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391 Views
독도를 향한 두 가지 형태의 몰입에 관한 연구 : 규범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을 중심으로. 옥 지 호 제 4 회 전국 대학 ( 원 ) 생 독도논문공모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경북대학교 (2013. 6. 25.). 연구동기.
E N D
독도를 향한 두 가지 형태의 몰입에 관한 연구:규범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을 중심으로 옥 지 호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경북대학교 (2013. 6. 25.)
연구동기 • “독도수호대에서 서명운동 등 행사를 하면 느끼는 것이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이렇게 관심이 없었던가… 이상한 사람들이더라 보는 시선… 새삼스레 왜 저래? 하는 시선… 독도가 어디 가나? 하는 (시선들)… [중략] 하지만 아이들과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아이에게 설명하는 어버이가 있었고, 기꺼이 (설문을) 하면서 여러 장 서명을 모아주는 그런 선구자도 있었습니다” • -출처: 경상북도 공식 독도홈페이지(www.dokdo.go.kr)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연구질문과 연구목적 • 독도에 대한 상반된 관심 • 대한민국 영토로서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전국민적 관심을 가지지만, 독도 자체에 관련된 사안에는 소극적인 관심을 갖는 상황이 공존함 • 대다수의 무관심 vs. 소수의 선구자? 서로 다른 형태의 관심이 존재하는 것일까? • 독도에 대한 인식 연구가 부족함 • 2005년 이후 독도 관련 연구가 급증함 • 주로 역사적 근거 혹은 국제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접근들이 주를 이룸 • 국민들의 독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제고하려는 시도들이 요구됨 •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독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이해하여 관심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독도에 관해 제고된 관심 • 21세기 들어 심화되고 있는 독도영유권 분쟁 • 광복 직후인 1954년부터 제기되어 옴 • 1954년 9월 25일, 독도에 관해 국제사법재판소행을 일본이 주장 • 최근 들어 일본의 보수우경화가 강화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음 • 2005년 1월 14일,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 • 2008년, 일본 문부과학성의책자 발간 및 중학교 사회교과서 영토표기 • 독도는 우리 땅! • 한일 관계 발전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인가? • 응답자 2,000명 중 60.5%가 ‘독도영유권 문제’를 꼽음 • 아산정책연구원 연례 여론조사 (아산정책연구원, 2011) • 독도 영유권 분쟁과 관련해서 일본과 타협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응답자 514명 중 77.9%가 ‘타협하지 말아야 한다’고 응답함 • 대외인식에 관한 국제여론조사 (동아시아연구원, 2008)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독도에 관해 제고된 관심(계속) • 주요 사건 발생시 반응적으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임 • 2005년: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상정 • 2008년: 일본 외무성의 독도영유권 책자 발간, 중학교 교과서 영토표기 독도 관련 전문학술자료 독도영유권 관련 국내 뉴스보도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를 향한 두 가지 형태의 몰입에 관한 연구
독도에 대한 인식의 특성 • 독도에 대한 인식을 다룬 기존의 연구 • 독도영유권에 대한 당위적인 인식은 높은 편임 • 그러나, 독도 자체에 대한 지식이나 인식은 낮은 편임 • 독도에 대한 인식은 복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암시함 • 일본의 영유권 주장으로부터 지켜내야 할 대상 vs. 가치 있고 소중한 고유의 영토로서 관심과 애정을 가져야 할 대상 •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개념을 활용하여 독도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인식을 설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음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독도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몰입 •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 • 방어 초점(prevention focus) • 촉진 초점(promotion focus) • 규범적 몰입(Normative Commitment) • 방어 초점을 기반으로 한 독도에 대한 몰입 • 당위적이고 규범적인 의무감을 기반으로 한 몰입 •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토라는 사실을 당위적으로 받아들이고 의무감을 가짐 • 정서적 몰입(Affective Commitment) • 촉진 초점을 기반으로 한 독도에 대한 몰입 • 정서적인 애착을 바탕으로 조직에 대해 만족하고 기쁨을 갖는 몰입 •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토라는 사실에 만족하고 적극적인 관심과 정서적인 애착을 가짐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두 가지 형태의 몰입에 따른 연구질문 • 연구질문 1. 독도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개념적으로 구분되어 존재하는가? • 연구질문 2. 두 가지 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즉, 두 몰입 간에 전이효과가 존재하는가? • 연구질문 3. 두 몰입 간에 전이효과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효과가 달라지도록 영향을 미치는 제 3의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표본과 측정 • 군집표본추출법(cluster sampling method) • 특정 집단을 선정하여 해당 집단의 구성원 전체를 조사하는 방법 • 적극적인 의사 뿐 아니라 소극적인 의사까지도 측정할 수 있음 •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을 줄일 수 있음 • 표본 대상 • A 고등학교(서울시 노원구 소재)를 선정하여 표본추출을 시도함 • 한 학년은 14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음 (반별 평균인원 35명) • 8개 반(이과반4개, 문과반4개)을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함 • 최종적으로 264명의 표본을 확보하여 분석에 활용함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두 가지 몰입의 측정도구 • 독도에 대한 규범적 몰입 (Cronbach’s Alpha = 0.887) • 독도에 관심을 갖는 것은 국민으로서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 우리나라 국민인데도 독도에 관심이 없는 사람을 보면 기분이 나쁘다 • 나는 독도에 충실해야 한다는 의무감이 있다 • 독도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은 도의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독도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독도에 대한 정서적 몰입 (Cronbach’s Alpha = 0.856) • 나는 독도 관련 소식을 접할 때마다 관심을 많이 가진다 • 나는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토인 것에 만족한다 • 나는 독도에 관심이 많은 사람을 만날 때 기쁘다 • 나는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토인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갖는다 • 나는 기회가 된다면 독도를 방문하고 싶다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를 향한 두 가지 형태의 몰입에 관한 연구
분석 및 결과 • 연구질문 1에 대한 결과 •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독도에 대한 몰입이 한 가지 잠재변인(latent variable)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두 가지 잠재변인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실시하는 분석 • 규범적 몰입 5개 문항과 정서적 몰입 5개 문항으로 분석 •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분석결과, 2가지 요인으로 분류하는 경우의 설명력이 더 좋으므로,독도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개념적으로 구분됨을 검증함 *** p < 0.05; ** p < 0.01; * p < 0.10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분석 및 결과(2) • 연구질문 2에 대한 결과 •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 결과변수(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독립변수(규범적 몰입)가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함 • 통제변수 • 독도방문경험, 일본친인척 여부, 일본에 대한 국민적 인식, 일본에 대한 개인적 인식 • 회귀분석 결과 • 규범적 몰입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회귀계수 = 0.531***, t-값 = +14.268, R2변화량= 0.379 • 분석결과, 독도에 대한 규범적 몰입이 높아질수록, 독도에 대한 정서적 몰입이 높아지는 전이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함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분석 및 결과(3) • 연구질문 3에 대한 결과 • 단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결과 • 독립변수가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조건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함으로써, 조건에 따른 전이효과의 상대적인 차이를 검증함 • 조절변수: 자극적인 언론보도, 갈등조장적인 언론보도 • “국내 언론의 독도영유권분쟁 관련 보도는 국민들의 감정을 자극한다” • “최근 한국과 일본 간에 독도 관련 갈등이 증가한 데는 언론의 책임이 있다” • 조절변수를 추가한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 자극적인 언론보도의 교차항 추가결과: 회귀계수 = -0.075**, t-값= -2.632, R2변화량=0.028 • 갈등조장적인 언론보도의 교차항 추가결과: 회귀계수 = -0.069*, t-값= -2.317, R2변화량=0.013 • 분석결과, 독도에 대한 언론보도가 자극적이거나 갈등조장적일수록, 규범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의 전이효과는 떨어지는 것을 확인함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결론 및 시사점 • 독도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몰입이 실존함을 증명함 • 독도의 영유권을 근간으로 한 규범적 몰입과, 독도 자체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근간으로 한 정서적 몰입이 개념적으로 구분됨을 실증적으로 검증함 • 독도에 대한 규범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을 함께 높이려는 시도가 필요함 • 독도에 대한 두 가지 몰입 간의 전이효과를 검증함 • 독도에 대한 규범적 몰입이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이 높아짐 • 그러나, 독도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변화를 전부 설명할 수는 없으므로, 정서적 몰입 자체를 높이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필요함 • 두 가지 몰입의 전이효과의 상대적인 조건을 규명함 • 언론이 자극적이거나 갈등조장적일수록 전이효과는 약해짐 • 독도에 대한 자극적인 보도보다는 독도 자체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필요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
추후 연구방안 • 분석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함 • 두 가지 몰입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보다 명확한 검증이 필요 •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종단면적 연구또는 패널 연구가 필요함 • 두 가지 몰입의 형성 과정 및 원인 변수들을 구분하려는 시도가 필요함 • 규범적 몰입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어야 함 • 정서적 몰입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 활동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함 • 독도에 관련된 지속된 연구가 필요함 • 일회성 행사보다는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가능하도록 연구토양을 조성해야 함 제4회 전국 대학(원)생 독도논문공모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