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likes | 570 Views
우리 밥상에 GMO 가. 우리 만들어가요 아름다운 세상 부천 YMCA.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 조작 생물체란 ? GMO 란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한 종의 특정 유전자를 다른 종에 인위적으로 삽입 하여 만들어낸 모든 생물체를 말합니다. GMO 는 언제 개발되었을까 ?. 1995 년 최초로 시판된 것은 미국 < 칼진 > 회사가 개발한 무르지 않은 토마토 -- 과숙과 부패 억제하여 저장기간 늘리고 외향을 향상시켜 상품가치 늘린 것
E N D
우리 밥상에 GMO가 우리 만들어가요 아름다운 세상 부천 YMCA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유전자 조작 생물체란? GMO란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한 종의 특정 유전자를 다른 종에 인위적으로 삽입 하여 만들어낸 모든 생물체를 말합니다.
GMO는 언제 개발되었을까? • 1995년 최초로 시판된 것은 미국 <칼진> 회사가 개발한 무르지 않은 토마토 --과숙과 부패 억제하여 저장기간 늘리고 외향을 향상시켜 상품가치 늘린 것 그러나 종자값 비싸고 야외에서 수확량 감소로 찾는 소비자가 없었다
GMO의 논란 GMO 옹호 논리 GMO 반대 논리 인체에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생태계를 파괴합니다. 유기농업에 해롭습니다 농업 및 식량 독점 지배가 계속됩니다 사회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욱 심해집니다 •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영양을 개선할 수 있다
2008년 세계 GM 작물 재배 비율 • 콩 : 65.8백만 ha (64%) • 옥수수 : 37.3백만 ha (24%) • 목화 : 15.5백만 ha (43%) • 유채 : 5.9백만 ha (20%) • 평균 : 40% ISAAA(2008) 국제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 • 1ha = 만 (3천평) • 한반도 : 200만 ha (약 22만㎢ = 2200만 ha)
주요 GM작물 재배국가 • 미국 : 62.5백만 ha • 아르헨티나 : 31백만 ha • 브라질 : 15.8백만 ha • 캐나다 : 7.6백만 ha • 인도 : 7.6백만 ha • 중국 3.8백만 ha 총 124.5백만 ha 한반도 면적의 약 5.6배 ( 2008. ISAAA)
우리나라 상황은? • 2008년 우리나라 곡물 자급률 27.8% 미국에서 수입 (콩 40%, 옥수수 98% 점유) • 2009년 11월12일~25일 성인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대국민 의식조사 실시관심은 늘었는데, GMO에 대한 지식은 낮다. •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과 불안감이 많고, 90%가 표시제 확대 찬성 • GMO에 대한 인지자의 절반이상 (55.4%)이 포함여부 확인 • 우리나라에서 안전성 심사를 거쳐 승인한 농산물 (2008년 12월) --콩, 옥수수, 면화, 카놀라, 알파파, 사탕무, 감자
GMO개발의 진행과정 • 10년간 500여종의 GMO를 개발 -콩,옥수수,감자,토마토,호박,유채등 -작물 중 70%가 GM작물 -대부분 수출용,사료용으로 판매 • 우리나라는 콩과 옥수수를 90%이상 수입
국내에 수입 유통되는 GMO식품들 콩- 간장, 된장, 고추장, 두부, 두유, 콩나물, 식용유, 선식, 버 터, 마가린, 콩과자, 마요네즈, 스파게티, 커피크림 옥수수- 콘 샐러드, 콘스낵, 팝콘, 옥수수유, 씨리얼, 물엿, 과 자, 사탕, 빵, 맥주, 콜라, 사이다, 스프, 당면 감자-프라이드 포테이토, 녹말가루, 건조감자, 당면, 스낵 토마토-케찹, 주스, 스파게티 소스, 파스타, 피자소스 면화-식용면실유, 땅콩버터, 참치통조림, 스낵 유채-카놀라유(샐러드 드레싱, 마가린, 과자)
인체 안전성침해 사례 • 영국 로웨드연구소 1998년 푸스타이박사 주도로 유전자조작감자를 먹인쥐 실험 진행 -췌장, 창자의 조직이 위축됨 -뇌의 크기 축소됨 -위장의 면역체계가 지나치게 활성화됨 2006년 13개국 22명의 과학자가 그의 연구가 사실이었음을 확인 푸스타이 박사에게 공개적인 지지를 선언 • 미국 L-트립토판 사건 1989년 미생물에 L-트립토판 유전자를 삽입한 후 증식시켜 대량의 L-트립토판을얻는데 성공했으나, 이 식품을 먹고 호산구증가근육통증후군이라는 병으로 37명이 사망하고 천 명이상의환자가 발생
생태안전성침해 사례 • 스위스- bt옥수수를 먹은 나방의 유충을 풀 잠자리 유충 에게먹이는 실험에서 2배의 사망률을 보임 • 미국- 군주나비(Monarch Butterfly) 개체수 감소 1995년5월코넬대학 연구팀에서살충성GMO 옥수수 인 bt유전자가 원래 죽이려고 했던 나방만을 죽이려는 것이 아니라 군주나비의 유충까지도 죽인다는 사실 발표 • 일본- 2004년 6월 원재료용으로 수입된 유전자조작서양 유채가 수송과정 중에 떨어져 국내 일반 환경에서 자생 하고 있음을 확인.
사회경제 안전성 침해 사례 • 2000년 9월 스타링크 사건 프랑스 아벤티스 사가 개발한 살충성GM옥수수 스타링크가 식품인 타코셀에서 검출되어 국제 문 제화 알레르기발생 가능성으로 가축 사료용 공업용으로 승인 • 한국—2001년 [대상, 두산cpk, 삼양제넥스, 신동방체] 업체가 스타링크를 식용으로 둔갑시켜 국내에서 판매하여 문제가 됨
사회경제안전성 침해사례 • 2007년 12월 한국 유기농 이유식 GM콩 혼입사건-유기농 표시 이유식 5개사 63개 제품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청 조사실시 조사결과, 수입콩을 원료로 사용하는 3개회사 18개 제품 에서 GMO성분이 검출됨
GMO 제품 ,이렇게 표시합니다 • 농림부—콩 ,콩나물, 옥수수의 경우2001년 3월, 감자의 경우 2002년 3월 GMO 표시제도를 실시 • <표시 대상이 아닌 경우> 1)GMO원료가 전체 원료 중 3%미만이면 2)GMO원료가 5대 원료에 포함되지 않으면 3)원료를 가공 GMO성분이 검출되지 않으면
안전한 식탁을 위하여 • GMO 사료를 먹는 육류도 곤란해요. • 우유선택도 신중하게 해요. • 식용유 대체할 수 있어요. • 과자류도 살펴봐요.
안전한 식탁을 위하여 • 수입품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아요. • 가공식품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아요. • 우리 농산물을 이용해요. • 가까운 생활협동조합이나 유기농산물 직거래 단체를 이용해요
두 얼굴의 식품첨가물 • 먹어도 안전한지? • 식품에 왜 넣는지? • 어떤 종류가 있는지? • 사용기준은 어떤지? • 구체적으로 어떤 식품에 들어 있는지?
첨가물의 존재이유 지키기(keep) 올리기(up) 더하기(add) 바꾸기(transform)
지키기 • 첨가물은 보존료와 산화방지제 • 소르빈산—햄,소시지, 치즈 • 안식향산ㅡ탄산음료, 기타음료 • 파라옥시안식향산ㅡ간장, 소스류 • 신선도 오래 유지하고 저장기간이 연장 • 음료매니아는안식향산 섭취량이 허용량 초과할 가능성(2007년 식약청)
올리기 • 첨가물은 착향료, 인공감미료, 인공조미료 • 사카린ㅡ 뻥튀기, 과일음료, 채소음료, 절임식품 • 아스파탐ㅡ 과자, 껌, 발효식품, 캔디 • 수크날로스ㅡ 캔디, 차, 발효유, 기타음료 • 식품의 향, 맛을 올려준다
더하기 • 첨가물은 착향료이다 • 타르색소ㅡ아이스크림, 초콜릿 • 적색3호, 식용색소 황색 4호 • 아이스크림에 적색2호는 사용금지 • (2007년 식약청) • 식품의 색과 영양을 더해준다
바꾸기 • 첨가물은 발색제이다 • 아질산나트륨ㅡ햄,소시지,어육제품 • 햄소시지 즐겨 먹는 청소년은 하루 섭취량 초과 가능 • 색을 고정한다
식품첨가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알레르기를 유발 또는 악화시킨다 • 아이의 지능 정서안정에도 불안 과잉행동을 보인다 • 위. 간 장애를 유발시킨다 • 비만 충치의 원인이 된다 • 발암작용을 한다
밥상머리의 소중함 하루 20분 가족 식사가 아이의 미래를 바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