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0 likes | 1.86k Views
토 양 관 리. 上農 은 흙을 가꾸지만 中農은 작물을 가꾸고 下農은 잡초를 가꾼다. 의성군농업기술센터 권 혁 태. 이땅의 주인은 누구인가?. 교육은 백년대계 토양은 무한대계 . 우리의 땅은 일시적으로 빌려 쓰는것 자손만대 살아갈 땅 누구도 오염시킬 권한이 없다 !!. 미생물이 하는일.
E N D
토 양 관 리 上農은 흙을 가꾸지만 中農은 작물을 가꾸고 下農은 잡초를 가꾼다. 의성군농업기술센터 권 혁 태
이땅의 주인은 누구인가? 교육은 백년대계 토양은 무한대계 우리의 땅은 일시적으로 빌려 쓰는것 자손만대 살아갈 땅 누구도 오염시킬 권한이 없다!!
토양이란 ? 암석의 풍화 산물인 흙이 동식물의 분해 산물인 유기물을 함유 식물의 자라나는 모태가 되는 자연적 배지이며 지각의 최상부에 위치한 부드러운 물질 토양은 식물 뿐 아니라 모든 생물의 자라나는 공간이다. 태양 에너지, 물, 탄산가스와 함께 식물의 물질 생산에 불가결한 것이며, 토양 생물의 활동을 통하여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할 유용한 물질의 재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장소
토양발달 O 유기물층 A 용 탈 층 A B 집 적 층 R C C R R C 모 재 층 R 암 반 층
고상 (Solid Phase) • 무기성분 : 자갈, 모래, 미사, 점토가 대부분 • 유기성분 : 동식물 유체, 배설물, 대사산물 등 • 액상 (Liquid Phase) • 토양용액으로 양분 및 여러 물질이 용해되어 있음 • 기상 (Gaseous Phase) • 액상에 따라 상대비율이 달라짐 • 기상은 주로 N2, O2, 수증기, CO2로 구성 토양의 삼상 분포
토양 물리성 : 토성구분 (미농무성법) 1. 기계적 분석 : 침강법, 농가사용 힘듦 2. 현장조사법 (손가락 접촉법) - 농가 현장에서 사용, 기술과 경험 필요 - 모래는 까칠까칠하고 미사는 건조시 활석 비비는 것 같고 점토는 건조할 때는 매끄럽고 젖으면 점착력이 큰 느낌 3. 현장조사법 (손바닥법) - 양손 바닥으로 비벼서 엉겨지지 않으면 사토, 분필 굵기로 엉기면 사양토, 성냥개비 굵기로 엉기면 양토, 명주실 굵기면 식토로 판정 삼각도표법
토성에 따른 양분관리 식 토 사 토 • 사토: 통기성은 좋으나 양분과 수분 보유력이 낮음, 비료성분의 • 과다나 부족에 민감하게 반응, 적은 량의 비료를 자주 주는 • 것이 필요, 적당량의 유기물 시용이 효과적 • 식토: 공기의 유통 불량, 양수분 보유력 좋음, 토양개량이 필요
어떤 흙이 좋은 흙일까요? 떼알구조 홑알구조 사양토, 식토 양토, 미사질양토, 유기물
공기(산소)의 토양 이동 • ○ 대기 확산 : 80~90%, 빗물 침투 : 10~20% 뿌리의 산소공급 ○ 토양관리 - 표토 : 초생재배 - 심토 : 심경, 심토파쇄, 유기물시용 등
※ 물빠짐 불량 과원 유기물 시용시환원물질 생성(근부현상)
□ 반명거 배수설치 ○ 효과 : 배수 개선, 생리장해 억제, 당도증진
심토 파쇄 ○ 효과 : 통기성, 배수, 인산, 칼슘 흡수 증대, 과실품질 및 수량 증대 ○ 방 법 - 파쇄기 끝을 표토 40~50cm 깊이까지 들어가게 하여 나무 수관을 따라2~3m 간격으로 실시. 공기압력은 10kg/cm2 - 경반층이 단단한 곳은 2회 실시, 3,000평/1일
우리가 관리하려는 토양의 깊이는 사과: 약 0 ~ 60cm 토양 층위
경운방법별 토층의 물리성 분포 (농업기술연구소, 1985)
산성토양은 왜 나쁠까? • 수소(H)이온이 뿌리표면에 상처를 준다 • 산성이 되면 알미늄이 많아져 독성이됨 • 질소,인산,칼리,황,석회,규산 흡수 저하 • 카드뮴,납등 중금속에 의한피해 쉬워짐 • 미생물 활성이 떨어짐 정부에서 지원하는 석회,규산질비료는 살포하는 것이 훨씬 유리 합니다
토양산도(pH)와 영양분 흡수 산성토양 중성or알칼리토양 Ca Ca HMg 석회,고토H Mg H K H K H H Ca Ca Ca Mg B,P,K,Ca,Mg 결핍Al,Fe,Mn 과잉 B,P,K,Zn,Cu 결핍Ca,Mg 과잉우려 산성 중성 알칼리성 1 6.5 7.5 14
산성토양은 어떻게 개량되나? • 토양 pH를 1.0올리는데 필요한 소석회 량은 200kg/10a정도임. • 고토석회는 완효성 비료로 서서히 녹아 작물에 공급하고 흙 표면에도 흡착되어 산성토양을 개량
산성토양 개량방법 가) 피복 및 멀칭 : 염기용탈 및 양분유실 방지 - 재료: 초생재배, 볏짚,왕겨,톱밥,나뭇가지,부직포,흑색비닐 - 장점:침식방지,수분보존,입단형성, 비료유실억제, 잡초방지, 미생물 활동 촉진 - 단점 : 노동력, 비용 상승, 비닐멀칭은 천근성 조장 나) 중성~알칼리성 비료 시용 - 산성비료(중과린산석회,염화칼리,황산칼리, 유안)나 뒷거름 의 연용 금지 - 중성비료 (요소, 용과린), 알칼리성 (용성인비, 석회) 시용
산성토양 개량방법 다) 유기물 시용 : 간접적 효과 큼 - 효과 ‧토양 pH 교정 ‧간접적 효과 큼 : 부식증대, 완충능 증대, 토양물리화학성 개선, 미생물상 개선 ‧양분공급 ‧활성알루미늄에 의한 인산 고정방지로 비효증진 - 방법: 심경 및 석회 병행, 완숙퇴비 시용 (1~3톤/10a) - 시기: 낙엽 후 월동전 (11월 중하순) - 시용시 고려 사항 ․ 부식 증대 : 인공완숙 퇴구비 사용 ․ 입단화 목적 : C/N율 높은 볏짚 등 신선유기물 시용 ․ 석회물질 병용 : 미생물 활동조장, 토양반응 교정, 내수성 입단도모 ․ 유기물 종류에 따라 시용량 조절
산성토양 개량방법 라) 석회 시용 - 효과: pH 조정, 각종 유해물질과 중금속 중화, 입단 형성, 토양 물리 성 개선, 미생물 활성 증대, 비료 성분 분해 촉진, 생리장해 발생 억제, 저장력 증대→ 작물 생육환경 개선 > 양분기능 - 시기: 밑거름 시용때 - 방법 : 소석회 또는 고토석회를 2~3년 마다 200~300kg/10a당 심경 하여 시용, 붕소는 산성토양에서 결핍 초래 : 붕사 시용 (2~3 년에 1회 10a당 2~3 kg)수관 주위에 살포하고 긁어줌 (혼용 금지) ※ 일시 다량 및 산성토양 교정 후 과잉시용 : 철, 망간, 아연, 붕소의 불용화 결핍
질소와 석회는 상극 질소비료는 석회와 섞어 뿌리면 비료효과가 떨어지고 아래잎부터 가스피해가 나타납니다 암모니아가스 NH3 석회비료 Ca++ 질소비료(요소,유안) NH4+
양분은 어떤 형태로 이용되나? 화학비료 이온 작물흡수 퇴비,유기물 화학비료와 유기질비료에 있는 성분은 다른 형태로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흡수되는 성분은 N,P,K등의 성분으로 같다.
식물의 비료흡수 ●식물의 뿌리가 흡수하는 비료성분의 형태 (다량원소) ※ 대부분의 비료성분은 이온(ion) 상태로 흡수됨
식물의 비료흡수 ●식물의 뿌리가 흡수하는 비료성분의 형태 (미량원소) ※ 대부분의 비료성분은 이온(ion) 상태로 흡수됨
식물의 비료흡수 ●식물체 내에서 비료의 이동성(移動性)
비료의 종류와 선택 • 비료의 효과에 의한 분류- 속효성 비료: 비효가 빠르게 나타나는 비료 • (요소 등)- 완효성 비료: 양분이 서서히 녹아 나와 작물에 이용되는 비료 • (피복요소 CDU, IBDU 등)- 지효성 비료: 비효가 어느 시기가 지나서 늦게 나타나는 비료 • (퇴비, 구비 등)
비료의 종류와 선택 • 생리적, 화학적 반응에 의한 분류 • - 생리적 산성비료: 유안, 염안, 황산가리, 염화가리- 생리적 중성비료: 요소, 초안, 과석, 질산암모늄- 생리적 알카리성(염기성)비료: 용성인비, 석회질소, 질산석회, • 규산질, 석회질비료 • - 화학적 산성비료: 과인산석회, 중과인산석회 • - 화학적 중성비료: 유안, 초안, 황산가리, 염화가리, 콩, 깻묵 • - 화학적 알카리성 비료: 재, 석회질소, 용성인비
시비량 계산 성분량을 실중량으로 환산하는 법 100 주려고 하는 비료의 성분량 • 주고자 하는 성분량 × = 주고자 하는 비료량 • 예) 질소 12kg을 주고자 할 때 요소비료(질소46%)를 몇 주어야 하나? 100 46 12kg × = 26.1kg 실중량을 성분량으로 환산하는 법 비료의 성분 함량 100 • 실중량 × = 성분량 • 예) 요소비료 (질소 46%) 8kg에 질소 성분은 얼마 들어 있는가? 46 100 8kg × = 3.6kg
비효 증진 방법 인산 • 토양 pH를 조절하고 유기물 시용한다 • 작물의 뿌리가 많이 분포하는 곳에 시비한다. • 시용시기에 주의한다. • 알맞은 인산 비료를 선택한다.
비효 증진 방법 가리 • 사질토양과 부식이 적은 토양은 유실이 많으므로 분시 • 석회, 고토가 적은 토양에 일시에 가리 다량 시용하면 • 고토 결핍 발생 • 산성토양은 질산화성균의 번식 불량 • 가리결핍 발생
칼리를 많이주면 좋을까?나쁠까? K+ (5-10%) 토양 Ca+ (60%) Mg+ (10%) 편식과 폭식은 당뇨병등 각종 성인병 유발 작물도 사람과 마찬가지 영양분을 골고루 적당하게 섭취해야
황산칼리가 좋을까 염화칼리가 좋을까? • 이왕이면 염류집적이 적은비료가 좋다. • 염화칼리 : KCl K + Cl(집적) • 황산칼리 : K2SO4 2K + SO4 • 황(SO4)는 작물에 흡수되거나 염류인 칼슘(Ca)과 결합(CaSo4)되면 Ca와 So4가 불용화 됨 • 그러므로 밭작물엔 황산칼리가 더 좋지 않을까? (많이 주면 땅이 산성화 됨)
밭작물엔 황이 든 비료가 보약 • 황이 함유된 비료 • 유안(N21%,S24%) • 황산칼리(K60%,S18%) 황결핍 황함유 단백질부족 생육부진 대사,효소작용 저해 황을 흡수해야 엽색이 진초록으로 싱싱
염류란 무엇일까? • 염류란 소금이다==== X • 염류는 비료로준 성분이 토양에 흡착 또는 식물이 흡수하고 남은 성분들의 합 • 염류농도가 높아지면 흙속에 물이 많아도 뿌리가 물을 흡수할 수 없다 • 하우스에서 염농도 상승의 주성분은 질산태(NO3)와 염소이온(Cl)이다.
유기질비료와 부산물비료 비 료 유기질비료 부산물비료 • 함유해야 할 유기물 함량이 지정됨 • 퇴비,부숙겨,재,분뇨잔사,부엽토, 건계분,건조축산폐기물,부숙왕겨 ,톱밥등 • 유해성분 최소함량 규정이 있음 • 납 150ppm, 크롬300ppm이하 등 • 부숙이 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손해 • 함유해야할 N,P,K함량이 정해짐 • 원료가 지정됨(어박,골분,대두박, 식물성유박,미강유박,혼합유박등) • 유해성분 함유 위험이 적음 • 부숙이 되지 않아도 문제발생 적음
가축분뇨의 비료량은? • 우분1톤 : 요소35kg, 용성인비92kg, 염화가리45kg • 돈분1톤 : 요소57kg, 용성인비228kg, 염화가리28kg • 계분1톤 : 요소64kg, 용성인비260kg, 염화가리45kg
옛날퇴비 Vs 오늘날퇴비 가축분 퇴비 과용하면 토양 양분집적의 지름길
□ 유기물 (지력) ○ 과거 : 양분보유, 토양물리성 중심 ○ 현재 : 미생물 보고(1g당 600만개 이상)⇒ 미생물의 집과 먹이 ○ 토양속에서 역할: ․ 양분 보유: CEC의 30~70% 담당 (흙보다 20배 이상 높음) ․ 물보유: 흙보다 4~5배 (관수횟수 및 관수량 절감) ․ 미생물 번식 촉진: 양분의 가용화 (인산) ․ 떼알 구조: 토양미생물이 분해시 다당류와 점착물질 분비 (볏짚 등 신선 유기물 시용 및 석회 병용) ․ 흙 온도 높임: 생육촉진, pH의 급격한 변화 방지, 유해성분 흡착 ※ 볏짚 1톤에 질소 8.5kg (요소 15kg) 함께 시용 : 질소기아 방지
좋은 퇴비 만드는 법 • 비닐을 깔거나 블록등으로 퇴비장을 만든다 • 잡초,짚,낙엽,나뭇가지,가축분뇨등을 넣는다. • 사이사이 요소 또는 유안을 뿌린다. • 흙도 같이 뿌려주고 비가 맞지 않도록 한다. • 퇴비장의 높이는 1.5m를 절대 넘지 않게 한다. • 퇴비는 국물이 보약이므로 퇴비에서 나오는 갈색의 액체는 절대 버려서는 안된다.
부숙이 안된 퇴비는 안준것만 못하다 • 미부숙으로 병원균 사멸이 안됨. • 부숙이 덜되면 양분을 빼앗아 간다. • 미부숙 퇴비 탄질비(C/N) 가 큼. • 완숙퇴비 퇴비중 질소 토양공급. • 미숙퇴비 미생물이 토양 질소소비.
감사합니다 ^-^ 이젠 실천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