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likes | 1.12k Views
댐저수지 홍수조절효과. Auto ROM. SRC ROM. Technical ROM. Rigid ROM. 댐저수지 용량배분. PMF ( 가능최대홍수량 ) 기준. 200 년 빈도 홍수량 기준. 이상홍수용량 ( 초과용량 ). 여유고. 공용용량. 조절부. 여수로. 조절 부. 수문. 급경사수로. 감세공. 감세공. 여수로. 급경사 수로. 접근수로. 조절부. 방수로. 감세공. 여수로 : 월류부. 설계수두 (Design Head). 월류부 종단형상.
E N D
댐저수지 홍수조절효과 Auto ROM SRC ROM Technical ROM Rigid ROM
댐저수지 용량배분 PMF (가능최대홍수량) 기준 200년 빈도 홍수량 기준 이상홍수용량 (초과용량) 여유고 공용용량
조절부 여수로 조절부 수문 급경사수로 감세공 감세공
여수로 급경사 수로 접근수로 조절부 방수로 감세공
여수로: 월류부 설계수두 (Design Head) 월류부 종단형상
사이폰형 여수로 (Siphon Spillway) 하동댐
제방 (Levee) - 제방설계 구성요소: 제방고, 둑마루폭, 비탈경사 :- 제방고 = 계획홍수위 + 여유고 :- 둑마루폭, 비탈경사: 계획홍수량 규모에 따른 기준 (+ 현장상황 고려)
쓰나미 방지벽 플랩게이트 (Flap Gate)
홍수예경보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FFWS) 홍수경보 홍수예측 수문기상자료수집
홍수예경보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FFWS) 수위-유량관계곡선 Observation Forecating
국내 홍수예경보 (홍수통제소) 홍수예경보 홍수예보절차 1) 우량관측소 및 수위관측소에서 매 10분단위로 수문자료 수집 2) 강우에 따른 유출량 계산, 댐 저수량을 고려하여 주요 지점의 수위와 홍수 규모 판단 3) 기상과 하류수위를 감안하여 댐 예비방류 등 홍수량 조절 4) 수위가 주의보 수위 또는 경보 수위 이상 상승이 예상될 때 홍수예보 발령
국내 홍수예경보 (홍수통제소) 홍수예경보 기준수위 홍수주의보 홍수경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