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likes | 177 Views
신경계에서 잡음에 대한 동역학적 반응. 강원대학교 물리학과 최 영 재 , 최 진 희 잡음으로 유도된 결맞은 반응. 결맞은 공명. I DC 의 증가에 따른 발화주파수 f 가 0 이 아닌 값에서 시작 f 값의 변화폭이 작음 [6.6, 15.6]Hz. 모리스 - 레카 뉴런 모형. 모리스 - 레카 뉴런 모형 : 조개 근섬유 발화거동에 대한 뉴런 모형. ○ : 불안정한 발화상태 ● : 안정한 발화상태 : 불안정한 휴지상태 : 안정한 휴지상태. 93.5 ㎂/㎠.
E N D
신경계에서 잡음에 대한 동역학적 반응 강원대학교 물리학과 최 영 재, 최 진 희 잡음으로 유도된 결맞은 반응 결맞은 공명
IDC의 증가에 따른 발화주파수 f 가 0이 아닌 값에서 시작 f 값의 변화폭이 작음[6.6, 15.6]Hz 모리스-레카 뉴런 모형 모리스-레카 뉴런 모형 : 조개 근섬유 발화거동에 대한 뉴런 모형 ○ : 불안정한 발화상태 ●: 안정한 발화상태 : 불안정한 휴지상태 : 안정한 휴지상태 93.5 ㎂/㎠ 216.7 ㎂/㎠ 210.9㎂/㎠ 88.3 ㎂/㎠
모리스-레카 뉴런에서의 결맞은 공명 막전위의 시계열 (IDC=87 → Subthreshold Neuron ) 잡음의 두가지 역할 • 결맞음 유도 [Small D] • 결맞음 방해 [Large D] 파워 스펙트럼 잡음에 의해 유도된 피크 결맞음 측도 (결맞은 정도를 측정) D=D* (~0.8) 일 때 결맞은 공명
D=D (~0.8)일 때 결맞은 공명 파워 스펙트럼 막전위의 시계열 요 약 중간 최적의 잡음 세기에서 결맞은 공명 발생 결맞음 측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