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562 Views
의복과 인체의 환경적응. Index. 7. 양말의 기능과 선택 8. 계절별 양말 9. 덧신과 스타킹 10. 신발의 위생적 조건 11. 신발의 종류와 분류. 1. 발의 구조 2. 발의 기능 3. 발의 변형 4. 신발의 기능 5. 적당한 굽의 발 보호기능 6. 신발의 명칭과 역할. 발의 형태 / 구조.
E N D
Index 7.양말의 기능과 선택 8.계절별 양말 9.덧신과 스타킹 10.신발의 위생적 조건 11.신발의 종류와 분류 1. 발의 구조 2. 발의 기능 3. 발의 변형 4. 신발의 기능 5. 적당한 굽의 발 보호기능 6. 신발의 명칭과 역할
발의 형태 / 구조 • 뼈 한쪽 발은 26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세 부분으로정렬되어 있다. 발의 뼈는 강한 인대로 보강되어 있고 발 뒤꿈치에는 아킬레스건이 이어져 있으며 발에는 26개의 뼈 이외에 2개의 종자뼈(sesamoid)가 제1 발허리뼈 머리 부분의 바로 밑에 있고, 이 뼈에 힘줄(건, tedon)이 통과하여 엄지발가락 뼈와 연결되어 있다. 이 종자뼈가 골절되거나 제 위치에서 이탈되면 심한 통증이 생기고, 엄지발가락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발의 형태 / 구조 - 아치 (Arches) • 발바닥이 아치로 이루어진 까닭은 인체 몸 면적의 1%씩 좌,우 발바닥이 유지하면서 인체가 서있을때 98%의 몸무게를 감당하지만, 걷는 자세에서는 자기 체중의 2~3배의 체중을 1%의 발바닥이 지탱함으로 체중을 분산하지 않고 보행을 하게 되면 발은 쉽게 망가지게 되어 발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게끔 해주고 있다. • 종족부의 아치는 약간의 곡선 형태를 이룬 돔형태로 되어 있는데 발의 중족 골두에서 볼 부위를 따라가 기저부에 이르기 까지를 말한다. 체중이 실리지 않은 몸 상태에서 발의 볼 윗부분이 돔 형태의 곡면이면 정상이라 볼 수 있다. • 체중이 실린 아치는 정상적으로 편평해 진다. • 이와 같이 발 바깥쪽의 긴 아치도 같은 작용으로 보면 된다. 이런 아치의 주된 기능은 충격 흡수를 들 수 있다.
발의 기능 • 발의 주된 역할은 서 있거나 걸을 때 몸을 지탱해주고, 이동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이동 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발의 변형 - 무지외반증 • 정의 • 무지외반증은 엄지 발가락의 제1중족 발가락 관절을 기준으로 발가락 쪽의 뼈가 바깥쪽으로 치우치고 발뒤꿈치 쪽의 뼈는 반대로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 • 원인 • 무지외반증은 다음과 같은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선천적인 요인(내재적인 원인)1) 원위 중족 관절면 각이 과다한 경우2) 평발과 넓적한 발3) 원발성 중족골 내전증4) 과도하게 유연한 발 후천적 요인(외재적 원인)1) 하이힐 등의 신발코가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2) 외상
발의 변형 – 무지외반증이 있을 대 첫째 발허리 뼈사이 각도와 발허리발가락 각도의 변화 • 오른발의 윗모습 • a 정상 오른발의 뼈대. • b 엄지발가락가로휨증에서 엄지발가락을 잇는 줄기가 가쪽으로 치우치고 발허리발가락관절이 부분 탈구 됨. 정상 오른발의 뼈대. • 무지외반증
신발의 기능 • 신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발의 원래대로의 기능을 잘 살려 보행과 노동의 능률을 높이는데 있음 • 오래 걸어도 발의 피로를 덜 하게 해주고 걸을 때 발의 반동과 착지시의 충격 완화의 발바닥의 신경 보호 등의 기능을 하게 됨. • 신발의 바닥은 발의 아치에 맞는 형으로 만들고 굽을 높여 보행이 편해지게 함.
적당한 굽의 발 보호기능 • 적당한 높이의 굽이 있는 신발을 신게 되면 둔부와 대퇴부 및 하퇴부등의 근육이 긴장하고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몸의 균형이 잡히게 됨. • 신발의 기능으로 인해 바른 자세로 걷게되며 몸에 좋은 효과로 나타나게 됨 • 신발의 굽 높이가 3cm까지는 적당하며 이 높이 이상의 굽은 근육의 작용이 강해져 몸에 무리가 오게됨 • 여성들이 착용하는 하이힐과 같은 신발의 굽높이가 7cm를 넘어가게 되면 건강을 해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짐 • 적당한 굽높이의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함.
신발의 명칭과 역할 • 업퍼(upper) • 발등을 덮는 부분 • 신발을 착용했을 때 딱 맞아야 발을 안정시켜줌. • 인솔(insole, 안창) • 구두속에 까는 안창으로 발바닥을 싸도록 함. • 신발에 직접붙어 있는 형태와 교체가 가능한 형태 두 종류가 있음. • 슈레이스(신발끈) • 신발을 묶는 끈. • 끈구멍의 위치 등이 각 메이커나 신발의 기능에 따라 다름. • 신발끈은 너무 길지 않고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 • 힐컵(heal cup) • 뒤꿈치를 단단히 고정하여 보호함. • 미드솔(mid sole) • 신발안의 중간 부분(전체 신발 솔의 중간을 말함) • 달리기 착지시에 충격을 흡수하고 달리기를 안정시킴
신발의 명칭과 역할 • 바닥홈(flex grooves) • 신발의 앞부분 밑창에 1개 혹은 그 이상의 홈이 있어야 함. • 이 홈은 착지후 신발이 보다 자연스럽게 차고 나갈 수 있게 해줌. • 안정기술구현부분(stabilizing technology) • 과회내를 줄이기 위한 안전장치가 있는지 살펴야함. • 토박스(toebox) • 신발 앞부분 발가락이 위치하는 곳을 말함. • 엄지발가락을 기준으로 약 1~1.2cm정도의 여유공간이 필요함. • 신발혀(tongue) • 발등과 신발끈사이에서 신발끈의 압력으로부터 발등을 보호해주기 위한 부분으로 충분히 두꺼워야 함. • 힐 하이트(Heal height) • 발 뒤꿈치 부분 • 아웃솔(out sole) • 신발의 가장 바닥부분, 즉 밑바닥 • 노면에 접하는 부분이므로 소모가 적고 내구성이 뛰어나야 하며 •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양말의 기능과 선택 • 신발과 발의 마찰을 줄여 까지는 것을 막고 발바닥의 피로를 덜어줌 • 땀을 빨아들여 살갗이 짓무르지 않게 함 • 추운 겨울에 발을 따듯하게 해서 동상을 방지함 • 좋은 양말을 고르기 위해선 양말 소재의 특성을 알고 계절에 앎맞은 것을 골라야함 • 면양말은 땀에 쉽게 젖고 잘 마르지 않음 • 면양말은 젖으면 뻣뻣해지기 때문에 오래 신고 걸으면 발이 아프고 까지기 쉬움 • 양말을 고를때는 발가락 부분의 박음질한 부분의 처리상태를 확인해야 함 • 발 크기에 알맞은 것을 사야 함 • 양말의 목 부분은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조여주어야 함 • 너무 조여지는 것은 발에 피가 잘 통하지 않아 좋지 않다 • 긴 바지를 입었을 때는 짧은 양말을 신는 것이 더 좋음
계절별 양말 • 여름양말 • 얇고 바람이 잘 통하고 땀도 잘 빨아들일 수 있는 양말 한 켤레만 신는 것이 좋음 • 신발도 발목이 낮고 바람이 잘 통하는 신발을 신어야 함 • 오래 쉴 때는 신발을 벗고 발을 움직여 주면 양말도 마르고 발의 피로도 덜 수 있음 • 봄가을 양말 • 이른봄이나 늦가을이 아니라면 얇은 양말을 신어도 별 문제가 없음 • 보온 효과가 뛰어난 양말을 여벌로 가지고 다니는게 좋음 • 겨울 양말 • 순모 양말은 젖어도 보온력을 잃지 않는 장점이 있음 • 오른 양말은 순모보다 기능이 더 뛰어남 • 꼭 목이 긴 양말을 신을 필요는 없음
덧신과 스타킹 • 덧신 • 덧신은 깃털이나 퀄로필 같은 보온재를 넣어 양말 위에 신는 신발 • 겨울철에 여러 날 천막생활을 할 때 편함 • 바닥재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판을 덧댄 것이 좋음 • 신 둘레에 두툼한 천을 두른 것이 오래 신을 수 있음 • 스타킹 • 목이 긴 여성용 양말. 나일론으로 만들어 얇고 신축성이 강함 • 의례상, 장식상, 피부 보호면에서 부득이한 이유로 착용하는 경우가 많음 • 냉방환경에서의 하퇴 피부온 저하, 근경도 상승, 촉각 둔감 • 등을 예방하고 냉방으로부터 보호, 하반신 냉각방 지면에서 효과적임.
신발의 위생적 조건 1.가벼울 것 신발의 무게가 지나치면 보행동작에 지장을 주고 에너지 소비과증으로 피로를 느끼게 됨 2.마찰계수가 클 것 보행의 안전을 위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신발바닥의 마찰계수는 커야 함 신발바닥의 마찰계수는 보행의 추진력과 능률에 영향을 미침 3.굽높이 굽의 높이는 하이힐을 신는 여성에게 주로 문제가 됨 신체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침 굽의 높이는 2~3cm가 적당하고 구두바닥의 경사는 10도 이하 4.통기성, 투습성, 흡습성이 좋을 것 신발내의 습도가 여름에는 30%이하 겨울에는 50%이하로 유지될 때 쾌적하게 느껴짐 보행시 발생하는 발한에 의한 신발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도록 흡습성, 투습성, 통기성이 있어야 함
신발의 종류와 분류 크기에 따른 분류 로우탑:목이 짧아 발목 아래(복숭아뼈 아래)로 오는 신발을 말함 미들탑: 복숭아뼈 위까지 덮는 신발을 일컫음 하이탑:발목이상을 덮는 신발을 말한다. 외형이나 활동에 따른 분류 1.구두 2.스니커즈 캐쥬얼화(구두 느낌이 나도록 만든 운동화) 걷거나 뛸 때 소리나지 않도록 밑창이 고무로 되어있는 신발 3.캔버스화 캐쥬얼화, 신발의 어퍼부분을 캔버스천으로 만든 신발. 대표적으로 미국의 신발 브랜드 4.워커 군화를 의미, 군화느낌이 나는 신발을 워커라 부름
신발의 종류와 분류 5.운동화 운동할 때 신는 신발 런닝화/마라톤화: 뛰는 운동을 중점적으로 하기 위해 만듬. 통기성을 최대한 살림 워킹화: 운동화에 비해 가볍고, 통풍도 잘된다.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는데 좋음 올레길화: 끊임없이 다양한 길을 장시간 걷기에 적합한 신발 등산화보다 가볍고 미끄러지지 않으며 발이 뒤틀리지 않음 6.크록스 여름에 화장실에서 신는 듯한 느낌의 고무로된, 여름에 신는 신발 7.샌들 나무, 가죽, 비닐 따위로 바닥을 만들고 이를 가느다란 끈으로 발등에 매어 신게 만든 신발 8.슬리퍼 슬리퍼종류를 말함. 쪼리도 슬리퍼의 일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