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7

일식과 월식

일식과 월식. 10410 유수현. 목차. 앞모습만 보이는 달 달의 동주기 자전 항성월과 삭망월 일식 일식이란 ? 일식이 생기는 원리 일식의 종류 월식 월식이란 ? 월식이 생기는 원리 월식의 종류 동영상 문제풀이. 1) 앞모습만 보이는 달. 달의 동주기 자전 지구에서 볼때는 달의 한쪽 면만 보인다 . 그 까닭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 하는 것 과 같은 주기로 자전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이러한 현상을 달의 동주기 자전 이라고 한다.

nishi
Download Presentation

일식과 월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일식과 월식 10410 유수현

  2. 목차 • 앞모습만 보이는 달 • 달의 동주기 자전 • 항성월과 삭망월 • 일식 • 일식이란? • 일식이 생기는 원리 • 일식의 종류 • 월식 • 월식이란? • 월식이 생기는 원리 • 월식의 종류 • 동영상 • 문제풀이

  3. 1) 앞모습만 보이는 달 • 달의 동주기 자전 지구에서볼때는 달의 한쪽 면만 보인다. 그 까닭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 하는 것 과 같은 주기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달의 동주기 자전이라고 한다.

  4. 1) 앞모습만 보이는 달 • 항성월과 삭망월 A의 위치에 있는 달이 지구를 한 바퀴 공전하여서 B에 위치에 오는데까지27.3일이 걸리는데 이것을 항성월이라고 한다. 하지만 항성월이 되었는데도 보름달이 되지 못하였다. 그런데 C의위치에 오면 보름달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A에서 C까지 29.5일이 걸리는데 이것을 삭망월이라고 한다. C B A

  5. 2) 일식 • 일식이란? 태양계 내의 행성과 위성은 저마다 정해진 궤도에 따라 운동하기 때문에 서로 충돌하진 않지만, 한 천체가 다른 천체의 앞을 지나는 일을 비교적 자주 일어난다. 이 중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달이 태양의 앞면을 지나면서 태양을 가려 태양이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을 일식이라고 한다. 일식은 지속시간이 매우 짧다. 그리고 개기일식은 특정한 지역에서만 발견된다.

  6. 지구 주위를 공전하던 달이 삭의 위치에 와서 태양, 달, 지구가 차례로 일직선 상에 놓이면 일식이 일어날 수 있다.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릴 수 있는 것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달의 크기가 거의 같기 때문이다.

  7. 2) 일식 • 일식이 생기는 원리 태양과 달, 지구가 일직선 상에 놓아졌을 때 달이 태양의 빛을 가려서 지구에 달의 그림자가 생긴다. 이때 본그림자에서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을 볼 수 있고, 반그림자에서는 부분일식을 볼 수 있다.

  8. 2) 일식 • 일식의 종류 • 개기일식 일식 중에서 달에 의해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는 것

  9. 2) 일식 • 일식의 종류 • 부분일식 일식 중에서 달에 의해 태양의 일부가 가려지는 것

  10. 2) 일식 • 일식의 종류 • 금환일식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달의 궤도는 완전한 원이 아니라 원에 가까운 타원이다.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지구에서 보는 달의 크기가 조금 작아져 달리 태양을 완전히 가리지 못하게 되고, 이때 금환일식이 일어난다.

  11. 3) 월식 • 월식이란?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월식이 일어나면 달의 왼쪽부터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기 시작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달이 점차 더 많이 가려지고,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붉은색으로 보인다. 그 후에 달은 다시 왼쪽부터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여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온다. 지구의 그림자가달보다 크기 때문에 월식이 지속되는 시간이 일식보다 더 길다.

  12. 3) 월식 • 월식이 생기는 원리 지구 주위를 공전하던 달이 망의 위치에 와서 태양, 지구,달이 차례로 일직선 상에 놓이면, 월식이 일어날 수 있다.

  13. 3) 월식 • 월식의 종류 • 개기월식 월식 중 달의 전체가 가려지는 것. 개기월식은 본그림자에 들어가야 생긴다. 개기월식이 검붉게 보이는 이유는 햇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는 동한 파장이 짧은 푸른빛의 산란되기 때문이다.

  14. 3) 월식 • 월식의 종류 • 부분월식 월식 중 달의 일부가 가려지는 것. 부분월식은 반그림자에 들어가야 생긴다. 부분월식은 밤이 존재하는 지역이라면 대부분 볼 수 있다.

  15. 4) 동영상 http://blog.naver.com/dn6416?Redirect=Log&logNo=150083017842&jumpingVid=54BF291DFDDD0676B31559498E28E4722CA9

  16. 5) 문제풀이 • 달이 지구에서 볼 때 항상 앞면인 이유는? (달의 동주기 자전) • 달이 자전 할 때 걸리는 시간은 27.3일인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또, 달이 다시 보름달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29.5일인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성월, 삭망월) • 태양과 달, 지구가 일직선 상에 놓아졌을 때 달이 태양의 빛을 가려서 지구에 달의 그림자가 생긴다. 이때 본그림자에서( )과 ( )을 볼 수 있고, 반그림자에서는 부분일식을 볼 수 있다. (개기일식, 금환일식)

  17. 감사합니다.

More Related