDI지수 / 선박가격 • • 투자유망종목 • 현대중공업(009540.KS / TP 240,000원): 세계 1위 조선사에서 세계 1위 중공업체로 성장할 전망 • 삼성중공업(010140.KS/ TP 43,000원): 드릴쉽, LNG-FPSO 부문 독보적인 우위
(Neutral) 유틸리티 경기민감주 대비 매력 낮으나 규제 완화 등 이슈별 접근 유효 • • 2010년 전망 • 2010년 유틸리티업종은 규제 완화 이슈가 부각될 전망이며, 영업실적 및 현금흐름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 이상과 같은 긍정적인 내용들이 있으나 경기회복 기조로 경기 민감주들의 부각이 예상되어 유틸리티업종의 상대적인 투자 매력도는 낮을 것으로 예상 • 따라서 2010년 유틸리티업종에 대한 투자전략은 주요 이슈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때 종목 위주 접근 유효 • • 이슈 • 규제완화가능성에 주목 : 요금에 대한 규제는 국내 유틸리티업체 저평가의 주요인 • 전기요금 연료비 연동제 시행 가능성 주목. 가스요금 연료비 연동제 연초 재시행 예상. 가스공사 미수금 축소를 위한 요금 인상도 예상. 가스공사 해외자원개발수익에 대한 규제 해소 가능성도 있음 • 유가상승으로 자원개발업종 재부각가능성 • ― 국내외 원자력 발전 증설확대에 따른 관련종목 부각 • • Key Words • ― 연료비연동제 / 가스공사 미수금 / 요금인상 / 해외 모멘텀 • ― [주요 지표] 전력, 가스 판매동향 / 유가 및 환율 동향 • • 투자유망종목 • - 한국전력(015760.KS / TP 43,000원): 연료비 연동제 시행과 해외 전력사업 가속화 • - 한국가스공사(010140.KS/ TP 65,000원) : 미수금 감소와 자원개발 가치 부각
(Positive) 철강 2010년 상반기 철강가격 상승 예상 • • 2010년 전망 1) 중국을 포함 글로벌 철강 수요 회복 예상 • 2010년 세계 철강 수요 9% 증가 전망 • 2) Cost push에 의한 철강가격 상승 예상 • 철광석 및 석탄 가격 각각 15%, 30% 상승 전망 • 수요가 뒷받침된 상황에서의 원재료가격 상승은 철강가격으로 전가 가능 • • 이슈 • POSCO, 인도제철소 투자 개시 예상. 철강수요 잠재력이 높은 인도 진출로 시장 선점 효과 예상 • 현대제철, 고로 가동 개시. 봉형강업체에서 판재류업체로 변신. 성장가치 제고 예상 • • Key Words • ― 중국 긴축 우려 / 중국 경기 회복 / 중국 철강산업 구조조정 / 국내 철강업체 신규 투자 / 동국제강 M&A • ― [주요 지표] 중국 철강가격 / 철광석 가격 / 환율 • • 투자유망종목 • POSCO(005490.KS / TP 700,000원): 영업실적 2010년 개선세 이어질 전망 • 현대제철(004020.KS/ TP 97,000원): 양호한 철근 마진과 고로 완공시 생산능력 변화
(Neutral) 화학/정유 연말을 기점으로 석유화학은 peak out, 정유는 bottom out 전망 • • 2010년 전망 • 공급급증에 따른 석유화학제품 공급과잉 상황 진입 예상 • 정제마진, 수요증가에 힘입어 완만하게 회복 전망 • 폴리실리콘 공급과잉심화 예상 • • 이슈 • 중국, 중동,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 신증설 석유화학공장 본격 가동 • 정제마진 개선을 이끌 석유제품 수요 회복은경유가 견인할 전망 • 글로벌 폴리실리콘 수급 악화 일로 • • Key Words • ― 화학 : 중동, 중국 신증설 / 중국 긴축 우려 / 그린홈 및 온실가스 규제 / 화학제품 가격동향 • ― 정유 : 중국 긴축 우려 / 정제마진 / 유가 상승과 자원개발이슈 • • 투자유망종목 • SK에너지(096770.KS / TP 140,000원): 정제마진 개선에 힘입어 점진적 실적개선 전망 • 삼성정밀화학(004000.KS/ TP 65,000원): 기존사업 안정적 실적흐름 지속 전망
(Positive) 기계 원자력 발전은 향후 한국의 주력 산업 • • 2010년 전망 • 글로벌 경기 및 금융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기계업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유지 • 향후 이산화탄소 배출, 자원 외교, 대체에너지 수요 증가 등을 감안할 경우 원자력 발전수요에 대한 기대감 고조 • 원자력 발전 뿐만 아니라 건설중장비, 발전설비업체 등의 산업재 수요도 확대될 전망 • • 이슈 • UAE 원전 첫 수출에 대한 기대감 고조. 2010년에도 요르단, 카자흐스탄 등에 한국형 원전 수출 계획되어 있어, 원자력 발전 수출에 대한 이슈는 지속될 전망 • 향후 온실가스 관련한 새로운 국제협약이 체결될 예정. 선진국 이외에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이 핵심 안건 • 경기회복에 따른 중동, 남미 등의 신흥국가에서 발전, 담수, Oil & Gas 및 해양플랜트 산업 등에서 수주가 재개될 전망 • 건설중장비시장은 국내는 4대강 사업의 본격화, 중국은 서부대개발 투자, 신흥국가의 SOC 투자 등으로 인해 수요 확대 • Key Words • 해외 수주 모멘텀 / 원자력 / 중국 도시화 / 유가상승 • [주요 지표] 중국 금리인상 / 중국 굴삭기판매동향 / 유가 • 투자유망종목 • 성광벤드(014620.KQ / TP 30,000원) : 대형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 • 두산인프라코어(042670.KS / TP 24,000원) : 실적개선 속도는 점차 빠르게 회복될 전망 • 두산중공업(034020.KS / TP 85,000원) : 원자력 발전시장의 확대에 따른 최대 수혜주
(Neutral) 통신서비스 2010년 3대 Key Words: 무선인터넷, B2B, 해지율 하락 • • 2010년 전망 • 결합서비스 확대로 해지율 하락, 수익성 개선 기대되며, 마케팅비용 Story를 넘어 새로운 성장 Story 부각 기대 • 스마트폰 보급확대, 정액제 보편화, WiFi/WiBro 활용에 따른 무선인터넷 성장 Story 가시화될 전망 • M2M, LBS, 모바일솔루션 등을 기반으로 B2B 성장성이 시장의 관심을 끌 전망 • • 이슈 • 전 세계적인 무선인터넷 고성장 추이, 2010년 국내 무선인터넷 성장세는? • 초기 단계인 국내 모바일 법인시장, 과연 B2B 성장성이 시장의 주목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인가? • 통신 3대 그룹 형성 이후, 해지율 하락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 • Key Words • ― 스마트폰 / 무선데이터 성장세 / 번호이동 2년 경과 / 통신 장비투자 / SKT+SKB 합병 이슈 / 컨버전스 • ― [주요 지표] 번호이동 가입자, VoIP, IPTV 동향 • • 투자유망종목 • SK텔레콤(017670.KS/ TP 230,000원) : 실적 개선 기대 크며, B2B 성장성 부각 가능 • KT(030200.KS / TP 55,000원): 밸류에이션 매력 크고, 배당 매력 또한 최고 수준 • LG텔레콤 (032640.KS/ TP 13,000원) : CAPEX 부담 있으나 합병으로 극복 가능할 전망 • SK브로드밴드 (033630.KQ / TP 6,500원) : 2009년 가입자 확보, 2010년에는 턴어라운드
(Positive) 인터넷 모바일인터넷, 2010년 새로운 인터넷 세상을 열다 • • 2010년 전망 • 2010년 인터넷광고 시장규모 1조 5,600억원(+17% y-y)에 이를 전망, 이는 전체광고 시장의 19.8% 수준 • 1월말 업체들의 실적 발표로 온라인광고시장 성장성 재부각될 전망, 이에 따른 단기 주가모멘텀 기대 • 제휴업체 변경에 따라 다음의 검색광고 매출 한 단계 성장 예상되며, NHN의 경우 2010년말 검색광고제휴 계약 만료 추정 • • 이슈 • 모바일인터넷 시장 부각 예상되며, NHN과 다음은 CP로서 향후 모바일광고 시장 성장에 대비 • 경기회복, 남아공 월드컵 등으로 인터넷광고 시장 회복 전망 • 검색광고 제휴변경 관련 상반기에는 다음, 하반기에는 NHN 부각 전망 • • Key Words • ― 대형 이벤트 (올림픽, 월드컵 등) / 신규게임 출시 / 모바일 인터넷 • ― [주요 지표] 포털 검색 트래픽동향 / 게임 동접자수 • • 투자유망종목 • NHN(035420.KS / TP 230,000원): 인터넷광고 시장 회복의 최우선 수혜주 • 다음(035720.KQ/ TP 82,000원): 인터넷광고 시장 회복 + 오버추어 효과
(Positive) 건설 2010년에도 해외 수주 모멘텀은 지속된다 • • 2010년 전망 • 2009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되고 있는 해외건설 수주모멘텀 2010년에도 지속될 전망 • 주택시장 양도소득세 과세특례 혜택 종료되는 2010년 2월 이후 일정기간 조정 불가피하나 하반기 반등 모색할 전망 • 2010년 상반기까지 공공부문이 민간부문 수주감소 보완할 전망 • • 이슈 • 상반기 UAE Shah 가스전 개발, 사우디 Yanbu 정유공장 등 대규모 프로젝트 발주 예상 • 2월 이후 양도세 혜택 종료에 따라 신규분양물량 급감할 전망 • 민간부문 투자확대를 위해 분양가상한제 폐지논의 활발해질 전망 • • Key Words • ― 해외 수주모멘텀 / 양도세 혜택 종료 / 금리인상 가능성 • ― [주요 지표] 미분양 주택수 / 유가 동향 • • 투자유망종목 • GS건설(006360.KS / TP 145,000원): 해외건설 매출 증가율 업계 최고수준 전망 • 대림산업(000210.KS/ TP 112,000원):대형건설사 중 유일하게 시장대비 저평가
(Positive) 은행업 산업재편에 따른 기대감과 수익성 안정화 • • 2010년 전망 • 양적(자산성장)인 요소와 질적(NIM 및 대손비용)인 요소 모두 2009년 수준을 상회하며 수익성의 완만한 안정세를 전망 • 금리인상으로 제한적 범위 내에서의 순이자마진 개선 기대 • 상반기 중 시행 예정인 상시구조조정을 감안하면 대손부담의 실질적 경감은 경기개선이 본격화되는 하반기 중 예상 • M&A에 가시화에 따른 대상 금융기관에 대한 Valuation premium 정당화되며 투자매력도 높아질 것으로 판단 • • 이슈 • 출구전략 시행에 따른 기준금리인상과 유동성 조절이 순이자마진의 추가적인 회복으로의 연결 정도 • 잠재적 부실 발생 우려, 상시구조조정으로 완충 가능한지 여부 • M&A 활성화에 따른 국내금융기관의 구조적 변화 가능성에 주목 • • Key Words • ― 금리인상 가능성 / 대출 부실화 / 미국 상업용 부동산 / M&A 이슈 / 메가뱅크 / 구조조정 • ― [주요 지표] 순이자마진 / 연체율 / 가계 소득 • • 투자유망종목 • KB금융(105560.KS / TP 78,000원) : 2010년 은행산업재편의 최대 수혜주 • 외환은행(004940.KS / TP 16,300원) : 2010년 상반기중에는 매각이 구체화될 것 • 부산은행(005280.KS / TP 17,100원) : 업계 최고의 수익성 지속 가능
(Positive) 보험 2010년은 사이클 변화와 규제 변화가 공존하는 시기 • • 2010년 전망 • 2010년에는 긍·부정적인 이슈가 공존하는 해가 될 전망. 다양한 이슈가 부각될 전망이지만 현 Valuation은 매우 매력적인 수준으로 업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유지 • 상반기 이슈: 금리인상, 신계약 둔화와 이로써 파생되는 경쟁 격화 가능성, 제도 개선에 따른 자동차 손해율 상승이 이슈 하반기 이슈: 제도 변화(금융상품 판매법, IFRS 준비)와 장기손해율의 향방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 • • 이슈 • 3QFY09(2009.10~12월)을 시작으로 직전 1년간 매출 확대에 따른 열매를 수확하는 시기로 긍정적 • 신계약 성장 둔화 장기화가 RISK . 자동차 손해율 상승 사이클 진입 + 보험료 인상 여부 • • Key Words • ― 금리인상 가능성 / 신계약 둔화 / 제도변화 • ― [주요 지표] 자동차 손해율 / 장기보험 손해율 / 시중금리 • • 투자유망종목 • LIG손해보험(002550.KS / TP 31,700원) : 장기손해율 동질화로 당분간 차별요인은 자보 손해율 • 삼성화재(000810.KS / TP 260,000원) : 1위사의 지위 굳히기 및 높은 이익 안정성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