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0 likes | 1.03k Views
교정복지의 역사. I. 행형의 사상적 변천 II. 보호관찰제도와 사회사업. I. 행형의 사상적 변천. 1. 고대의 복수법 시대 2. 재소자에 대한 관심의 대두 3. 근대 형사정책의 조류 응보형주의 목적형주의 ( 예방주의 ) 일반예방주의 특별예방주의 교육형주의. 1. 고대의 복수법. 복수 : 정의 ( 正義 ) 무차별ㆍ무제한적으로 복수가 횡행 ( 橫行 ). 집단적 복수 . Lex Talionis : 同害覆讐法 ( 동해복수법 ): “ 이에는 이 , 눈에는 눈 ” 보복의 제한법
E N D
교정복지의 역사 I. 행형의 사상적 변천 II. 보호관찰제도와 사회사업
I. 행형의 사상적 변천 • 1. 고대의 복수법 시대 • 2. 재소자에 대한 관심의 대두 • 3.근대 형사정책의 조류 • 응보형주의 • 목적형주의(예방주의) • 일반예방주의 • 특별예방주의 • 교육형주의
1. 고대의 복수법 • 복수 : 정의(正義) • 무차별ㆍ무제한적으로 복수가 횡행(橫行). • 집단적 복수. • Lex Talionis : 同害覆讐法(동해복수법): • “이에는 이, 눈에는 눈” • 보복의 제한법 • 사투(私鬪) ㆍ사형(私刑)을 막기 위한 법. • 형벌을 공권력의 지배하에 둠. • 함무라비법전에 최초로 규정.
함무라비법전 세계 最古의 성문법전 同態 復讐法 <눈에는 눈, 이에는 이> • 3부로 구성 : 282개 조문 • 서문 : 신들을 공경하는 법 • 사람 상호간의 법 –정의구현 • 결문 : 이 법을 지키도록 후손을 가르칠 것
2. 중세 형무소의 실태 • 중세 이전의 형무소는 공포의 대상. • 높은 담장과 철조망. • 외부세계와의 격리. • 형무소의 과밀현상 • 재소자의 과밀수용과 노동력의 부족. • 재소자를 산업현장에 지원. • 경범자, 행형성적 우수자 선발 • 벌목장, 농장 등에 파견. • 해외식민지로의 이주 • 미국과 호주가 적격지로 선정. • 1717~1775 : 약 4만 명을 미국으로 이송. • 1788~1868 : 약 163,000명을 호주로 이송.
절대왕정의 상징인 바스티유감옥에 대한 파리 시민의 습격, 점령은 프랑스대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1789년 7월 14일
범죄에 대한 통제의 4가지 Model : 응보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능력박탈 : 손목 자르기. 귀 베기, 성기 자르기 … 예방 : 囚人: 罪人; 人性의 파괴자→구속 •추방해야 감금,구속 등. 추방(유배, 시베리아유형, 오스트레일리아, 유3천리, 삼수갑산, 강진, 제주도), 개선•갱생:보호관찰.
조선시대 형벌의 종류 • 태형(笞刑) : • 극히 가벼운 죄인에게 작은 매로 볼기를 치는 형벌로 태는 10~50대의 구분이 있다. • 장형(杖刑) : • 약간 가벼운 죄인에게 곤장(큰 매)으로 볼기를 치는 형벌로 장은 50~100대의 구분이 있다. • 도배형(徒輩刑) : • 약간 중한 죄인에게 곤장(기본 10대)을 친 후 1~3년간 복역을 시키거나, 군대에 동원시키는 형벌.
유형(流刑) : • 유배(流配) : 죄인을 귀양(歸養) 보내는 형벌로서 유석(流錫)이라고도 하며 죄의 경중에 따라 원근(遠近)의 등급이 있고 귀양 간 곳을 적소(謫所)라고 한다. 유2천리 또는 유3천리 • 장류(杖流) : 죄인에게 장형과 유형을 병과 하는 형벌인데, 장배(杖配)라고도 한다. • 찬축(竄逐) : 죄인을 먼 곳으로 귀양 보내 쫓아낸다는 뜻으로 찬배(竄配)라고도 한다. • 안치(安置) : 죄인이 귀양 간 곳에서 일정한 처소에 주거를 제한하는 형벌로서 흔히 왕족이나 높은 벼슬을 지낸 사람에게 적용하였다. • 절도안치(絶島安置) :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으로 귀양 보내는 것. • 위리안치(圍籬安置) : 탱자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인 곳으로 귀양 보내는 것. • 본향안치(安置本鄕) : 죄인의 고향에다 귀향 보내 연금시키는 것.
사형(死刑) : • 사사(賜死) : 죄인을 우대하는 뜻에서 사약(死藥)을 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게 하는 형벌. • 주살(誅殺) : 죄인을 죽이는 것을 일컫는 말. • 참살(斬殺) : 목을 베어 죽이는 형벌. • 능지처참(陵遲處斬) : 대역 죄인에게 과하던 최대의 형벌. 머리, 양 팔, 양다리, 몸뚱이의 순으로 여섯 부분으로 찢어서 각지에 보내어 여러 사람에게 구경시킴. 일종의 일반예방형이었다. • 부관참시(剖棺斬屍) : 이미 죽은 죄인에게 가하는 극형으로 무덤을 파헤치고 관을 꺼내 시신를 베거나 목을 잘라서 거리에 내걸던 형벌. • 효수(梟首) : 죄인의 목을 베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높이 내다 거는 형벌.
행형의 원리 • 보복주의 : • 피해자를 위한 공적 보복 • 배상주의 : • 피해자에게 끼친 피해의 보상 • 피해보상을 못하면 해보상을 다 할 때까지 가해자는 피해자의 노예가 된다. • 격리주의 : • 사회를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해서 • 구금주의 : • 범죄인을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 • 재활주의 : • 20세기에 와서 대두된 사상. • 교정과 관련된 인접학문의 발달에 영향을 받았다.
형벌의 방법 • 사형 : • 참수(참살)령, 교수형(絞首), 총살형, 사약, 전기의자, • 격리형 : • 유배, 귀양(삼수, 갑산, 무주: 구천동) • 구금형 : • 신체절단형 :
3. 재소자들에 대한 관심 대두 • John Howard(1726-1790) : 영국 • 형무소 실태조사. • 비위생적 환경, 남녀노소를 혼숙. • 전염병환자를 함께 수용. • 형무소 개선 방안 : • 형무소개조법(1774년) 제정. • Theodor Fliedner(1800-1864) : 독일 • 형무소에서 선교활동. • 출소자들에 숙박제공. • Elizabeth Fry(1780-1845) * • 여자 죄수들의 참상을 개선에 노력. • 일본의 명치시대 행형사상에 영향.
4. 근대형사정책의 조류 • 응보형주의 • 목적형주의 • 일반예방주의 • 특별예방주의 • 교육형주의
1) 응보형주의 • 형벌은 범죄에 대한 응보이다. • 계몽사상에 근거를 둔 사상: 구파이론 • 계몽주의의 핵심은 인간은 이성적 존재. • 이성의 힘에 의해 인간은 우주를 이해하고 자신의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 • 지식·자유·행복이 합리적 인간의 목표. • 인간은 자유와 이성을 가진 존재. • 인간이 자유의사에 의한 범죄에 대해서도 책임도 져야.
대표적 학자 • 칸트(Kant, Immanuel) : • 동해보복(同害報復) 을 주장. • 형벌의 경중은 범죄의 경중에 따라야 한다. • 헤겔(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 • 범죄는 ‘이성의 부정’이다. • 형벌은 ‘이성의 부정의 부정’이다.
2. 목적형주의 • 형벌의 목적은 장래범죄의 예방에 있다. • 신파이론 • 인간은 자유와 이성을 가진 존재. • 동시에 개인적ㆍ환경적 요인 또는 선천적ㆍ후천적 요인에 지배를 받는다. • 따라서 형벌이 과거범죄에 대한 응보만으로는 부족하다. • 일반예방주의와 특별예방주의
대표적 학자 • 포이에르바하(Feuerbach) : • 심리강제설 • 일반국민에게 범죄를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쾌락보다는 범죄에 대하여 과하여지는 불쾌의 고통이 더욱 크다는 것을 알게 하는 심리적 강제에 의하여만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심리적 강제는 형벌을 법전에 규정하여 두고 이를 집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 법이 없으면 범죄도 없고, 형벌도 없다.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 죄형법정주의
일반예방주의와 특별예방주의 • 일반예방주의 : • 형벌을 통해 사회일반인들에게 두려움과 공포심을 일으켜 범죄를 방지하게 된다. • 특별예방주의 : • 리스트(Liszt Franz von 1851∼1919) : • 범죄는 범인의 반사회적 성격의 표출이다. • 처벌되어야 할 것은 범죄자이다. • 우발범 : 위하(威嚇 : 위협) 적 형벌 • 개선 가능한 상습범 : 교정형 • 개선 불가능 한 상습범 : 격리형
3. 교육형주의 • 대표적 학자 : M.E.Mayer(독일의 형법 학자) • 형벌의 목적은 범죄인을 선량한 사회의 일원으로 교화ㆍ갱생시키는 데 있다. • 재판단계에는 법적 확인의 의미에서 응보가 타당하다. • 형의 집행단계에서는 교육이 타당하다.
행형의 사상적 변천 • 범죄의 일반적 원인과 대처방법 • 개인적 원인(성격결함) : 사회변화에의 부적응 심리학•정신의학적으로 교정 사회변화에 적응, 자립할 수 있도록 중재 • 사회적 원인(사회생활의 불안정), 주변환경의 오염 가족, 학교, 직장, 사회 등 주변환경을 개선
형사정책의 관심 현대 형사정책의 관심은 : 범죄행위→범죄행위자 인간존엄성의 인식 사회복지사상의 대두 사회학, 심리학, 정신의학, 사회복지(사업)학 등의 발전 시설 내 처우→시설 외 처우 시설 내 구금→사회 내 지도, 교육
감옥의 역사 런던 타워 : 성, 요새, 감옥, 왕궁 바스티유 : 성채로 축성, 국사범 수용 유태인 수용소; Dachau :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 폴랜드의 아우슈비츠 오스트리아의 Mathaus
한때는 왕이 살았던 성이었다. 그 후 왕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고문, 투옥하는 장소로 쓰였다.
감옥의 다양한 형태 휴가감옥: 휴가기간 중에만 복역, 주말감옥: 주말에만 복역. 주중에는 학교, 직장 출근 중간시설: 가퇴원 중 보통사람들이 사는 지역에서Supervisor의 지도감독하에 생활 민간시설: 민간법인에 의해 설립되어 정부로부터 위탁 받아 운영하는 교정시설
법무장관 “민영교도소 설치 확대하겠다” • 김승규 법무장관은 2004.7.23일 경기도 여주에 들어설 민영교도소 설치와 관련, "기독교계뿐 아니라 다른 종교계도 참여할 수 있도록 민영교도소 설치를 확대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 김 장관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민영교도소 운영을 통해 출소자들의 재범률을 4%까지 낮추는 방안을 연구해왔다"며 "불교와 천주교계도 민영교도소 설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 김 장관은 변호사 시절 개신교계가 결성한 재단법인 '아가페'에 이사로 참여, 내년 8월을 목표로 경기 여주군 북내면에 500∼600명 수용 규모의 민영교도소를 설치하기 위한 활동을 펴왔었다. • 이 법인은 교도소 건설과 직원 채용 등 운영 전반을 맡게 되며 법무부는 형기 1∼7년, 초.재범자 2만여명 가운데 법인의 면담을 거쳐 수감대상자를 선발하게 된다. • 김 장관은 민영교도소 운용 방안에 대해 "자원봉사자를 통해 재소자와 가족을 연결시키고 교도소 옆에 공장을 설치, 자활책을 마련토록 할 계획"이라며 "재소자들이 번 돈을 가족에게 보내주거나 자신이 피해를 입힌 사람들에게 변상토록 하는 방안도 강구중"이라고 말했다. • 노무현 대통령도 최근 김 장관과 면담을 통해 민영교도소 설치 방안을 전해 듣고 관심을 표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한겨레,04/8/5)
미리 본 '2006년 민영교도소'子女사진 새긴 옷 입고 후견인과 수시로 상담 • 절도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 받은 김모씨는 아침 기도로 교도소의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김씨가 입고 있는 죄수복은 아들과 딸 사진이 새겨진 하얀 티셔츠. •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해 교도소측이 마련한 옷이다. 김씨는 작업장에서의 작업과 이어지는 휴식 중에도 틈틈이 교도소 내에 있는 자원봉사자들에게 고민을 토로하며 마음의 안정을 얻는다. • 이후 저녁 7시부터 3시간 동안은 상담 및 공부시간. 이 시간은 재소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자원봉사자 중 선정된 후견인과 교도소에서 마련한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진행된다. • 김씨는 정기적으로 가족들과 교도소 내 특별구역에서 하루를 함께 지낼 수도 있다.
김씨의 예는 연내 착공해 2006년 초 경기도 여주에 문을 열 민영 교도소에서의 가상생활이다. 국내 첫 민영 교도소가 될 이곳의 구호인 ‘교도소 내 생활을 교도소 밖과 동일하게’ 대로이다. • 이 교도소는 기독교 재단 ‘아가페’가 마련한 경기도 여주군 6만4000평의 부지에 설립될 예정이다. 건립비로 총 350억원을 예상하는 아가페는 현재 120억원을 모금했고, 작년 3월 법무부와 운영 위탁 계약을 맺었다. • 재단측 계획에 따르면 교도소는 철저히 기독교 프로그램에 의해 움직일 예정이다. 또 수용인원은 500명이지만 1000여명의 교도관과 ‘자원봉사자’가 투입된다. • 위압적인 인상을 줘왔던 종전 교도소와는 상당히 달라지는 것이다. 수감자는 흉악범을 제외한 형기 1∼7년, 초·재범 수감자 2만여명 가운데 신청을 받아 면담을 거쳐 선발된다. • 수감자들의 생활도 기존 교도소와는 딴판이다. 입소 후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후견인을 각자 정하고 이들에게서 끊임없는 상담과 교육을 받는다. 또 ‘피해자와의 화해’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재소자들이 교도소와 함께 들어설 공장에서 일을 해서 돈을 벌어 피해자들에게 전달하는 식이다. 이는 피해자들에 대한 마음의 빚을 조금이라도 갚게 하자는 의미라고 한다. • ‘잡아 가둔다’는 인상을 주지 않고 ‘교화한다’는 목적에 충실하기 위해서다.이 교도소 외에도 민영 교도소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 특히 천주교는 수년 전부터 50인 미만의 미니 교도소 설립 등 구체적인 안을 추진 중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출소 후 2~3년간 재범률이 30% 이상이지만 브라질 민영 교도소는 4%밖에 되지 않는다”며 “국내에도 민영 교도소가 출범하면 재범률이 그만큼 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조선, 04/8/31).
미국의 감옥산업 CCC : (Correction Corperation of America) 1985년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 회사의 출자로 설립된 회사 현재 미국 최대의 감옥기업 : 55,000명 수용 68개 감옥 소유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푸에르토리코 등에도 진출 총 76개 사설감옥 운영
WCC(Wackenhut Corrections Corporation) 전직 FBI요원 와컨허트(창립)의 이름 딴 회사 46 곳의 감옥 소유 3만명 수용규모 사설 경비업체에서 출발 주정부와 위탁계약, 감옥건설, 죄수 수감, 관리. 최소비용, 최대효율 –이윤목적 인권은 최대이윤 보장되는 한에서만 인정
감옥산업 : 처벌의 상업화 Prison-Industrial Complex(감옥산업복합체) 죄수의 숫자가 늘어야 선고형량의 최대화, 가석방의 최소화 교정당국자→감옥기업의 사장 감옥기업의 간부→교정직 공무원으로 (전문성 인정)
시설 외 처우의 방법 집행유예, 가석방 보호관찰제도 교정시설의 개방화 사회사업적 Program 정신의학적 치료 상담, 개별사회사업, 집단치료, 집단사회사업 자조 Group 활동
보호관찰제도의 의의 “범인에 대한 사회 내 처우의 하나로 교정시설에서 수용 처벌하는 대신 일정한 기간 선행의 유지를 조건으로 형 의 선고 또는 형집행을 유예 또는 중단하고 사회 내에서 자유활동을 허용하는 것” 시설내 처우에서 시설외 처우로의 전환 형벌의 유예 또는 집행중단을 전제로 하는 비형벌적 처분 전문가(보호관찰관)에 의한 지도•감독
보호관찰제도의 역사 John Augustus(1784-1859) 1841년 : 보스톤에서 알코올 중독자를 판결 전 인수. 교화ㆍ갱생시킨데서 보호관찰 시작. 선고유예probation : 선고 없었던 것으로 본다 집행유예 : 선고가 없었던 것으로 본다 parole가석방 : 형의 만료 전에 출소 시키는 제도
선고유예제도 1842년 영국에서 행하던 조건부 석방에서 유래 영미법계 각국에서 채택 한국 형법도 이 제도를 채택.
(1) 선고유예의 요건 (형법 59조 1항) •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자격정지 또는 벌금의 형을 선고할 경우. • 형법 제51조의 사항(양형의 조건)을 참작하여 개전(改悛)의 정이 현저한 때 • 자격정지 이상의 형을 받은 전과(前科)가 없을 것 • 형을 병과(倂科)할 경우에도 형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할 수 있다(59조 2항). • ①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자격정지 또는 벌금의 형을 선고할 경우. • ② 형법 제51조의 사항(양형의 조건)을 참작하여 개전(改悛)의 정이 현저한 때 • ③ 자격정지 이상의 형을 받은 전과(前科)가 없을 것
(2) 선고유예의 효과 선고유예를 받은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한 때에는 면소(免訴)된 것으로 본다. 곧 유죄판결의 선고가 없었던 것과 똑같은 효력이 있다.
(3) 선고유예의 실효 • 선고유예를 받은 자가 • 유예기간 중 • 자격정지 이상의 형에 처한 판결이 확정되거나, • 자격정지 이상의 형에 처한 전과가 발견된 때에는 • 유예한 형을 선고한다(61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