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8

정신지체 역사 및 문화

정신지체 역사 및 문화. 들어가기. 역사적 사건 사회 정치적 힘 연구자. 초기 암흑기. 기원후 약 400 년 경 Myra( 지금의 터기 남부 추정 ) 주교 성 Nicholas Thaumaturgos( 산타클로스 원형 ) 의 보호적 역할로 추정 고대 이집트 아동들을 가치 있게 여김 : 종교 및 의학적 접근 시도 ( 유아살해 ) 그리스와 로마문명 그리스 , 아동들은 국가의 재산 : 강이나 들에 버림 로마 , 아동 가족의 재산 : 부모가 결정. 중세 및 르네상스 / 종교개혁.

otis
Download Presentation

정신지체 역사 및 문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정신지체 역사 및 문화

  2. 들어가기 • 역사적 사건 • 사회 정치적 힘 • 연구자

  3. 초기 암흑기 • 기원후 약 400년 경 • Myra(지금의 터기 남부 추정)주교 성 Nicholas Thaumaturgos(산타클로스 원형)의 보호적 역할로 추정 • 고대 이집트 • 아동들을 가치 있게 여김 : 종교 및 의학적 접근 시도(유아살해) • 그리스와 로마문명 • 그리스, 아동들은 국가의 재산 : 강이나 들에 버림 • 로마, 아동 가족의 재산 : 부모가 결정

  4. 중세 및 르네상스/종교개혁 • 정신지체 대한 합의된 이견 부족 • 악마, 신의 저주 대상자로 여김 • Paracelsus(1493-1541) 정신지체와 정신질환구분 • 마틴루터 : 정신지체 ‘영혼 없는 살덩어리’ • 경도 정신지체 구분 안됨 • 수용보호 성격의 서비스 제공, 비인간적 대우 • 미국 마녀 사냥 • 르네상스 운동 : 인간자신에 대한 성찰 • Periere/Pinel의 농아교육 이타르와 세강에 영향

  5. 돌봄과 비관주의 • 18세기 감각주의와 인본주의 영향 • 정신지체에 대한 사회적 태도 변화 • 감각주의에 근거한 교육실제 적용 변화 • Itard : 감각, 지능, 정서 개발 • Esquirol : 정신질환과 정신지체 구분 Seguin : 이타르의 교육 체계화 Guggenbuhl : 정신지체 첫 시설 만듬 • 낙관주의에서 비관주의로의 전환 • 한국 • 서유견문1881년 유길준 신사유람단 치아원 소개 • 로제타 홀여사(1894) 근대식 특수교육소개(오봉래) • 일제시대 맹, 농 중심교육

  6. Itard(1774-1838) • 아베롱 야생소년 지도 • 자신의 생활했던 유사한 생활 환경으로 사회생활에 흥미 • 신경적인 감각 자극 • 사회적 접촉기회 • 모방 훈련을 통한 언어지도 • 육체적 훈련으로 심적 능력 강화 결과 : 사물인식/알파벳 문자구분/사물이름 붙이기/몇 단어 인식

  7. Esquirol(1772-1840) • 프랑스 정신과 의사 • 정신지체와 전신질환 구분 • 정신지체는 일련의 장애 정도(수준) 있음을 제시 • 바보(idiot) 치우(imbecile) 구분 • 이타르와 같이 Pinel의 제자로 정신지체 교육불가능 지지

  8. Guggenbuhl(1816-1863) • 스위스 의사 • 정신지체인을 위한 최초의 시설 만듬 • 크레틴병환자와 인연 • 저지대에서 발생한다는 사고로 고산지대에 시설 설립 • 건강관리, 육체운동, 식이요법, 감각, 기억 및 언어훈련 등 교육기법 제공

  9. Suguin(1812-1881) • 생리학적 방법 • 감각훈련을 통한 일반적인 아이디어 교수 • 지적인 추상적 사고 기술 계발/도덕적 훈련 등 근육 및 신경체계 훈련 • 정신지체 공헌 • 미국 특수교육에 영향 • 정신지체 교육체계화 • 초대 AAMR 회장

  10. 시설중심(갈등의 시대) • 비관주의 반동 운동과 정신지체에 대한 암흑기 • 정상적인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위협적 존재로 인식 • 이민증가로 사회적 혼란 • 우생학, 불임시술 유행, 안락사 인정 • 인종개량운동, 지능검사의 영향 • 장애인 옹호자들도 시류 편승한 입장 • 헬렌켈러 • 이 당시 시대적 사고에 대한 Fernald와 Wolfensberger의 생각

  11. 정신지체의 인간화 • 사회적 영향 • 철학적(지식인들의 MR에 인식변화), 정치적(루즈벨트 대통령에게 MR에 대한 지원요구) 교육적(Dol의 적응기술 영향 특수교육을 위한 법률 제정 등) • 전쟁 후 상이군에 위한 직업재활법 제정 • 대공항으로 인한 소외층 관심 • 국제특수교육협회설립 • 사회보장법(루즈벨트) • 부모 단체들의 노력,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관심

  12. 정신지체의 인간화 •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 • 신진대사장애에 관한 생화학적 기제 발견 • 사회성숙도검사와 지능검사개발(Doll) • 환경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발표 • CEC와 같은 MR옹호집단 설립 • AAMD 정신지체에 대한 개념/정의 • 2차 대전 후 시설에서의 상황 폭로(사진) • 탈 시설화 움직임

  13. 서비스중심 :1960-1985 • 특수교육 서비스제공 시기(Polloway) • 서비스 전달과 관련된 변화 • 60년대 스칸디나비아 정상화 개념 영향 • 단순한 물리적 통합과 직업교육에 대한 관심 증대 • 사회적 영향 • Kennedy 재임시 정신지체 위원회 • 연구/예방책/교육/시민보호/지역사회중심 프로그램 운영 • 시민권리보호법 • 한국 정신지체 교육기관 및 교육 • 사립 : 한국구화학교병설 특수학급(1963),대구보명학교(1967), 서울명수학교(1968) • 공립 : 대구남양학교(1968), 경남혜림학교(1968) • 특수학급은 1970년대

  14. 서비스중심 :1960-1985 • 관련 소송 사건 및 법 • Brown 대 Topka교육위원회 • Hobson 대 Hansen 소수 열등반 배치 검사점수 • 정신지체협회 대 펜실베니아 주 • Mill 대 콜롬비아 지역 교육청 • LeBanks 대 Spear : 루지애나 당국이 MR위한 프로그램 미제공 • 메릴랜드MR위원회 대 메릴랜드 당국 : 적절한 교육제공해야 • 1975년 미국 전장애아동 교육법 통과 • 1990년 미국장애인법 통과 • 한국정신박약아 교육과정 제정(1974) • 특수교육진흥법제정(1977)

  15. 지원중심 • 사회적 영향 • 국가수준 목표중심 교육 • 미국정신지체협회(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정의 • 1997년 개정된 장애아동교육법(미국전장애아동교육법의 전신) • 심리,의료,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 행동주의에 따른 중재, 유전학, 건강관리 • 서비스 전달상의 변화 • 조기중재 : 취학전 프로그램 개발 • 교육 : 통합적 지원환경 강조 • 성인문제 : 독립성과 전환교육 강조

  16. 현재(지원중심) • 패러다임의 변화 • 인간중심, 장애아동 중심, 소비자 중심 • 자기결정, 자기주장 • 관련 법률 및 소송 • Doe 대 Wither 소송 : 개별화교육 계획에 따른 평가 실시 위반한 교사 상대로 보상 요구 • 전장애아동교육법(EAHC) 에서 개별장애아동교육법(IDEA) • Mentally retarded student에서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사람 중심으로 • ITP 16세에서 14세로 강조

  17. 미래 전망 • 철학적 관점사회적 영향 • 정신지체에 대한 용어 사용? • 사회적 관점 • 지역사회 통합 • 자기옹호 • 자기결정 • 고용 • 법적 관점 • 사형

  18. 미래 전망 • 의학적 관점 • 조기진단 • 치료 • 예방 • 윤리적 사항 • 교육적 관점 • 프로그램 선택(통합/제한, 기능적 접근 등) • 기술의 이용(보조공학) • 전환교육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