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likes | 827 Views
왜 한글이 훌륭한 글자일까요 ?. 2011/05/21 송용욱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경영학부. 컴퓨터 + 한글 ?. 컴퓨터에서 중요한 것 부호화 (Coding, 코딩 ) 어떤 의미 를 어떤 부호 로 표현 하는 것 ( 예 ) 인터넷 (Web) 의 HTML. HTML. 의 미. 부호 (HTML). <HTML> <HEAD> <TITLE> 남원주초등학교 </TITLE> </HEAD> <BODY> <H1> 남원주초등학교 </H1> <H2>1 학년 5 반 </H2> 학부모 일일 수업
E N D
왜 한글이 훌륭한 글자일까요? 2011/05/21 송용욱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경영학부
컴퓨터 + 한글 ? • 컴퓨터에서 중요한 것 • 부호화(Coding, 코딩) • 어떤 의미를 어떤 부호로 표현하는 것 (예) 인터넷(Web)의 HTML
HTML 의미 부호 (HTML) <HTML> <HEAD> <TITLE> 남원주초등학교 </TITLE> </HEAD> <BODY> <H1>남원주초등학교</H1> <H2>1학년 5반</H2> 학부모 일일 수업 </BODY> </HTML>
언어(말) 의미 부호 (한글) 나는 당신을 사랑해요.
훈민정음 서문 (머리말) 우리 말이 중국말과 달라서 한자로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나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지라, 내 이것을 불쌍히 여겨서 새로 28자를 만들었으니 사람들마다 쉽게 학습하여 매일매일 사용하는데 있어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컴퓨터 + 한글 ? • 컴퓨터에서 중요한 것 • 부호화(Coding, 코딩) • 어떤 의미를 어떤 부호로 표현하는 것 (예) 인터넷(Web)의 HTML • 한글 • 우리 말을 표현하기 위한 글자 • 제 뜻(의미)을 능히 펴도록 • 28자(부호)를 만들었음 • 의미 Coding 부호 • 언어 Coding 문자
한국어와 한글? • 언어(말)과 문자(글자)
알파벳 A a B b C c D d E e F f G g H h I i J j K k L l M m N n O o P p Q q R r S s T t U u V v W w X x Y y Z z • 발음부호의 예 (프랑스 어) • événement • flûte
키릴 문자 А а Б б В в Г г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И и Й й К к Л л М м Н н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Ф ф Х х Ч ч Ш ш Ъ ъ Э э Ю ю Я я Ў ў Қ қ Ғ ғ Ҳ ҳ
한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ㄲㄸㅃㅆㅉ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한국어와 한글? • 언어(말)과 문자(글자)
부호화의 수행 과정 전달 Encoding Decoding 의미 부호 부호 의미 나는 당신을 사랑해요. 나는 당신을 사랑해요.
부호화의 목적 • 시간과 장소의 차이 극복 (예) 책, 편지 • 기억을 도와줌 (예) 메모
부호화의 방법 • 부호 (코드, 심볼(Symbol)) • 배치 (Layout) * 알파벳, 키릴문자, 한자, 가나 등은 “부호”
고대 이집트 숫자 – 부호 = 4622
고대 이집트 숫자 – 부호 978 = ?
고대 이집트 숫자 – 부호 978 =
로마 숫자 – 부호 + 배치 * 부호로 알파벳을 사용 MMMMDCXXII = 4622
로마 숫자 – 부호 + 배치 IIII = IV = 4 VIIII = IX =9 LXXXX = XC = 90 VI = 6 XI = 11 CX = 110 규칙) 작은 수의 부호가 큰 수의 부호보다 앞에 오면,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뺀 것이 그 값이 된다.
로마 숫자 – 부호 + 배치 978 = ?
로마 숫자 – 부호 + 배치 978 = CMLXXVIII
아라비아 숫자 – 부호 + 배치 규칙 1) 뒤에서부터 2번째는 10을 곱한 값, 3번째는 100 을 곱한 값, 4번째는 1,000을 곱한 값, … 을 나타 낸다. 111 = 1 100 + 1 10 + 1 = 백 십 일 “111”를 고대 이집트 숫자 방식으로 읽으면? 3
아라비아 숫자 – 부호 + 배치 • 규칙 2) 해당 자릿수에 값이 없을 때는 0으로 표시한다. • 204에서 0을 쓰지 않으면? • 24 • 24와 분간이 안됨 • 204 = 2 100 + 0 10 + 4 = 이백 사
한글이 훌륭한 이유? • 세종대왕이 창제하셨기 때문에 ? • 세종대왕이 훌륭하게 만드셨기 때문에 ? • 창제한 날짜가 알려져 있기 때문에 ? • 인류 역사상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글자이기 때문에 ? • 독창적인 글자이기 때문에 ? • …
글자의 우수성 • 배우기 쉽고 • 읽기 쉽고 • 쓰기 쉽고 * 한글은 배우고, 읽고, 쓰기가 쉬운가? 우리 말이 중국말과 달라서 한자로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나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지라, 내 이것을 불쌍히 여겨서 새로 28자를 만들었으니 사람들마다 쉽게 학습하여 매일매일 사용하는데 있어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1. 배우기 쉽기 위해서는? * 글자의 목적: 부호화 부호 + 배치 • 부호의 개수가 적고, • 부호가 단순하고, • 배치 규칙이 알기 쉬워야 함
부호의 단순성 • 타이 문자 จิบิมารุโกะจังคือไรอ่ะ ไม่รู้จัก การ์ตูนเหรอ ที่ตอนเด็กมีฉายช่อง 3 ป่ะ เฮ๊ย กลางดึกของมันก็ขายหมดแล้วดิ มาหิวไรตอนนั้น ไม่ได้คุยกับพี่เอิร์นเลย เนอะ • 한문 • 번체자: 車, 長, 見, 門 • 간체자 : 车, 长, 见, 门
배치 규칙 • 모든 문자 공통 사항 • “순서대로” • 좌 우, 위 아래 (유럽, 현대 대부분의 국가) • 위 아래, 우 좌 (중국) • 우 좌, 위 아래 (아랍) • 걸리버 여행기 “릴리펏 왕국” ? • 한글만의 규칙 자음 모음 초성 중성 광 모음 중성 자음 종성
한글은? • 부호의 개수가 적고, • 부호가 단순하고, • ㄱ, ㅋ, ㄲ • ㄷ, ㅌ, ㄸ • ㅁ, ㅂ, ㅍ, ㅃ • ㅅ, ㅆ, ㅈ, ㅉ • 배치 규칙이 다른 문자들보다 하나 더 있지만, 그리 복잡하지는 않다.
2. 읽기 쉽기 위해서는? • 문자의 구분
문자의 구분 • 표의 문자 • 의미 부호 • 의미마다 부호를 달리 하므로, 의미의 숫자만큼 부호가 있어야 함 • 표음 문자 • 의미 음성 부호 • 음성마다 부호를 달리하므로, 음성을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부호가 있으면 됨 • 음절 단위 부호화 • 의미 음성 부호 • 음소 단위 부호화 • 의미 음성 음소(자음, 모음) 부호 • 글자가 읽기 쉽기 위해서는? • 부호와 의미 간의 변환 단계가 짧아야 함 • 그렇다면, 제일 읽기 쉬운 글자는? • 표음 문자(음절 단위, 음소 단위) 중 더 읽기 쉬운 글자는?
읽기 쉽기 위해서는? • 한글은 음소 단위의 문자이지만, 음절도 표현해 줌 • 한글은 지구상의 문자 중 “음소”와 함께 “음절”을 표현해주는 유일한 문자 ! 자음 모음 광 모음 자음
한글에서 음절의 표현 방법 • 0 (없음)의 개념 • 첫 번째 자음은 반드시 있어야 하며, 거기에 해당하는 소리가 없는 경우 ‘ㅇ’을 써준다. (예) 악 • 마지막 자음의 소리가 없을 경우에는 쓰지 않는다. (예) 아 • ‘ㅇ’은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자음을 표시하는 부호 자음 모음 광 모음 자음
한글은? • 음소 단위의 표음문자이지만, • 음절을 표시해 줌으로써 • 읽기(Decoding)의 단계를 • “부호 음소(자음, 모음)음성의미” 에서 • “부호 음성 의미” 의 단계로 축소하여 • 읽기 쉽게 하였다.
3. 쓰기 쉽기 위해서는? • 의미와 부호 간의 변환 단계가 짧아야 함 • 부호가 간단해야 함 • 의미와 부호 간의 변환 단계가 짧은 문자는? • 표의 문자 : 의미 부호 • 표음 문자 (음절 단위) : 의미 음성 부호 • 표음 문자 (음소 단위) : 의미 음성 음소(자음, 모음) 부호 • 부호가 간단한 문자는?
한글은? • 의미와 부호 간의 변환 단계가 한문처럼 짧지는 않지만, • 음절 단위 표음문자만큼 의미와 부호 간의 변환 단계가 짧고, • 부호가 간단하여 한문보다 훨씬 더 쓰기 쉽다.
한글의 우수성 • 배우기 • 부호의 개수가 적고, 부호가 단순하고, 배치 규칙이 다른 문자들보다 더 있지만, 그리 복잡하지는 않다. • 읽기 • 음소 단위의 표음문자이지만, 음절을 표시해 줌으로써 음절 단위의 표음문자처럼 변환(Decoding)의 단계를 축소하여 읽기 쉽게 하였다. • 쓰기 • 의미와 부호 간의 변환 단계가 표의문자(한문)만큼 짧지는 않지만, 부호가 간단하여 한문보다 훨씬 더 쓰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